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자생활

Search Result 1,15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Effect of Apraxia on Activity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뇌졸중 환자의 실행증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 Shin, Su-J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6
    • /
    • pp.527-533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praxia affects activitys of daily living. 38 patients with stroke were participated and conducted to both Birminham Cognitive Screen(BCoS) apraxia test and K-MBI for ADL. Using a cutoff score of BCoS apraxia test, all patient was determine whether with apraxia or not and were distinguished by various types of apraxia. They were compared to the level of ADL using ANOVA. Apraxia patients 18, patients without apraxia is 20. The difference of ADL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However, the result of classifying patients with apraxia subtypes,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oming, eating, toileting, step, bowel control, and bladder control(F=4.431~9.193, p<0.05). As apraxia is cause of a negative effect on ADL, expert in the area to manage stroke patients should have to share information about whether apraxia is or not and make policy and treatment program considering the potential problem in ADL.

The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for Quadriplegics using Speech Recognition (음성인식을 이용한 중증 장애인 생활환경 제어장치)

  • Rim Jaeyong;Jung Hyuckjun;Lee Hangsei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11-114
    • /
    • 2000
  • 척수 손상에 의한 사지마비 중증 장애인이 일상 생활을 함에 있어서 가족이나 주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서는 가전제품의 작동이나 전화 통화 등과 같은 작은 일 조차 스스로 할 수 없는 현실에서 국내 여건에 적합한 생활환경 제어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나 현재 이를 위한 마땅한 제어장치가 없는 실정이다. 각 가정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PC를 활용할 수 있도록 PC기반의 음성인식기를 개발하고 이를 응용한 가전제품 제어기를 개발, 제작하여 사지마비 환자 스스로 간단한 동작만으로 환자와 가족의 신체적, 정신적 부담을 감소 하고자 한다 이장치는 음성인식기 부분과 제어장치 부분 그리고 I/O 인터페이스 부분으로 구성 되어있다. 중증장애인은 이 장치를 사용하여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인 자유로운 생활의 영위를 도모하며 환자 가족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환자와 가족 모두 심리적인 만족을 얻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기기 사용을 위한 환자의 음성인식을 위한 언어학습과정의 불편함과 인식에러의 과제가 남아있다.

  • PDF

A Case Study of lower Extremity Amputation Patient (하지 절단 환자의 간호 사례 연구)

  • Cho M O
    • The Korean Nurse
    • /
    • v.23 no.3 s.126
    • /
    • pp.68-76
    • /
    • 1984
  • 본 환자를 간호하면서 절단으로 인해 신체적 고통을 받고 있는 존재로서, 생각과 정서, 욕구를 지닌 존재로서의 환자를 돕고자 시도해 보았다. 신체적인 적응을 돕기 위해서 근력강화와 관절가동역증진, 통증조절, 보조기 착용을 위한 단단의 관리, 잔여관절의 변형예방에 중점을 두었다. 심리적인 적응을 돕기 위해서 환자가 절단 수술과 수술 후 변화된 신체외모를 수용하는 과정을 증시했다. 끝으로 사회적인 면에서는 의미있는 사람들의 집단속에서 존재하는 인간으로서의 환자에게 관심을 두었다. 환자의 우측 슬관절 가동역은 완전히 회복된 상태는 아니지만 목발을 이용하여 걷거나 기타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은 없으며 앞으로 계속적인 노력을 통해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좌측 고관절 가동역은 정상유지되고 있으며 절단부위는 보조기 착용에 적합하게 형성되어 가고 있다. 비슷한 처지에 있는 이씨환자의 도움과 환자의 독립적인 생활태도는 환자가 자신의 불구에 적응하고 일상생활에 적응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협조적이고 동정적인 환자들과 의료진의 도움으로 환자는 보호된 병원환경내에서 신체적 제한점을 주목하고 자신의 불구에 적응하면서 타인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그는 앞으로 사회에 돌아가서 생활하게 될 것이다. 우리 사회는 아직도 그들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으며 직업적 교육적 의료치료적 배려가 부족한 상태이다. 사회속에서의 적응은 병원에서의 적응보다 훨씬 더 어려울 것이며 때로는 그를 좌절하게 할 것이다. 그의 신체적 결함이 자기 자신만의 책임은 아니며 어느 누구나 사고에 희생될 가능성은 있다. 사회인들이 그들에게 관심있고 수용적인 태도를 지니고 그들의 정상 요구와 인간으로서 동등하게 살아갈 권리를 인정하고 받아들인다며 좀더 쉽게 자신의 슬픔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ffects of Time-Use Intervention o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Stroke Patients (시간사용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Ryu, Sung-Hyun;Park, Su-Jin;Kim, Min-Huck;Hwang, Do-Yeon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9 no.3
    • /
    • pp.91-102
    • /
    • 2020
  •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ime-use intervention, conducted during 8 weeks,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stroke patients. Methods : Twenty-one stroke patients who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10) and a control group (n=11),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July 2019 to October 2019. Life satisfaction changes were measured using the Life satisfaction scale. Self-esteem changes were measured using the Self-esteem scale. Results : First, comparison between pre and post interven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p<.05). Second, comparison between post intervention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p<.05).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 found that time-use interven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Therefore, participating in meaningful occupation performance will improve the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Development of Lifesty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대사증후군 환자를 위한 생활습관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발)

  • Kim, Ji-Eon;No, Si-Hyeong;Jeong, Chang-Won;Kim, Tae-Hoon;Jun, Hong-Yong;Yu, Tae-Yang;Yoon, Kwo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609-610
    • /
    • 2017
  • 국내 외에서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대사증후군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대사증후군 환자들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생활습관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피드백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생활습관 정보를 수집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온라인/오프라인 설문지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수집하는 형태로 구분된다. 그러나 기존 설문지 방법은 연속적인 데이터를 얻기 어렵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사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생활습관 정보 수집을 위한 병원의 설문지를 앱을 기반으로 개발하여 수집하고 스마트 폰과 밴드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시간 활동정보를 수집하여 환자 생활 습관에 따른 맞춤 별 예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Review of the instrumental ADL for the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고찰)

  • Ahn, Si-Nae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2 no.2
    • /
    • pp.37-45
    • /
    • 2013
  • This research reviewed the instrumental ADL for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hich is one of the most interested topics, and hope that this research helps evaluating and treating the mi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in occupational therapy. The treatment for dementia patients are actively in progress, but there has not been treatment approach about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who are in risk of moving on to dementia. In this review, we have dealt with the foundation of matching the point to instrumental ADL from the occupational area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and normal elders. We have discussed the that essential consideration about instrumental ADL is needed to prevent mild cognitive impairment developing into dementia. In conclusion, there is a need of regular evaluation about instrumental ADL considering the occupational area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 groups, who are highly in risk of developing into dementia, and occupational therapeutic approach is needed as well.

The Influence of Sensory and Upper limb function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Chronic Cerebrovascular Accident (만성 뇌졸중 환자의 감각기능과 상지기능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 Song, Won-Il;Cha, Tae-Hyun;Woo, Hee-S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12
    • /
    • pp.5731-5740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function and performances i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ronic CVA patients. One-hundred and thirty-eight CVA patients, who experienced their CVA more than 6 months ago, were recruited. Their sensory, motor and cognitive functions, as well as performanc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assessed and analy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Graphesthesia and proprioception of the affected hand of patients with right hemiplegi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sonal hygiene. The motor functions of the unaffected side in patients with left hemiplegia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 with ADL performanc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or function of upper limb of the unaffected side and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oth right and left hemiplegia.

Comparis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Differences with Dementia Stage (치매 단계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차이 비교)

  • Jang, Jong-Si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2
    • /
    • pp.557-563
    • /
    • 2017
  • This study aim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ADL and I-ADL functions of people with dementia living in the community and nursing care facilities regarding their dementia stages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dementia care centers. The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100 people with dementia living in the community and 100 people with dementia staying in care facilities from October 1 to November 20, 2015. 15 fac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cluding nursing homes, day care centers, health centers, geriatric hospitals and metropolitan dementia centers. All of the assessors were trained in the use of the instruments, ADCS-ADL, S-IADL, S-ADL and MMSE-K, by the researcher before conducting any evaluations or interviews.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ADL according to the dementia stage, an analysis was made via the post-hoc test after conducting a one-way ANOVA. An analysis of the residence type and dementia stage was made through the independent t-test. The comparison of the level of ADL between the people with dementia living in the community and those living in nursing homes showed differences in the moderate level of dementia for all items of the I-ADL and ADL (p<.01). The post-hoc test show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among the minimum, mild, and moderate levels. When the differences in ADL according to the residence type were examin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of the stages (p>.05).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may be critical to identify the changes in the I-ADL rather than those in the ADL for the outcome index when conducting future intervention studies on dementia.

A Comparison Study: the Risk Factors in the Lifestyles of Colorectal Cancer Patients and Healthy Adults (대장암 환자와 건강인의 생활습관 비교)

  • Yoo, Yang 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419-420
    • /
    • 2014
  • 본 연구는 대장암 환자들의 암으로 진단받은 당시의 생활습관 실태를 암 병력이 없는 일반 성인들과 비교해봄으로써 대장암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설계: 대장암 환자의 생활습관 실태를 파악하고, 대장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장암 환자와 암 진단을 받지 않은 건강인을 대상으로 시도된 후향적 비교 조사연구(retrospective comparison survey study). 연구 대상자는 2011년 10월부터 2012년 8월까지 대장암으로 진단된지 1년 이내로 J대학교병원 내의 암전문연구센터에 내원한 대장암 환자 107명과 동 시기에 동 병원을 방문한 암환자 아닌 환자의 보호자 중 암진단을 받지 않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빈도 짝찟기를 통해 연령, 성별 및 배우자 상태 등이 동질한 124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김화영(2011)의 생활습관 측정도구(Content Validity Index [CVI], Mean expert proportion=0.98) 를 저자의 승인 하에 사용하였으며, 관련문헌을 참조하여 수정 보완한 후 식습관, 음주 및 흡연 습관, 휴식 및 활동 습관, 스트레스 관리 및 정기검진습관 등의 5개 하위영역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인스턴트식품 섭취여부, 스트레스 해소정도, 육류 익힌정도(살짝 익힘/탈정도로 익힘) 및 평소 주로 먹는 음식(채식/육식 여부)이 대장암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대장암환자군과 건강인군의 생활습관을 비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평소 식습관에서 인스턴트식품 등의 가공식품의 섭취를 줄이고, 스트레스가 발생(인지)될 때 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육류섭취 시 살짝 익혀서 먹는 습관이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평소에 육류 섭취를 줄이고 섬유질이 많은 채식 위주로 식사하도록 권장해야 할 것이다.

  • PDF

Effec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Mirror Therapy on Patients Who Have a Stroke, with or without Unilateral Neglect (편측무시 유무에 따른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비교)

  • Lee, Seul-A;Kim, Hee-Jung;Hong, Ki-Hoon;Lee, Chun-Yeop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4 no.1
    • /
    • pp.33-45
    • /
    • 2014
  • Objective : We tested the effect of mirror treatment on patients with and without unilateral neglect over a period of 4 weeks. We also wanted to know the effect of mirror treatment with regards to improvi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dealing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thods : Subjects were 10 hemiplegia patients with unilateral neglect and 10 hemiplegia patients without unilateral neglect. They visited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We performed mirror treatment for 30 minutes, 5 times a week for 4 weeks. We used Albert Test to compare our results from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Fugl-Meyer motor function Assessment(FMA) and Box & Block Test(BBT) for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mirror treatment had an effect on stroke patients with unilateral neglect. The treatment also had an effect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gardless of unilateral neglect. Conclusion : The mirror treatment showed improvements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fe as well as a reduction in the unilateral neglect after a stroke. In conclusion, the mirror treatment is useful for recovering function and improvement and for helping the patients complete activities of daily liv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