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활성물질

Search Result 5,65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Separation of Surfactants by UF Membrane (UF막에 의한 계면활성제의 분리)

  • 안순철;송근호;이광래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10a
    • /
    • pp.137-139
    • /
    • 1998
  • 계면활성제는 섬유, 의약품, 화장품, 식품, 조선, 토목, 건축, 광업, 가정용 세제 등 인간생활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계면활성제의 사용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계면활성제 자체의 오염성 때문에 분리대상 물질이나 재사용을 위한 회수물질로 간주되고 있다. 특정물질의 분리$\cdot$회수를 위한 분리막 기술은 공정이 간단하고 상변화를 수반하지 않으므로 에너지 소모가 작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어 폐수처리, 수처리, 대기오염 방지등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소수기가 짧아서 저온에서도 잘 녹고, 세정성이 양호하여 세제, 유화제, 섬유제품의 침투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SDS와 SLS용액의 한외여과에 대한 투과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인체에 유해한 금속이온($Cd^{++}, Cu^{++}, Zn^{++}$) 혼합물에 대한 제거실험을 실시하였다.

  • PDF

Microbial Synthesis of Physiologically Active Compounds (미생물반응을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합성)

  • 이상섭
    • YAKHAK HOEJI
    • /
    • v.21 no.2
    • /
    • pp.62-69
    • /
    • 1977
  • 지구상에서 생합성된 천연물은 완급의 차이는 있겠으나 궁극적으로는 CO$_{2}$ H$_{2}$O, NH$_{3}$ 등으로 다시 산화분해된다. 이 분해과정은 미생물의 효소반응으로 이루어지며 생물권의 항상성도 일차적으로는 미생물의 이 산화분해작용으로 유지된다고 볼 수 있다. 미생물이 영위하는 이러한 효소반응을 생리활성물질의 공업적합성에 이용한 초기의 예로는 부현피질호르몬의 합성과정에서 Rhizopus nigricans를 사용한 수산화반응과 ascorbic acid 합성과정에서 Acetobacter xylinum을 사용한 탈수반응이 유명하며 이러한 반응은 아직도 이용되고있다. 특히 지난 십수년간의 응용미생물학의 발전은 대단한 것이며 여러가지 항생물질, 당질, amino산, 핵산관련물질들이 생리활성물질과 함께 발효법으로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글에서 다루는 미생반응은 발효과정에서 생산되는 미생물자체의 일차적 대사산물 (primary metabolite)이나 이차적대사산물 (secondary metabolite)를 대상으로 한것이 아니며 어디까지나 외부에서 공급되는 화학물질에 대한 균체의 효소반응산물을 목적물로 하고있다. 또한 근래 활발히 이용되는 균체고정및 효소고정법을 이용한 효소공학적수법도 제외하고 배양과정의 균체 또는 배양후의 군체를 이용한 미생물반응에 한정코저 한다.

  • PDF

참깨의 향기성분(香氣成分) 및 포색화(袍色化) 관련물질(關聯物疾)의 생리활성(生理活性)

  • Gang, Myeong-Hwa
    • Proceedings of the EASDL Conference
    • /
    • 2004.10a
    • /
    • pp.73-92
    • /
    • 2004
  • 참기름은 높은 온도로 볶아 짜는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데 이때 참깨의 성분 중 당과 단백질에 의한 Maillard 반응에 의해 향기성분인 pyrazine 화합물과 갈샐물질이 생성된다. 참깨의 볶는 방법, 온도 및 시간은 참기름의 맛과 향기에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고 또한 참기름에 함유되어 있는 갈색물질과 향기성분인 pyrazine류가 생리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가능성이 제기되어 본 연구에서는 참기름으로 부터 갈색화 관련 물질을 용매별로 분류하여 tyrosinase 저해 효과와 항상화 효과를 측정였고 pyrazine 유도체들의 혈소판 응집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갈색도가 높은 butanol, methanol 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tyrosinase 저해효과를 보였다. 또한 각종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butanol 에서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향기 성분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Pyrazine 유도체가 collagen 에 의해 유도된 혈소판 응집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methyl의 결합수가 많을수록 (2,3,5-trimethylpyrazine>2,5-dimethylpyrazine>pyrazine)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응집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참기름 가공 공정에서 생성되는 갈색화관련 물질과 향기 성분인 pyrazine 유도체는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임이 확인되어 기능성 식품에 다양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자외선 조사 Escherichia coli B의 세포분열회복활성물질

  • 송방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76.10a
    • /
    • pp.188.2-188
    • /
    • 1976
  • E. coli B 및 E. coli K-12의 Ion 변리주는 저중의 UV 조사에 의해 확산 및 단백질 합성은 그대로 지속되나 세포분열능은 상실되어 격막이 없는 다핵의 filament를 형성하므로 한무배지상에서 colony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같은 균에 동일균 또는 타의 균체추출액을 가하어 주므로써 세포분열은 재개되며 그 활성물질중 $\beta-NAD가$ 중요한 인자로 작용함은 이미 발표되었으며 본보에서는 NAD 이외의 고분자활성물질에 대해 보고코저 한다.(중략)

  • PDF

Free Radical Scavenger로서의 Plant Phenolics의 특성과 항산화 활성

  • 이정수;최홍식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4 no.1
    • /
    • pp.11-18
    • /
    • 1994
  • Plant phenolics은 식물 생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므로 매일 일정량이 식품으로 섭취되어지고 있으며, 이 물질들은 식품 외에도 일부 향신료 및 의약용으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lant phenolics이 free radical scavenger로서의 주요 작용을 포함한 항산화 메카니즘과 기타 항산화 특성, 그리고 plant phenolic계 free radical scavenger 물질인 flavonoids와 hydroxycinnamic acids 및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의 항산화 활성과 구조 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고찰하였다. 또한 주요 식물별 plant phenolics 물질의 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서도 검토하였다.

  • PDF

Study on the elution of biostimulant for in-situ bioremediation of contaminated coastal sediment (오염된 연안저질의 현장생물정화를 위한 미생물활성촉진제의 용출특성 연구)

  • Woo, Jung-Hui;Song, Young-Chae;Senthilkumar, Palaninaicker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3
    • /
    • pp.239-246
    • /
    • 2014
  • A study on the elution characteristics of biostimulating agents (sulfate and nitrate) from biostimulants which are used for in-situ bioremediation for the coastal sediment contaminated with organic matter was performed. The biostimulating agents were mixed with the coastal sediment, and then massed the mixture into ball. Two kinds of ball type biostimulant were prepared by coating the ball surface with two different polymers, cellulose acetate and polysulfone. A granular type biostimulant (GTB) was also prepared by impregnating a granular activated carbon in the biostimulating agent solution. The image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or the biostimulant coated with cellulose acetate (CAB) showed that the inner side of the coating layer consisted of irregular and bigger size of pores, and the surface layer had tight structure like beehive. For the biostimulant coated with polyfulfone (PSB), the whole coating layer had a fine structure without pore. The elution rate of the biostimulating agents for the CAB was higher than that for the PSB, and the elution rate for the GTB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for the PSB in distilled water as well as in sea water. The elution rate of the biostimulating agents in turbulent water flow was about 3 times higher than that in standing water, and the elution rate of nitrate was higher than that of sulfate from the stimulating agents.

토양균에서 항생물질의 분리와 구조연구

  • 구양모;이윤영;김경자;최옹칠;김범태;주정호;이재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22-22
    • /
    • 1992
  • 국내의 토양에서 Streptomyces spp.를 분리하였고 이 중 항균활성이 우수한 균주들을 선별하였다. 이들 균주들을 적절한 조건에서 배양하여 얻은 배양액을 이온 교한 수지와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항생물질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항생물질들은 Bacillus subtilis, Pyricularia oryzae, Alternaria mail, Candida albicans, Mycobacterium smegmatis, Pseudomonas aeruginosa , 및 Escherichia coli에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항생물질들을 산으로 가수분해하고 흡착관 크로마토그래피로 가수분해 생성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항생물질과 가수분해 생성물들의 $^1$IH-NMR, $13^{C}$ -NMR, FAB-Mass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구조를 연구하였다.

  • PDF

Antitumor constituents in the Achillea species (Achillea 류 생약의 항암 성분 연구)

  • 이강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09-209
    • /
    • 1994
  • 천연자원으로부터 얻어진 항암 또는 세포독성물질로는 주로 alkaloid, lignan, terpenoid, macrolide 등에 속하는 물질들이고 그 중 sesquiterpene lactone계열 화합물에서 세포독성 및 항종양 활성이 있는 물질이 다수 얻어졌으며 그 대부분은 국화과의 식물에서 분리 보고되고 있다. Achillea 속 식물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남한에는 톱풀과 산톱풀 2종만이 자생한다. screening 결과 이 두 식물에는 segquiterpene lactone 화합물과 Peroxide등 다수의 활성성분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본 연구에 착수하였다. 두 식물의 각 분획에 대하여 SNU-1(위암세포주)과 SNU-354(간암세포주)를 이용해 검색한 결과 두 식물 모두 MC ext.와 MeOH ext.에서 현저한 세포독성을 보였으며 현재 MC ext. 로부터 세포독성물질의 분리를 수행하고 있다. EtOAc ext.는 세포독성은 거의 나타내지 않았으나 flavonoid 성분이 다수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면역활성 및 enzyme inhibition등의 활성을 검토하고자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그 결과 톱풀로 부터는 luteolin-7-0-glucoside와 apigenin-7-0-glucoside를 그리고 산톱풀로부터는 luteolin-7-0-glucoside, apigenin-7-0-glucoside, luteolin, apigenin을 분리 확인 동정하였다.

  • PDF

Immunotoxin using plant toxins for cancer theraphy (식물성 Toxin 류를 이용한 Immunotoxin 연구)

  • 이강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10-210
    • /
    • 1994
  • 천연자원으로부터 얻어진 항암 또는 세포독성물질로는 주로 alkaloid, lignan, terpenoid, macrolide 등에 속하는 물질들이고 그 중 sesquiterpene lactone계열 화합물에서 세포독성 및 항종양 활성이 있는 물질이 다수 얻어졌으며 그 대부분은 국화과의 식물에서 분리 보고되고 있다. Achillea 속 식물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남한에는 톱풀과 산톱풀 2종만이 자생한다. screening 결과 이 두 식물에는 segquiterpene lactone 화합물과 Peroxide등 다수의 활성성분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본 연구에 착수하였다. 두 식물의 각 분획에 대하여 SNU-1(위암세포주)과 SNU-354(간암세포주)를 이용해 검색한 결과 두 식물 모두 MC ext.와 MeOH ext.에서 현저한 세포독성을 보였으며 현재 MC ext. 로부터 세포독성물질의 분리를 수행하고 있다. EtOAc ext.는 세포독성은 거의 나타내지 않았으나 flavonoid 성분이 다수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면역활성 및 enzyme inhibition등의 활성을 검토하고자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그 결과 톱풀로 부터는 luteolin-7-0-glucoside와 apigenin-7-0-glucoside를 그리고 산톱풀로부터는 luteolin-7-0-glucoside, apigenin-7-0-glucoside, luteolin, apigenin을 분리 확인 동정하였다.

  • PDF

Phenanthrene Uptake by Surfactant Sorbed on Activated Carbon (활성탄에 흡착된 계면활성제에 의한 Phenanthrene 흡착)

  • Ahn, Chi-Kyu;Woo, Seung-Han;Park, Jong-Moon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3 no.2
    • /
    • pp.1-11
    • /
    • 2008
  • Phenanthrene uptake by surfactant sorbed on activated carbon was investigated to recycle of surfactant in washed solution for contaminated soil. The partitioning of phenanthrene to the activated carbon coating with Triton X-100 as a surfactant was also evaluated by a mathematical model. Phenanthrene-contaminated soil (200 mg/kg) was washed in 10 g/L of surfactant solution. Washed phenanthrene in solution was separated by various particle loadings of granular activated carbon through a mode of selective adsorption. Removal of phenanthrene was 99.3%, and surfactant recovery was 88.9% by 2.5 g/L of granular activated carbon, respectively. Phenanthrene uptake by activated carbon was greater than that of phenanthrene calculated by a standard model for a system with one partitioning component. This is accounted for enhanced surface solubilization by hemi-micelles adsorbed onto granular activated carbon. The effectiveness factor is greater than 1 and molar ratio of solubilization to sorbed surfactant is higher than that of liquid surfactant. Results suggest that separation of contaminants and surfactants by activated carbon through washing process in soil is much effective than that of calculated in a theoretical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