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활물기생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산 미기록 고치벌 Rhogadopsis obliqua (벌목: 고치벌과: 꽃파리고치벌아과)에 대한 보고 (A New Record of Parasitic Wasp, Rhogadopsis obliqua (Hymenoptera: Braconidae: Opiinae), from South Korea)

  • 한윤종;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1-4
    • /
    • 2023
  • Rhogadopsis속은 주로 굴파리에 기생하는 고치벌로 Opius속의 아속으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시맥의 형태와 단계통 분기군을 형성함에 따라 Rhogadopsis속은 속으로 격상되었다. 전라남도 여서도에서의 동물상 조사 결과, Rhogadopsis obliqua의 수컷 표본을 쓸어 잡기로 채집되었다. Rhogadopsis obliqua의 기술과 진단 형질 도판을 수록한다.

한국산 미기록 고치벌 Phaedrotoma (벌목: 고치벌과: 꽃파리고치벌아과)속 2종에 대한 보고 (Two New Records of Braconid Wasps, Genus Phaedrotoma (Hymenoptera: Braconidae: Opiinae), from South Korea)

  • 한윤종;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9-13
    • /
    • 2023
  • Phaedrotoma속은 주로 과실파리과, 혹파리과, 물가파리과, 꽃파리과, 똥파리과, 초파리과의 유충에 기생을 하는 고치벌로 한국에는 12종이 기록되어 있다. 본 조사연구 결과로 Phaedrotoma rugulifera와 Phaedrotoma vermiculifera 2종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이들의 표본은 쓸어잡기로 채집되었다. 두 종의 기술과 진단형질도판을 수록한다.

Aspergilli에 기생(寄生)하는 Penicillium rugulosum에 대(對)하여 (Penicillium rugulosum Parasite on Aspergilli)

  • 이배함;채희병;이복권;심성보
    • 한국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5-52
    • /
    • 1976
  • 기생미생물(寄生微生物)에 대한 연구(硏究)에서 숙주(宿主)와 기생균(寄生菌)을 분류동정(分類同定)하고 성장과정(成長過程)과 그 처리조직학적(處理組織學的) 해부학적(解剖學的) 구조(構造)를 광학(光學) 및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을 통하여 관찰(觀察)하고, 이종간(二種間)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구명(究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숙주(宿主)와 기생균(寄生菌)은 Aspergillus niger와 Penicillium rugulosum으로 각각 동정(同定)되었다. 2. 기생균(寄生菌)은 숙주(宿主)의 Sterigmata에 기생(寄生)하고 있는 것을 관찰(觀察)하였다. 3. 기생상태(寄生狀態)의 진행(進行)에 따라 숙주(宿主)의 세포(細胞) 내용물(內容物)이 소실(消失)되어 간다. 4. 기생균(寄生菌)은 합성배지(合成培地)에서도 배양(培養)되므로 활물기생(活物寄生)이 아니다.

  • PDF

한국산 미기록종 Bitomus indicus 에 대한 보고 (A New Record of Parasitic Wasp, Bitomus indicus (Hymenoptera: Braconidae: Opiinae), from South Korea)

  • 한윤종;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65-369
    • /
    • 2023
  • 굴파리과에 기생하는 종으로 알려진 Bitomus (갗고치벌속)는 한국에 4종 보고되어있다. Bitomus는 Fischer (1987, 1994)에 의해 개정되었고, Papp (1978, 1981)에 의해 한국에서 보고되었다. Bitomus는 움직이지 않게 연결된 마치 껍질과 같은 2-3번째 또는 4번째 복부마디로 다른 속들과 구별된다. 본 조사연구 결과로 Bitomus indicus를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기술과 진단형질도판을 수록한다.

포장에서 녹병 병원균인 Puccinia zoysiae에 대한 한국잔디의 종별 상이한 반응 (Different Responses of Zoysiagrass (Zoysia spp.) Ecotypes against Puccinia zoysiae Causing Rust Disease in Field)

  • 성창현;이정호;구준학;홍점규;윤정호;장석원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56-259
    • /
    • 2016
  • 활물기생 병원성 진균류인 Puccinia zoysiae는 한국에서 한국잔디류(Zoysia spp.)에 녹병을 일으켜 피해를 준다. 그 곰팡이는 감수성 한국잔디의 잎과 줄기에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들 중 하나이다. 한국잔디 녹병이 2014년과 2015년 경남 합천, 충북 음성, 경기 양주에서 발견되었다. 포장에서 한국잔디 녹병은 잎에 작은 하얀 반점으로 나타나고 갈색으로 변한 후 여름 포자가 형성되는 전형적인 증상을 나타냈다. 여름포자는 연한 갈색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22.0{\sim}25.0{\times}15.0{\sim}17.5{\mu}m$의 범위였다. 채집한 여름포자로부터 들잔디에 대한 병원성이 확인되었고, 형태적인 특성을 기초로 병원균은 P. zoysiae로 동정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한국잔디 녹병은 6월 중순부터 10월 중순까지 관찰되었다. 포장에서 금잔디는 들잔디에 비해 지역에 관계없이 상대적으로 저항성을 보였고, 금잔디와 들잔디 모두 계통 간에 병 반응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송이균(松茸菌) (Tricholoma matsutake)의 배양환경(培養環境)에 대한 증식반응(增殖反應)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Multiplication Response of "Tricholoma matsutake" (Pine Mushroom) Conidio to Cultural Media Environment)

  • 김창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33-41
    • /
    • 1984
  • 송이(松茸)는 적송(赤松)의 세근(細根)에 활물기생(活物寄生)한다고 하나 그 본질(本質)이 아직 구명(究明)되지 못하고 있음으로 인공재배(人工栽培) 확립(確立)이 모색(模索)되고 있는 중이다. 본논문(本論文)에서는 일차적(一次的)으로 송이(松茸)에서 순수분리(純粹分離)한 균(菌)을 배양(培養)하여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고 인공원기(人工原基)를 만들어 인공적(人工的)인 송이재배(松茸栽培)의 본질(本質)을 구명(究明)하여 송이재배(松茸栽培) 방법(方法)을 돕고자 송이균(松茸菌)의 생리특성(生理特性)에 대(對)하여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각종(各種) 배양기상(培養基上)에서의 송이균계(松茸菌系)의 발육(發育)은 봉밀(蜂蜜)+송이발생토양전즙(松茸發生土壤煎汁)+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건조효모(乾燥酵母)+$KH_2PO_4$+Inositol+엽산(葉酸)+Biotin의 배지(培地)가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2) 송이포자(松茸胞子)의 발아(發芽) 및 균계배양(菌系培養)에서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4^{\circ}C$, 최적(最適) pH는 4.5였다. 3) 송이균계배양(松茸菌系培養)에 있어서 송이자실체(松茸字實體)의 조직(組織)에서 분리(分離)한 것과 포자(胞子)에서 분리(分離)한 것은 그 발율(發育)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4) Hamada 배지(培地)에 각종(各種) 미량중금속염류(微量重金屬鹽類) $ZnSO_4$, $MnSO_4$, $MgSO_4$, $CaCl_2$ 구연산철(枸櫞酸鐵) 등(等)의 첨가(添加)는 별효과(別效果)가 없었다. 5) 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 첨가(添加)는 균계발육(菌系發育)에 확실(確實)한 효과(效果)가 있었다. 적송(赤松)에는 송이균계(松茸菌系)의 생장(生長)을 촉진(促進)하는 인자(因子)가 존재(存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송이균계(松茸菌系) 배양용(培養用) 인공배양기(人工培養基)의 C원(源)으로서 glucose보다 봉밀(蜂蜜)의 효과(效果)가 크다. 7) Fairy Ring이 가장 많이 존재(存在)하는 미생물(微生物)인 Mortierlla spp의 배양여액(培養濾液)을 송이균계(松茸菌系) 인공배양기(人工培養基)에 첨가(添加)한 것이 대조치(對照値)에 비(比)하여 균계(菌系)의 발육(發育)이 양호)良好)하였다. 8) 송이인공원기(松茸人工原基)의 배지(培地)에 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 lnsitol Biotin 엽산(葉酸)의 첨가(添加)는 효과(效果)가 크다. 균계(菌系)의 만연(蔓延)된 후(後) 온도(溫度)를 내려서 $19^{\circ}C$로 유지(維持)할 때 primordium의 형성(形成)을 확인(確認)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