• 제목/요약/키워드: 활성슬러지공법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3초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활성슬러지법의 현장시험 연구 (Field Application of Ultra Biological System)

  • 정윤철;박흥석;김문성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1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41-42
    • /
    • 1991
  • 본 연구는 활성슬러지공법의 침전조를 막으로 대체하여 고액분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막분리 활성슬러지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방법은 공정자체가 간략화되는 동시에 종래법에서 슬러지 팽화(bulking)등에 의해 침전조에서 SS carry-over, 슬러지 침강성 향상을 위한 고부하처리의 곤란성, 침전조 처리수에의 SS 유출등 고액 분리의 문제점을 해소하므로, 여과, 응집침전, 혹은 활성탄흡착등의 고도처리설비없이 양질이 처리수를 얻을 수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

  • PDF

하향류식 슬러지층 여과(SBF)를 이용한 하수고도처리기술

  • ㈜엘지건설, ㈜에스비에프
    • 환경기술인
    • /
    • 제21권통권210호
    • /
    • pp.68-71
    • /
    • 2004
  • [ $\circ$ ] 본 기술은 기존의 A2O공법과 Sludge Blanket Filtration(SBF)을 단위공법으로 조합한 공정으로서 각 생물반응조의 미생물 농도를 6,000mg/ 이상의 고농도로 운전하여 생물학적 유기물,질소 및 인 제거효율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기술 $\circ$ 또한 활성슬러지 반응조로부터 유입된 슬러지를 SBF에서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부상시킴으로써 수면에 농축 슬러지층을 형성시키고 이 부

  • PDF

초단파조사 처리된 잉여슬러지와 하수의 병합처리가 활성슬러지공법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o-treatment of Municipal Wastewater with Microwave-Irradiated Excess Sludge on the Performance of the Activated Sludge Process)

  • 김남철;장명배;조윤경;조광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4-310
    • /
    • 2007
  • 본 연구는 초단파조사 처리된 잉여슬러지를 하수와 함께 활성슬러지공법으로 처리할 때 하수처리효율과 잉여슬러지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온도가 $20^{\circ}C$이고 MLSS농도가 약 2,000 mg/L인 250 mL의 잉여슬러지를 발진주파수가 2,450 MHz이고 정격고주파출력이 700 W인 전자렌지(microwave oven)로 초단파조사 처리한 결과 조사시간이 1분 증가함에 따라 수온이 약 $20^{\circ}C$씩 증가하였으며, 슬러지의 SCOD, TKN 및 T-P 농도는 모두 $40\sim130$ sec의 조사시간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혼합액 미생물의 산소섭취율을 측정한 결과 130 sec 이상의 조사시간($65^{\circ}C$ 이상)에서는 혼합액의 미생물이 거의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잉여슬러지를 초단파조사 처리한 다음 하수와 혼합시켜 활성슬러지공법으로 처리하였을 때 유입수 및 처리수의 pH 및 알칼리도에는 거의 영향이 없었으나, 유입수의 SS, COD, T-N 및 T-P 농도는 증가하였으며, 처리수의 SS, BOD 및 T-P 농도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COD 및 TKN 농도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초단파 조사비가 1 g SS/g SS-day 증가할수록 미생물성장계수 값은 0.91 g SS/g COD removed의 율로 감소하였다.

변형된 활성슬러지공법의 폐수처리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Wastewater Treatment by Modified Activated Sludge Process)

  • 채수권;연기석
    • 물과 미래
    • /
    • 제22권1호
    • /
    • pp.117-125
    • /
    • 1989
  • 본 연구는 활성슬러지공법을 변형시킨 무산소일염기일호기반응조를 사용해서 질산화일탈질소반응 및 인의 방출인초과축적반응을 유도하여 합성페수의 유기물, 질소 및 인을 동시에 제거하였다. 무질소조, 무염기 및 호기호 각각에 대한 반응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실규모의 반응조가 운영되었으며 MLSS농도를 5000, 4200, 3300, 2600, 1900mg/l로, 변화시켜 COD제거율에 대한 생물학적 동력학계수를 결정하였다. 연구결과, 유기물 및 영양염이 변형된 슬러지공법에 의해 동시에 제거될 수 있음을 알았고, ortho-p 제거효율은 66%∼99%로 높게 나타났다.

  • PDF

기존활성슬러지법으로 운전중인 하수처리장의 탈질$\cdot$탈인 공정 상용화 (Development on the Process for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i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김대명;양익배;김수복;변병결;김영규;권기석;장덕진;장성환;임영택;홍성민;홍민
    • 환경기술인
    • /
    • 제18권통권188호
    • /
    • pp.70-75
    • /
    • 2002
  • 1999년부터 2001년까지 2년동안 G-7 환경공학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CNR공법을 이용한 하수처리장의 탈질$\cdot$탈인을 위한 상용화기술개발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NR공법은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하수성상에서 6시간의 체류시간에서도 운전관리가 원활하면 동절기와 유기물 부하변동에도 질소를 10mg/l, 인을 1mg/l로 제거 할 수 있는 공법이다. CNR공법은 현재 하수처리장의 활성슬러지조내의 용적과 체류시간을 그

  • PDF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RCM공법의 선박오수 처리장치 적용에 관한 연구

  • 하신영;송지경;김인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5-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입수의 변동이 심하고 전문가가 부재한 환경인 선박에서 발생하는 오수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하여 RCM공법을 선박오수처리장치에 적용하는 실험실 규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질소 인의 고도처리 효율과 선박이라는 특수환경과의 접목성을 검토한 결과 RCM공정에 유효미생물을 주입하는 방법은 선박환경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RCM공정은 활성슬러지 공정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는 배출시키지 않고 슬러지액화분해조(SDC)에서 재분해하여 순환함으로써, 최근 해양투기가 금지됨으로 인해 문제가 되고 있는 슬러지의 발생량을 최소한으로 하여 친환경적인 수처리가 가능하다. 복합미생물제제 주입 후 미생물 관찰결과 고도처리에 유리한 미생물종의 출현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의 상호기작으로 질소 인의 처리에 도움을 주어 처리효율이 높은것이라 판단된다. 유기물 제거효율 실험결과 $BOD_5$, CODcr T-N, T-P의 처리효율이 각각 96, 97, 78, 81.68 %로 나타나 Membrane이나 Filter없이도 강화되어가는 해양오염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공정으로 판단된다.

  • PDF

회전매체를 이용한 완전혼합 활성슬러지 공법의 Kinetic Constant의 산정 (Estimation of Kinetic Constant in Moving Media Complete Mixing Activated Sludge Reactor)

  • 김홍태
    • 물과 미래
    • /
    • 제27권4호
    • /
    • pp.49-57
    • /
    • 1994
  • 하수와 우유를 섞은 합성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회전매체를 이용한 완전혼합활성슬러지 공법의 kinetic constant 값을 산정한 결과, $K_{m}$(유기물제거속도) 값은 저부하의 경우는 3.75~8/hr, 고부하인 경우는 8.57~12.5/hr이며, $K_{e}$값은 저부하인 경우 0.007~0.03/hr, 고부하인 경우는 0.09/hr로, $K_{s}$(내호흡계수) 값은 저부하인 경우 1.73~3.68/hr, 고부하인 경우는 3.84~5.75/hr로 나타났으며, Y 값은 0.46gVSS/g$BOD_{5}$로 산정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