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자 불편감

Search Result 24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이산화탄소 레이저($CO_2$ laser)를 이용한 치은에 발생한 자극성 섬유종의 치료 (Treatment of Gingival Irritation Fibroma Using $CO_2$ Laser)

  • 최영찬;박주현;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2호
    • /
    • pp.119-122
    • /
    • 2010
  • 이산화탄소 레이저(Carbondioxide laser, $CO_2$ laser)는 구강 연조직 수술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레이저의 한 종류로 수분이 많은 연조직에 특히 좋은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수술도, 열소작술, 냉동수술, 전기수술 같은 기존의 외과적 술식들과 비교했을 때, 우수한 지혈 효과, 술 후 부종 감소, 세균집락 감소, 봉합 필요성 감소, 반흔 형성 감소, 술 후 통증 감소 같은 많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30세 남자가 상악 우측 구치부 협측 치은 부위에 발생한 경계가 뚜렷한 유경형 섬유성 병소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방사선 사진 검사 상 특기할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레이저를 이용한 절제 생검 계획하에 $CO_2$ 레이저(Panalas $CO5{\Sigma}$, Panasonic, 4.0W, 연속파 조사 방식)를 이용하여 보존적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병소의 절제 시 최소한의 출혈 양상으로 인해 우수한 시야 확보와 좋은 접근성을 유지할 수 있었고, 술 후 양호한 치유 경과를 보였으며, 환자는 아무런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았다. 조직학적 진단은 "자극성 섬유종(Irritation fibroma)"이었다. $CO_2$ 레이저는 구강 내 병소의 외과적 치료에 적합한 많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으므로, 치과의사들이 레이저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레이저를 이용한 술기에 대한 지식을 적절히 습득하여 사용한다면, 구강 연조직 질환의 효율적인 치료를 위한 좋은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보툴리눔 톡신을 이용한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의 치료 증례 (Case Report : Botulinum Toxin Treatment in Oromandibular Dystonia)

  • 유지원;홍성주;배국진;윤창륙;안종모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4호
    • /
    • pp.421-427
    • /
    • 2009
  •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oromandibular dystonia)은 국소적인 근긴장이상증의 한 형태로, 저작근, 안면근 또는 혀 근육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근경련이 발생하여 불수의적인 개구 및 폐구, 악골의 측방 및 후퇴운동이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에 이환된 환자의 경우, 저작, 연하 및 발음을 하는데 불편감을 가지게 되고, 그 결과 하악 운동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현재까지는 근긴장이상증에 대한 병태생리가 뚜렷히 입증된 바가 없어, 원인에 관련한 치료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약물요법, 행동요법, 외과적 처치 등 다양한 방법이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의 치료법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성공률이 그리 높은 편은 아니며, 많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최근 들어 근긴장이상증에 이환된 근육에 보툴리눔 톡신을 이용한 치료법이 주목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본 증례를 통해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을 중심으로 한 구강안면 운동장애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고찰을 시행하고 해당 질환에서의 보툴리눔 톡신 치료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Charged membrane에 의한 negative electric field가 토끼 장골의 골 치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egative electric field using charged PTFE membrane on Bone Healing of Rabbit Long Bone)

  • 권용수;박진우;이재목;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3호
    • /
    • pp.551-562
    • /
    • 2004
  • 골재생을 위한 술식은 자가골, 합성골 등의 이식술, 골견인술, 골유도 재생술 등이 있으며, 더 나은 결과를 위해서 성장 인자나 cytokine의 적용, 전기적 자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중 골재생을 위한 전기적 자극을 이용한 골재생 방법에서 비교적 양호한 결과가 보고되어지고 있으며, 전기적 자극은 크게 direct current, inductive coupling, capacitive coupling으로 나뉘어 사용, 연구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위의 전기적 자극들은 비교적 침습적이고, 환자들에게 불편감을 줄 수 있으며,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골재생을 촉진하기 위한 비침습적인 전기자극의 방법으로, negatively charged membrane을 이용하여, 토끼 요골의 골절성 결손부에서 negative electric field가 골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8마리 토끼의 양 요골에 10mm의 골절성 결손부를 형성한 후, 코로나 방전 장치로 -l000V로 대전시킨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을 사용하여, 실험군에는 negatively charged membrane을, 대조군에는 noncharged membrane을 적용시킨 후, 2, 4, 6, 8주째 2마리씩 희생하여 조직학적, 조직형태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2주째, 대조군에서 골결손부에 대한 신생골의 비율은 0.32%, 실험군에서는 1.10%로 나타났으며, 4주째 대조군에서 골결손부에 대한 신생골의 비율은 6.86%, 실험군에서는 13.75%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더 많은 양의 신생골이 관찰되었다. 6주와 8주째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더 많은 신생골이 관찰되었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토끼 요골의 골절성 결손부의 골치유에서 negatively charged membrane을 이용한 전기적 자극은 초기 골치유를 촉진시키며, 따라서, 이러한 방법의 전기극은 장골의 치유에 있어 비침습적이며, 유용한 수단이라고 사료된다.

상악동으로 이소맹출한 견치 (ECTOPIC CANINES INTO THE MAXILLARY SINUS)

  • 김현옥;최병재;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35-539
    • /
    • 2000
  • 구강 내에서 치아가 이소맹출되는 것은 흔히 있는 반면에 구강외 다른 부위로의 이소맹출은 드물다. 예를 들어 비강, 턱, 하악과두, 관상돌기, 안와 또는 상악동으로 이소맹출할 수 있으며 그 원인은 불명확한데 구개열과 같은 발육장애, 외상이나 낭종에 의한 치아변위, 상악감염, 유전, 총생 또는 치밀골 등의 원인 요소가 논의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증례에서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는 않았다. 치아가 상악동으로 이소맹출한 경우 무증상일 수 있지만 심각한 병적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증례는 6세 1개월 남환아로 어금니가 아프다는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의과병력과 치과병력조사에서 특이한 사항은 없었고 통상적인 보존치료후 주기적인 임상 및 방사선 사진 검사에서 상악 좌, 우 견치의 맹출경로의 이상소견을 보였다. 13세 7개월에 촬영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상악 좌, 우측 견치가 상악동으로 이소맹출되었으며 Caldwell Luc 수술법으로 제거하였다. 환자는 동통이나 불편감 등을 호소하지 않았으며 종창이나 지각과민 등의 구강내 이상소견은 없었다. 이소맹출되는 치아는 영구치, 유치 및 과잉치일 수 있으며 대부분의 과잉치는 무증상으로 주로 주기적인 방사선 검사시 발견될 수 있다. 정확한 진단 및 치료계획을 세우기 위하여 주기적 인 구강 및 방사선 사진 검사가 필요하다.

  • PDF

만성관절염 환자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ife Satisfaction by Chronic Arthritis Patient)

  • 김원숙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7-97
    • /
    • 1997
  • This study is descriptive research clarifying the relations between physical inconvenience, social aptitude and sense of satisfaction In life of the chronic arthritis patients.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rom 115 patients by structur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and direct interview of the adult patients over the age of 16 years old who had been under treatment in 3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from Oct. 4, 1996 through Oct. 24, 1996 for 20 days. The collected materials have been under t-test and F-test(ANOVA) per variables after computerizing using SPSS packag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ous causes was conduct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ethod.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s : 1) Generally the age of starling the disease was 40-60 with 91 in female(79.0%) and male 88(76.5%), the persons who had the religion showed the high rate of being taken ill and the persons with over high school education have fallen ill by 46.1%. The monthly income has shown that 77.5% was over 1,000,000won or over, the periods of the disease in average was 4 years 3 months showing it was the chronic disease, the degree of recognizing the disease was 19.0%, spouse and children were most concerned about their disease and the part of Joint attacked was knee(73.0%), wrist(43.5%) and others which showed that they have been very inconvenient in daily life. 2) The variables affecting to physical inconvenience were by age (F=9.06, p=.000), education level(F=7.14, p=000), economic standards (F=2.18, p=.05), the period of disease(F=3.09, p=.03), hospitalized or not(F=3.23, p=.002), showing such correlations. 3) The variables affecting to the social adaptation were by age (F=3.47, p=.018), education level(F=4.98, p=.001), periods of taken ill (F=419, p:.007), hospitalized or not (F=3.23, p=.004) and the operation or not (F=1.30, p=.028) showing such correlations. 4) The variables affecting to life satisfaction were by sex(t=2.08, p=.045), economic status(F=3.15, p=.01) being able to explain statistically. Through the above correlations, they are required to receive self-management education positively to elevate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effective nursing arbitration and also they required to be reduced physical inconvenience at the early stage and be helped to be able to lead the quality life in satisfaction by elevating the diverse adaptation to the society by correcting the transformed joint.

  • PDF

AO Hook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Treatment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Using a AO Hook Plate)

  • 이기원;최영준;안형선;김정환;황재광;한희돈;김재현;주윤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67-172
    • /
    • 2009
  • 목적: AO hook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쇄골 관절 완전 탈구의 치료 결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2월부터 2009년 9월까지 AO hook 금속판를 이용하여 견봉쇄골 관절 탈구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삽입물 제거한 1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의 평가는 Constant-Murley score로써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금속판 제거 후 방사선 사진에서 견봉쇄골 관절의 정복 상태 및 오구 쇄골 간격을 측정하였다. 결과: 전예에서 임상적으로나 방사선학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Constant-Murley점수는 평균 90.5(84~95)점이었으며, 3예에서 수술부위에 경미한 통증 및 불편감을 호소하였지만 금속판 제거 후 증상은 해소되었다. 방사선학적으로도 전예에서 쇄골의 수직전위가 정복되었으며 감염, 금속판 파괴, 금속판 제거 후 재탈구 등의 합병증은 관찰 되지 않았다. 결론: AO hook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의 초기 추시 결과는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적절한 전방 유도 재현을 위해 수정된 Dahl 원리 및 CAD/CAM 복제 기법을 이용하여 전치부의 기능 및 심미성을 개선한 보철 수복 증례 (Functional and esthetic improvement through reconstruction of anterior guidance using the modified Dahl principle and copy-milled technique of CAD/CAM system: A case report)

  • 김성호;최유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60-170
    • /
    • 2019
  • 상악 전치부와 같은 기능 및 심미성의 개선이 조화롭게 요구되는 부위의 치료 시에는 다른 부위보다 더 많은 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한다. 특히 전방 유도(anterior guidance)를 결정하는 상악 전치부 설면 외형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면, 기능적인 불편감과 함께 전체 치열의 불안정성을 야기한다. 적절한 원리를 이용하여 전방유도를 설정한 후 임시 수복물 제작 및 조정을 통해 조화로운 전방 유도를 확보했다면 임시 수복물의 설면 외형을 최종 보철물로 정확하게 재현하는 방법에 대해 주의 깊게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증례에서는 체계적인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수정된 Dahl 원리(modified Dahl principle) 및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시스템의 복제 기법(copy-milled)을 이용하여 적절한 전방 유도를 설정하고, 지대치의 디지털 이미지와 임시 수복물의 디지털 이미지를 중첩시켜 보다 정확하게 보철물 형태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이에 기능적, 심미적 개선을 도모하여 환자와 술자 모두에게 만족스러운 치료결과 및 예후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어린이에서 저속 상악 확장에 따른 골격성, 치아치조성, 기도 변화에 대한 3차원적 평가 (Three Dimensional Skeletal, Dentoalveolar and Airway Space Changes after Slow Maxillary Expansion in Children)

  • 김나운;이대우;김재곤;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55-167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상악 확장 속도에 따른 치아치조성, 골격성 효과 및 상기도에 대한 효과를 CBCT를 통해 3차원적으로 분석하여 저속 상악 확장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전북대학교 소아치과에서 Banded hyrax를 이용하여 상악 확장을 시행한 23명(평균 8.93 ± 1.61세)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확장 속도에 따라 저속 상악 확장군과 급속 상악 확장군으로 분류되었다. 치료 전후의 치아치조성, 골격성, 기도 부피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치료전(T0)과 치료 종료 및 유지 후(T1)에 촬영한 CBCT를 사용하였다. 상악 확장 결과 두 군 모두에서 치아치조성, 골격성 측정 값 및 상기도 부피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또한 모든 측정 값에서 저속 상악 확장과 급속 상악 확장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는 혼합치열기 어린이에서 저속 상악 확장의 효과에 대해 확인하였다. 저속 상악 확장은 치아치조성, 골격성 측정 값 뿐만 아니라 기도 부피, 상악동 기체 부피에서도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급속 상악 확장의 효과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소아치과의사는 성장기 어린이의 치주 조직의 생리적 측면, 불편감에 따른 협조도 등을 고려하여 급속 상악 확장과 저속 상악 확장 중 적절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타액 연구의 최신 지견과 임상 응용 (Trends in Saliva Research and Biomedical Clinical Applications )

  • 박소영;이은경;신종현;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12
    • /
    • 2023
  • 타액선의 기능과 타액의 구성성분은 개체의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타액에서 바이러스와 미생물, 호르몬, 면역 및 대사산물 등을 검출하는 미량원소 분석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신건강의 진단, 평가, 예방 분야에서 타액의 활용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진단 검체로써 타액은 혈액에 비해 채취 방법이 비 침습적이어서 환자의 불편감이 적고 비 전문가에 의한 검체 수집이 가능할 뿐 아니라 채취과정 중 감염 위험성이 낮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스트레스, 마이크로바이옴, 유전학 및 후생유전학 분야의 연구에 있어 타액 내 단백질, 유전물질이나 각종 생체표지자 등을 활용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또한 전신 건강에 대한 빅데이터 수집 연구와 관련하여 타액을 효율적으로 활용, 보관하기 위한 인체 자원 은행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조직공학과 접목하여 타액선 재생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검체 채취법이나 보관, 활용 방법의 표준화를 비롯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으므로, 본 리뷰에서 타액 및 타액선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조기위암으로 위 절제술 후 갑자기 발생한 췌담도암으로 오인되었던 재발성 위암 1례 (Recurrent Early Gastric Cancer with Liver Metastasis Mimicking Pancreaticobiliary Cancer)

  • 이병후;조주영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48-51
    • /
    • 2013
  • 73세 남자 환자로 약 1개월 전부터 상복부 불편감 주소로 본원 내원 후 시행한 상부 내시경 검사상 하체부 전벽측의 조기위암으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을 시행하였다. 조직검사 결과 저분화도(poorly differentiated type)의 선암이 발견되었고, 절제면의 암세포 침범 소견은 없었으나, 점막하 2층(900 um)까지 침윤된 소견과 일부 림프선 전이 소견이 보여 위 절제 수술(subtotal gastrectomy)을 시행하였다. 조직검사 결과 점막층에 국한된 저분화도의 선암이 발견되었고, 그 외 림프절 전이 등의 소견은 보이지 않아 수술 후 병기 1기의 조기위암(T1N0M0, stage IA) 으로 진단 후 추가적인 항암치료 없이 추적관찰을 하였다. 이후 6개월 마다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술과 상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2년째 시행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결과 간의 다발성의 전이성암으로 의심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간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고, 조직검사 결과 저분화도의 선암으로 발견되었으며, 원발 병소를 확인하기 위해 면역화학 검사를 시행한 결과 췌담도 계통의 암에서 특징적으로 보일 수 있는 CK7과 CK19이 강양성 소견을 보여 담도암의 간전이로 의심하였다. 이후 췌담도 MRI 및 PET 검사 등을 시행 하였으나, 담도암 등의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위암은 특징적으로 발생 기전에서 다양한 내적 및 외적 원인들(nitrosamine, H. pylori, E-cadherin mutation 등)로 인해 면역 화학 조직검사 결과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heterogeneous cytokeratin expression pattern) 면역화학 검사 결과만으로 위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위암의 간전이로 진단 후 항암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면역화학 검사에서 췌담도 계통의 암으로 오인되었던 재발성 전이성 위암의 증례 1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