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자체형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2초

가중치 퍼지 분류기를 이용한 사상 체질 분류 (Classification of Sasang Constitutions Using Weighted Fuzzy Classifier)

  • 신상호;범수균;우영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4-31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사상체질분류검사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상체질을 진단할 때,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상체질 분류 함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퍼지 분류기를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는 9개 한의과대학의 10개 부속한방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 각 병원의 사상체질전문의로부터 체질진단을 받고 최소한 4주 이상 사상체질 처방을 사용한 후 주 증상이 전반적으로 호전되어 체질이 확인된 환자 1,914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상체질의학의 광제설을 토대로 환자의 성별을 분리 하였을 뿐만 아니라, 비만도를 추가적으로 분류하였으며, 체형기상, 용모사기, 성질재간, 병증약리 중 체형기상을 토대로 분류하였으며, 사상체질을 판별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구현되었다.

  • PDF

일배체형에 기초한 고혈압과 ACE 유전자의 연관성 분석 (Haplotype-Based Association and Linkage Analysis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ACE) Gene with a Hypertension)

  • 김진흠;남정모;강대룡;서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18권2호
    • /
    • pp.297-31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강화연구(서일, 2004)를 통해 수집된 277명의 환자-대조군 자료와 40개의 가계 자료를 이용하여 ACE(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유전자 내에 있는 4개의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으로 이루어진 일배체형(haplotype)과 고혈압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배체형에 기초한 환자-대조군의 우도비 검정과 가계 자료의 TDT(transmission/disequilibrium test)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이 일배체형을 동정(identification)할 수 있는 tag-SNPs에 기초하여 동일한 연구를 하고자 하며, Seltman 등(2003)이 제안한 분기도(cladogram) 분석 방법을 써서 일배체형의 진화 과정에서 가깝게 위치하고 질병 발생 위험이 비슷한 클레이드(clade)를 찾아내고 이 클레이드와 고혈압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EM 알고리듬을 이용한 단일염기변이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군의 일배체형 (HAPLOTYPE) 비율 추정 (Estimation of Haplotype Proportions in Single Necleotide Polymorphism Group Using EM Algorithm)

  • 김선우;김종원;이경아
    • 응용통계연구
    • /
    • 제16권2호
    • /
    • pp.195-202
    • /
    • 2003
  • 복합성유전질환 연구에 있어서 단일염기변이를 이용한 일배체형 분석은 개별적인 단일염기변이 분석에 비하여 비용 및 효율 면에서 훨씬 유용하며, 생물학적으로도 기능적 중요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유전형분석방법을 이용한 단일염기변이군 자료는 이배체형(diploid)으로서 위상(phase)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일배체형 비율을 예측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고형종양 환자군과 정상군의 단일염기변이군 이배체형 자료가 주어졌을 때 단일염기변이군 일배체형 비율의 우도함수에 EM알고리듬을 적용하여 각 일배체형의 비율을 추정하였다. 이로부터 단일염기변이간의 연관불균형(linkage disequilibrium)을 분석하여 고형 종양과 연관 가능성이 있는 단일염기변이를 살펴보았다.

8주간의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천장관절 증후군 남성의 근체형 및 주관적 통증정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l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to Muscle Body Type and Subjective Pain Degree of Men Who Have Sacroiliac Joint Syndrome)

  • 백순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651-658
    • /
    • 2014
  • 본 연구는 천장관절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중년남성 17명을 대상으로 슬링을 이용한 요부 안정화 운동이 근체형 및 주관적 통증에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여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의 효과성을 증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C시에 소재한 S정형외과에서 X-Ray 등의 검사를 통하여 천장관절 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6개월 이상의 병력이 있는 만성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을 8주간 주 3회씩 1회 30분 통 24회 실시한 후 3차원 Moire 근체형검사기를 사용하여 근체형의 변화와 변형된 VAS통증 자각도를 이용하여 주관적 통증정도의 전 후 변화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근체형의 변화는 운동전과 운동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됐고 주관적 통증정도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은 천장관절 증후군 환자의 근체형 및 통증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환자-대조군 연구에서 인구집단 층화가 일배체형 경향성 검정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Effects of Population Stratification on Haplotype Trend Test in Case-Control Studies)

  • 김진흠;강대룡;임현선;남정모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5호
    • /
    • pp.1085-1096
    • /
    • 2009
  • 환자-대조군 연관성 연구에서 후보 유전자와 질병이 연관되어 있지 않더라도 인구집단 층화로 인해 가짜 연관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배체형에 기초한 환자-대조군 연관성 연구에서 인구집단 층화로 인한 가짜 연관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Zaykin 등 (2002)이 제안한 일배체형 경향성 모형에 인구집단 층화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고자 한다. Zaykin 등 (2002)의 모형과 제안한 모형에 기초한 일배체형의 유의성 검정에서 인구집단 층화와 인구집단에 대한 관측 오차가 제1종 오류율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인구집단이 층화되어 있지만 각 개체가 속한 인구집단을 정확히 알 수 있을 때, Zaykin 등 (2002)의 모형에 기초한 검정은 제1종 오류율을 잘 조절하지 못했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에 기초한 검정은 제1종 오류율을 잘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구집단이 층화되어 있고 관측 오차가 존재하면 제안한 모형에 기초한 검정도 제1종 오류율을 조절하지 못하고 명목 유의수준보다 큰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일염기다형성에 기초한 환자-대조군 연관성 연구와 마찬가지로 일배체형에 기초한 환자-대조군 연관성 연구에서도 인구집단 층화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할지라도 그 속에 관측 오차가 존재하면 위양성을 피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2주간의 슬링운동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자의 근체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2Weeks Sling Exercise on the Change of Muscular Body Type in Patients wit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 백순기;이종복;정해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317-323
    • /
    • 2014
  • 본 연구는 슬링운동이 근골격계질환자들의 근체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D광역시 H산업체 근로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10명)과 대조군(10명)으로 나누어, 12주간 실험군에게 슬링운동 적용 전 후의 근체형을 비교분석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18.0 을 이용하였고, 12주간 슬링운동 전 후의 집단 간 비교는 대응 t-test를 이용하였다. 12주간 슬링운동을 실시한 결과, 실험군(10명)의 흉부, 요부 및 배부에서 모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대조군(10명)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12주간의 슬링운동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자들의 근체형 변화에 도움을 주는 의미 있는 운동으로 사료된다.

전립선 암 입체적세기변조방사선치료 시 체형 및 에너지 변화에 따른 선량 평가 (Dosimetric comparison for Prostate VMAT of weight and photon energy change)

  • 조광섭;김민우;백민규;채종표;하세민;이상봉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0권1_2호
    • /
    • pp.17-25
    • /
    • 2018
  • 목 적 : 전립선 암 환자의 입체적세기변조방사선치료(VMAT)시 복부체형 및 에너지 변화에 따른 선량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립선암으로 본원에 내원한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부체형을 -2.0 cm에서 2 cm까지 0.5 cm씩 변화시키는 동시에 6, 10, 15 MV 각각의 에너지에서 VMAT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체형변화에 따른 표적장기 내 선량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PTV의 선량도(Conformal index, CI), 선량균등도(Homogeneous index, HI), $D_{max}$ $D_{95%}$, $D_{50%}$, $D_{2%}$를 조사하였고, 정상조직 내 선량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직장과 방광의 $V_{70Gy}$, 대퇴부 머리의 $D_{max}$를 분석하였다. 결 과 : PTV 내의 $D_{max}$ 값 중 6 MV에서는 1.0 cm의 체형 감소에서 107.2 %로 선량이 상승하였고, 10 MV와 15 MV에서는 1.5 cm 체형 감소에서 각각 107.1 %, 107.0 %로 선량이 증가하였다. PTV 내의 $D_{50%}$ 값 중 6MV에서는 1.0 cm의 체형 증가에서 99.64 %로 선량이 감소하였고, 10 MV와 15 MV에서는 1.5 cm 체형 증가에서 각각 99.78 %, 99.97 %로 선량이 감소하였다. 2.0 cm 체형 증가에서는 각각 99.30 %, 99.52 %로 선량 감소를 보였다. 직장과 방광에 대한 선량은 체형이 감소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선량이 증가하였고, 체형이 증가됨에 따라 선량이 감소하였다. 6 MV에서 가장 급격한 선량 감소를 보였으며, 10 MV에서 직장 $V_{70Gy}$는 체형이 2.0 cm 줄어들 때 11.50 %에서 12.76 %로 증가했다. 방광 $V_{70Gy}$도 14.0 %에서 15.2 %로 증가했다. 또한 대퇴부 머리에서도 체형이 감소됨에 따라 선량이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결 론 : VMAT 치료시 복부체형 변화에 따라 선량분포 결과가 바뀔 수 있는데, 치료 시 SSD 및 CBCT를 이용하여 6 MV에서는 체형이 1 cm 이상 감소되거나 1.0 cm 이상 증가되었을 때, 10 MV와 15 MV에서는 1.5 cm 감소 또는 1.5 cm 증가되었을 시 re-simulation을 통해 치료계획을 새로 세워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PDF

복벽성형술 (Abdominoplasty)

  • 설정현;정재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287-297
    • /
    • 1993
  • 생활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개선으로 복부지방의 과다축척은 여성에게 체형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심하면 요척추관절에 퇴행성병변이 유발되어 요통과 운동장애가 올 수 있다. 이러한 복부지방의 과다축척을 성형외과적 복벽 성형수술 방법으로는 지방흡인술(liposuction)과 피부지방절제술(dermolipectomy)의 2가지 방법이 있는데 적당한 환자의 선택, 적당한 수술방법의 선택 혹은 두가지 방법을 적당히 병용함으로 복부지방제거와 더불어 체형의 개선에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디지털 엑스선 장비의 사지 검사 시 환자 체형에 따른 관전압 최적화 (Optimization of Tube Voltage according to Patient's Body Type during Limb examination in Digital X-ray Equipment)

  • 김상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79-385
    • /
    • 2017
  • 본 논문은 디지털 엑스선 장비(DR)에서 사지 검사 시 환자 체형 변화에 따른 최적의 관전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지검사는 면적선량(DAP) $5.06dGy{\ast} cm^2$, 하지검사는 DAP $5.04dGy{\ast} cm^2$ 고정한 상태에서 관전압을 4단계 변화시키며 각 단계마다 3회씩 반복 촬영하였다. 환자의 체형의 변화를 주기 위해 10 mm 씩 총 30 mm까지 두께를 증가하였다. 정량적 평가를 위해 Image J를 이용하여 관전압에 따른 네 그룹간의 대조도 및 신호 대 잡음비 값을 산출하였고 통계학적 검정은 95% 신뢰수준에서 Kruskal-Wallis test로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영상의 정성적 분석을 위하여 정해진 항목에 관해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 하였다. 상지와 하지 실험 모두에서 관전압이 증가할수록 영상의 대조도대잡음비(CNR)과 신호대잡음비(SNR)이 감소하였으며, 환자의 체형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한 실험에서는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CNR과 SNR이 감소하였다. 정성적 평과는 상지는 관전압이 증가할수록 점수가 증가하여 최고 55 kV 에서 4.6, 40 kV 에서 3.6이였으며, 하지는 관전압의 상관없이 평균 4.4의 고른 점수가 나왔다. 상, 하지 모두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점수는 전반적으로 낮아졌으나 상지는 40 kV에서는 점수가 급격히 낮아졌고, 하지에서는 50 kV에서는 점수가 급격히 낮아졌다. 표준 두께를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상지에서는 45 kV, 하지에서는 50 kV로 촬영하는 것이 최적화 된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환자의 체형 두께가 증가하는 경우 상지는 50 kV, 하지는 55 kV로 관전압을 설정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