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자와 가족의 지각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3초

입원 말기암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삶의 질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 주명진;손수경
    • 종양간호연구
    • /
    • 제8권1호
    • /
    • pp.32-39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hospitalized patient with terminal cancer. Method: Study subjects were 104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who were hospitalized and treated at K university hospital, in Busa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using the Kang's Revised Family Support Scale and Youn's Quality of Life scale for terminal patients. Results: 1) The mean score of perceived family support was $4.23{\pm}0.61$. The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was $5.83{\pm}1.37$. 2)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primary care giver, food type, medical period after diagnosis. 3) The levels of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number of children, effect of religion on the one' life, perceived state of disease and pain. 4) There was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Conclusions: Increase in perceived family support was associated with increase in quality of life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It is necessary that the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family which help to support the patient with terminal cancer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 with terminal cancer.

  • PDF

Pender의 모형을 적용한 유방암 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요인 (Predictive Factors to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Breast Cancer Patients Using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 소인숙;정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58-269
    • /
    • 2017
  • 본 연구는 Pender(1996)의 건강증진모형을 중심으로 유방암 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5년 9월 18일부터 10월 26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유방암 환자 12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와 Scheffe 사후검정,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요인은 사회적지지, 행동계획 몰입, 이전건강 행위, 행위관련 감정, 지각된 자기효능감, 가족기능, 지각된 유익성, 상황적 영향 등 8가지 변수로 파악되었고, 총 설명력은 58%이었다. 이상으로 유방암 환자들이 재활기에 최적의 건강을 유지하고 질 높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수준을 상승시키도록 돕는 간호중재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결과 유방암 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요인으로 밝혀진 사회적 지지, 행동계획 몰입, 이전건강 행위, 행위관련 감정, 지각된 자기효능감, 가족기능, 지각된 유익성 및 상황적 영향 수준이 낮은 대상자들에게 특별히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겠다.

한국 유방암 환자의 가족지지, 지각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upport,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in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 태영숙;김미예
    • 종양간호연구
    • /
    • 제11권1호
    • /
    • pp.41-48
    • /
    • 2011
  • Purpose: The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the family support,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 esteem in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14 women with breast cancer in inpatient and outpatient settings at three different university hospitals and one cancer hospital in B city, Korea. The instruments included Family Support Scale, Perceived Health Status Scale, and Self Esteem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by SPSS WIN 15.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mily support by age, education, and cost burd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by education, occupation, economic status, pain, fatigue, and cancer insur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 esteem by age, occupation, economic status, type of religion, pain, fatigue, and cancer insurance.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amily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romoting perceived health status and enhancing family support would increase self-esteem effectively among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신경계 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 현황 및 향후 방향 (Current Trends and Future-Oriented View of Clinical Measurement Used by Neurological Occupational Therapist)

  • 송창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229-5237
    • /
    • 2012
  • 작업치료사의 환자중심훈련(patient-centered practice)은 치료사에게 환자와 그 가족의 관점에서 능동적으로 환자의 기능부전을 찾아야 가능하다. 본 연구는 신경계 작업치료사가 검사 및 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는 평가도구의 사용빈도 및 평가도구 선택시 고려사항을 알아보고, 평가에 관한 향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연구대상자는 신경계 질환자를 대상으로 치료하는 서울 경기지역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66명이었다. 설문지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평가관련 정보, 신경계 작업치료사가 사용하는 평가도구의 내용, 성인 평가도구 및 아동평가도구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결과분석은 설문에 응답한 66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적 통계량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1일 환자 수는 10인 이상 15인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초기평가는 20분 이상 40분 미만이 가장 많았고, 환자 재평가 주기는 1개월과 기능적 차이가 보일 때가 가장 많았다. 평가도구는 신경계 관련 도구에만 국한되지 않았으며, 평가도구 선택시 고려사항은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가장 높았다. 성인을 대상으로 사용한 평가도구는 '상지운동기능'은 JHFT, '인지 및 지각'은 MMSE-K, '일상생활동작'은 MBI, '작업수행'은 COPM이 가장 많았다. 또한 아동을 대상으로 한 평가도구는 '인지-지각 평가도구'는 MVPT, '일상생활동작 평가도구'는 Wee-FIM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영역에 따른 평가도구 선택시 고려사항도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서울.경기지역에 근무하는 신경계 작업치료사의 영역별 평가도구의 사용빈도와 그 평가도구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사항을 알아볼 수 있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신경계 작업치료사가 평가를 수행할 때 환자수행중심 평가뿐만 아니라 환자와 보호자의 관점을 통합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퇴원전.후 암환자와 가족원이 지각하는 간호요구 비교 (The Needs of Patients with Cancer and Family Members in Inpatient and Outpatient Settings)

  • 최경숙;박경숙;류은정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15-224
    • /
    • 199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care needs of patients with cancer and family members in inpatient and outpatient settings. The questionnaire was a Likert type 5 point scale with 57 items on four need categories; informational, physical care emotional care and socioeconomic ca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patient and outpatient setting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gree of care need according to gender, religion, marital status, economic status, public insurance status, and the past regimen. In conclusion, emotional needs perceived by patients with cancer and family member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Based upon the result, it is recommended that the research to compare needs between cancer patients who have a same illness and family member are necessary.

  • PDF

인슐린 치료에 대한 당뇨병 환자의 지각과 경험 - 융복합적 관점 (Patients' perspectives on taking insulin in diabetes - Perspectives of convergence)

  • 송영신;안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283-292
    • /
    • 2016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인슐린 치료에 대한 문화적 관점과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19명의 제1형과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을 기록하고 녹취한 후 내용분석을 통해 당뇨병 환자들이 경험하는 인슐린 치료에 대한 사전인식요인과 장애요인 및 촉진요인을 목록화하였으며 이들 3가지 목록에 포함되는 주요어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인슐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사전인식요인의 주요어로 확인되었고 장애요인으로는 인슐린과 관련된 걱정(통증, 낮은 지식과 문해력, 자가 주사에 대한 낮은 자신감, 경제적 부담, 저혈당에 대한 두려움)과 의료진에 대한 양가감정, 의지하게 된 삶, 친구, 친척과 가족에 대한 감정, 불편감, 과거에 대한 후회, 부끄러움이 주요어로 도출되었다. 촉진요인으로는 깨달음과 신체적 회복 및 혈당조절에 대한 자신감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치료에 대한 경험과 지각에 대한 의료인의 이해가 필요하며 당뇨병 환자의 이러한 경험은 존중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방사선치료중인 암환자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cial Support for a Cancer Patient undergoing Radiation Treatment on Quality of Life)

  • 김성길;류소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45-152
    • /
    • 2016
  • 방사선치료중인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환자의 일차 환경에 속하는 가족지지와 의료인 지지로 구성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방사선치료중인 암 환자들 중 2012년 1월 25일부터 2012년 4월 30일까지 조사가 가능하였던 1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사회적 지지를 비롯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인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결론적으로 방사선 치료중인 암 환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도 높게 나타나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방사선치료중인 암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족지지 및 사회적지지 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중재 전략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더 나아가 향후 삶의 질을 영역별로 세분화하여 다양한 측면을 분석할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암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삶의 질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Patients with Cancer)

  • 김경혜;정복례;김경덕;변혜선
    • 종양간호연구
    • /
    • 제9권1호
    • /
    • pp.52-59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83 cancer patients in the 3 cities of Korea. Family support was measured using the Tae's Family Support Scale and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using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eneral (FACT-G). Results: The mean scores of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were 30.48 and 53.04 respectively. Family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income, living together, helper, type of treatment, and weight change.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reatment, weight change, performance status, exercise, and sleep.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r=0.499, p<0.000).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family suppor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ancer.

  • PDF

임종태도와 HOSPIC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ttitude toward dying and hospice)

  • 김영욱;이중훈;이종범;박병탁;정성덕;김명세;김후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2호
    • /
    • pp.55-66
    • /
    • 1990
  • 1. 임종통고에 대한 반대는 노인군과 환자가족군이 40.2%, 40.9%로 환자군과 의료인군의 23.%, 13.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2. 임종환자에 대한 의료인의 회피적 태도에서는 의료인군의 44%가 반대하여 전체평균 28.5%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3. 불치병 환자의 생명 연장에 대한 태도에서는 환자군과 보호자군의 반대율이 33.3%, 22.5%로 노인군과 의료인군의 54.5%, 56.0%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1). 4. 임종환자를 위한 특수시설 및 교육문제에 있어서는 의료인군의 찬성율이 81.3%로 가장 높았고 환자군이 56.8%로 가장 낮았다. 5. 임종환자에 대한 가족의 회피적 태도에 대해서는 노인군의 찬성율이 81.3%로 가장 높았고 가족군이 34%로 가장 낮았다. 6. 임종에 대한 지각문제에 있어서는 의료인군의 찬성율이 77.3%로 전체평균 58.8%보다 높았다.

  • PDF

암환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가 암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문도호;이문숙;김현진;정혜민;박우정;신혜진;전화연;최화숙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5권1호
    • /
    • pp.1-13
    • /
    • 2005
  •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ways to improve a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through the family support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family support that cancer patients perceived. Methods: The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43 cancer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 general hospitals at Gyounggido from July 2004 to August 2004.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otal 60 items, which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18 items, family support of 11 items and quality of life of 31 items. Kang's(1984) scale of family support and Tae's(2000) scale of quality of life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0.0 program using frequency, mean±SD,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Forty three cancer pati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Twenty three patients was a male and 20 a female. Mean scale of family suppor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3.87±0.71. Mean scale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5.89±1.08 and relatively high. The better degree of education, the higher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and the less physical discomfort, the higher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The quality of life when the patient burdens the spouse with treatment cost was significantly higher. A correlation between degree of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was r=0.488 and the higher family support that cancer patients perceived, the higher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p<0.001). Conclusion: The higher family support that cancer patients perceived, the higer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We suggest concrete and systemic program for family suppo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