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자 평가

Search Result 5,66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Patients' Self-rating and Nurses' Rating on Health Literacy of Hospitalized Patients (입원환자 의료정보이해능력에 대한 환자 자가평가와 간호사 평가)

  • Park, Soon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4
    • /
    • pp.434-443
    • /
    • 2017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patients' self-rating and nurses' rating on health literacy of hospitalized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Korean Functional Health Literacy Test (KFHLT) which was revised for hospitalized patients and Single Item Literacy Screener. A total of 178 subjects, which consisted of 89 hospitalized patients and 89 nurses taking care of them, were recruited from medical and surgical wards of E university hospita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health literacy score of the subjects was $11.45{\pm}4.22$ out of 17 and the average correct answer rate was 67.3%. Patient health liter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education, occupation and reading handouts. The patients' self-rating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ealth literacy measured by KFHLT while nurses' rating did no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tients' self-rating and nurses' rat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patients' self-rating might be available to assess patient health literacy in hospitals and a careful approach is required when nurses use a single-item rating.

Influential Factors on patient assessment Execution Given Emergency Medical Care Transportation of Cerebro-Vascular Accident Patients (뇌혈관질환 환자 이송 시 환자평가 시행에 미치는 요인)

  • Roh, Sang-Gyun;Kim, Je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178-181
    • /
    • 2012
  • 이 연구 대상자는 일개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로 소방구급대를 통해 내원한 환자 중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뇌졸중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이송 시 환자평가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환자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분류(응급, 비응급, 지연), 의식상태(AVPU 척도)보다는 구급대원 자격별이 병원 전 뇌졸중 환자 이송 시 환자평가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수술 전 평가와 마취

  • 오용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v.2 no.3
    • /
    • pp.117-122
    • /
    • 2002
  • 전통적으로 수술 전 평가는 수술 전날 밤에 시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외래수술을 받는 환자의 증가로 인하여 많은 환자들이 수술 당일 아침에 마취과 의사를 처음 만나게 되는 경우가 많고 심지어는 심각한 내과적 문제를 가진 환자들도 충분한 수술 전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사태에서 수술실로 들어오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마취과의사는 주술기(perioperative)의 환자 상태를 관리하는 주된 역할자로서 수술 전 환자에 대한 평가를 충실히 해야 한다. 수술 전 평가는 환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고, 수술 중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에 대비하며, 수술실을 넘어서 중환자실, 통증치료실에서의 마취의사의 역할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 발전하고 있는 수술 전 평가 클리닉은 환자의 수술준비의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마취의사에게는 상당한 장점과 편리성을 제고하는 것이고, 환자 관리의 질적 향상과 급변하는 병원관리정책의 요구에 부합하는 것이다.

  • PDF

Preoperative Evaluation and Anesthesia (수술 전 평가와 마취)

  • 오용석
    • 대한위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4a
    • /
    • pp.37-46
    • /
    • 2002
  • 전통적으로 수술 전 평가는 수술 전날 밤에 시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외래수술을 받는 환자의 증가로 인하여 많은 환자들이 수술 당일 아침에 마취과 의사를 처음 만나게 되는 경우가 많고 심지어는 심각한 내과적 문제를 가진 환자들도 충분한 수술 전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수술실로 들어오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마취과의사는 주술기(perioperative period)의 환자 상태를 관리하는 주된 역할자로서 수술 전 환자에 대한 평가를 충실히 해야 한다. 수술 전 평가는 환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고, 수술 중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에 대비하며, 수술실을 넘어서 중환자실, 통증치료실에서의 마취의사의 역할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 발전하고 있는 수술 전 평가 클리닉은 환자의 수술준비의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마취의사에게는 상당한 장점과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고, 환자 관리의 질적 향상과 급변하는 병원관리정책의 요구에 부합하는 것이다.

  • PDF

Preoperative Evaluation (마취과적 수술전 평가)

  • Lee, Bong-Jae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16 no.2
    • /
    • pp.87-94
    • /
    • 2008
  • Every anesthetic begins with preoperative evaluation. This meeting of patient and anesthesiologist allows for an exchange of information, an assessment of physical status, and the formulation of an anesthetic plan. The aim is to have the patient in the best possible condition, both mental and physical, prior to surgery. The preoperative visit is as important as any aspect of introperative management in providing a safe, effective anesthetic.

  • PDF

Nursing Management - Based on the role of head nurse

  • Kim Moon Sil
    • The Korean Nurse
    • /
    • v.25 no.4 s.137
    • /
    • pp.62-74
    • /
    • 1986
  • 한국경제 수준의 향상과 보험제도의 도입으로 병원을 찾는 대상자의 수가 증가하게 되었다. 아울러 저렴한 보험숫자가 병원슷가가 병원의 경영난을 초래하게 되므로 병원주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병원관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특히 간호부(과)에서도 목적 지향적인 계획과 업무수행에 관심을 갖게 되어 그 관리체계나 간호의 질이 향상하기 시작하였다.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관리란 그 내용이 방대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수간호원의 역할에 중점을 두었다. 즉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평가 중 소급평가로써 퇴원환자 기록지 감사, 퇴원예정환자면접 및 병실 집담회에 관한 내용과 동시 평가로써 환자 기록지 감사 및 환자 면접 내용에 관해서 논하였다. 또한 인력관리를 위해서는 간호원-환자간의 관계, 간호원-의사간의 관계, 직무평가, 업무평가 및 간호인력 활용에 관해서 미국과 한국의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간호관리는 병원표준화 심사실시 및 간호원의 계속적인 노력으로 많은 향상을 보았으나 아직까지는 간호업무 수행절차에 관한 평가에 불가하므로 목적 지향적인 업무체계화와 한국병원상황에 적합한 평가도구의 틀개발과 질적간호를 위한 적정간호인력의 확보에 관한 노력이 계속되져야 한다고 본다.

  • PDF

Pre-post comparison Analysis of Patient assessment education for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EMTs)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한 환자평가 교육 전·후 수행도의 비교)

  • Lee, Moo-Sang;Lee, Seul-Ki;Kim, Gi-W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7
    • /
    • pp.211-219
    • /
    • 2016
  •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make pre-post comparisons of education done for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 on the patient assessment performance. The data are expected to offer applicable training methods and educational resources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s. Twenty six EMT from four cities and provinces participated in the study, which was carried out from 14 to 17 December, 2015. The technicians performed a patient assessment and marked reports on simulated patients. In the course of the assessment, a pre-post evaluation of education was done using a checklist regarding the respective symptoms, such as headache, chest pain, and dyspnea. The median value (quartile value) was used as the descriptive analysis. While patient assessment scores marked 66 points (54.00-80.25) out of 100 (p<0.01) before edu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fter-education scores, which reached 88.5 points (80.00-93.00). The patient assessment performances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p<.0.01) in 5 chest pain, 7 headache, and 9 dyspnea items after education. Similarly, there was an increase in wanting to meet the EMT again scale in regards to categories involved in developing positive relations with patients. Moreover, the adequacy in the patient condition reports all marked a significant increase (p<0.01) in assessment categories.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education based on simulation practices are necessary for improvements in patient assessment performance of 119 EMT. Therefore, practical and systematic patient assessment educations may serve as a prerequisite. Further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for the EMT consistently.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raniomandibular Index in the Assessment of Craniomandibular Disorders (두개하악장애의 평가에 이용되는 두개하악장애지수의 개선에 관한 연구)

  • Yun-Heon Song;Ki-Suk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0 no.2
    • /
    • pp.347-360
    • /
    • 1995
  • 악관절장애환자의 임상 평가를 위해서 고안된 여러 지수 중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두개하악장애지수와 평가방법을 새로 고안한 변형 두 개하악장애 지수, 혼합두개하악장애지수를 비교하여 환자의 증상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하는 능력을 알아보고자 본연굴를 시행하였다. 두개하악장애지수의 기준에 따라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악관절장애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임상검사를 시행하여 두개하악장애지수, 변형두개하악장애지수, 혼합 두 개하악장애 지수를 산출하였다. 치료전, 치료후 2주, 치료후 4주에 수집된 결과를 각 지수간에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악관절장애환자의 증상평가에서 변형두개하악장애지수가 환자의 증상변화를 가장 민감하게 감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사용된 세가지 지수중 변형 두개하악장애지수가 악관절장애환자의 경과를 관찰할 때 증상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신항암제 2-N(2-dimethylaminoethyl) 9-hydroxy ellipticiniam chloride (Datelliptinium)를 이용한 항암제 제 2상 임상시험 모델연구

  • 노재경;노형근;정현철;최진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58-58
    • /
    • 1992
  • 연구자들은 제 2상 임상시험의 모델을 검토하기 위하여, 비무작위적 제 2상 임상시험을 진행 위선암환자에서 시행하였다.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인되고, 객관적으로 계측가능 병변이 있는 위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위선암의 조직 진단은 위선암의 모든 유형을 포함하였다. 환자는 (Datelliptinium)율 1일 250 mg/$m^2$씩 3일 연속 30분에 걸쳐 정주하고, 매 3주마다 반복하였다. 반응의 완전평가는 초치료전 실시하여, 14-25명의 환자가 포함될 예정으로 시작하여 총 15명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매 환자마다 매 치료 주기전에 평가를 실시하였다. 최소 1주기 (3일 치료)를 끝낸 환자에서도 반응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치료기간은 반응의 정도와 치료에 대한 내약력으로 결정하였고, 만일 치료에 대해 현저한 독성이 발생되지 않는다면, 치료 반응이 계속되는 동안 약물투여를 계속하였다. 국소진행암의 경우 약물의 반응이 현저하고, 환자의 전신상태가 현저히 개선되어 외과적 절제가 가능하면, 관해로 간주하고 외과적 절제를 실시 후 약물은 4회 투여하고 치료 종료 후 추적 관찰할 계획으로 시행하였다.

  • PDF

Comparison between Subjective and Actigraphic Measurement of Sleep in Psychiatric Inpatients (주관적 수면평가와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수면평가의 비교 - 정신과입원환자를 대상으로 -)

  • Jeong, Hyun-Ghang;Lee, Moon-Soo;Ko, Yong-Hoon;Lim, Se-Won;Kim, Seung-Hyun;Jung, In-Kwa;Joe, Sook-Haeng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18 no.1
    • /
    • pp.30-39
    • /
    • 2010
  • Objectives:Assessment of sleep disturbance is an essential part of the diagnostic criteria used for several psychiatric disorders. Change in sleep patterns over time may indicate response to treatment. In clinical practice, sleep is usually evaluated subjectively by patient self-report.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subjective sleep assessment with objective sleep measurement by actigraphy in psychiatric inpatients. Methods:A total of 32 psychiatric inpatients were studied. Patients were asked to wear a wrist actigraphy for three consecutive days and nights and to fill out a sleep log each morning. The severity of depression and anxie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on the first day of the study. The subjective level of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sleep was also evaluated according to visual analog scale. Nurses assessed sleep at one hour interval between 10:00 PM and 6:00 AM for three consecutive nights. Results: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sleep latency between patient's sleep log and acti-graphic measurement. Nursing reports were more consistent with actigraphic measurement than sleep log. Interestingly, subjectively poor sleepers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leep parameters compared with those of good sleepers. Subjectively poor sleepers report longer sleep latency than that of actigraphic assessment. The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assessment of sleep latenc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cores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Conclusion: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screpancies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assessment of sleep. The discrepancy of sleep assessment could be influenced by severe depression and anxiety. Especially objective sleep measurement is needed to assess sleep in psychiatric inpatients with severe depression or anxiety and the subjectively poor sleepers for more reliable measure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