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산유량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velopment of a Precipitation Gauge Using Ultrasonic Measuring Technique (초음파식 유량계측 기술을 응용한 강수량측정장치 개발)

  • Seo, Gang-Do;Hong, Sung-Taek;Ryu, Chool;Lee, Kyung-Woo;Ji, Yu-Chu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11
    • /
    • pp.2745-2752
    • /
    • 2013
  • The tipping-bucket and weight measuring type precipitation gauge has long been used worldwide for measuring rainfall. However, the conventional gauge has observation errors and its measurement range is limited by the device's resolution. In this paper, a new type of precipitation gauge that uses an innovative method by applying a new ultrasonic flow measuring technique was developed. This is the first time this technique is being used to gauge rainfall. The prototype was tested in the laboratory designated by the 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KOLAS). The rainfall intensity condition was 20~420 mm/H and the Standard Correction System for Precipitation Gauges was used. Results of the laboratory experiment showed that the proposed gauge has a ${\pm}2%$ margin of error. Consequently, it was proven that the proposed gauge is quite accurate and reliable for measuring precipitation.

Derivation of Dimensionless Routing Curves for Dam Failure Flood Wave (댐 붕괴 홍수파 해석을 위한 무차원 홍수추적곡선의 유도)

  • Lee, Jong Tae;Han, Kun Y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2 no.2
    • /
    • pp.87-99
    • /
    • 1992
  • The types of dam-break have been classified as instantaneous and gradual failure. Equations for estimating the peak outflow have been derived respectively as a metric unit. New dimensionless routing curves have been deveoloped based on the distance parameter which has been used in SMPDBK and hydro-geometric characteristics of dams and reservoirs in Korea. These suggested curves can be used for any case of the flow of supercritical or subcritical. The computed peak flowrate shows the trend of decreasing dependence on the Froude numbers as it increases. These curves are applied to Hyogi dam. and the results have good agreements with the data observed in the peak discharges, peak elevations and flood travel time. The simplified dam-break model in this study would contribute effectively to forecast the dam-break flood in this country with minimum informations in a short time.

  • PDF

First-flush Runoff Characteristics of NPS from golf course (골프장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의 초기유출수 특성)

  • Shin, Min-Hwan;Choi, Jae-Wan;Choi, Yong-Hun;Seo, Ji-Yeon;Lee, Jae-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29-113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총량제와 정책제안의 원활하고 합리적인 추진을 위해 토지피복분류체계의 대분류중 초지에 해당하고 중분류 중 골프장에 해당하는 지점을 선정하여 강우에 의해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총 27번의 강우사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강우유출수에 대하여 유량과 수질농도를 측정하였다. 유량측정은 웨어를 통한 수위를 측정하여 유량으로 환산하였고, 수질항목은 $BOD_5$, $COD_{Mn}$, DOC, SS, T-N, T-P, $NH_3$-N, $NO_3$-N, $PO_4$-P 등 9개 항목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골프장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의 초기세척효과 발생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누적오염부하량/누적유출량 그래프를 도식화하였다. 연구기간동안 발생한 5~82 mm의 강우로 인해 6.6~2,082 $m^3$의 유출이 발생하였다. 발생된 유출수의 농도는 $BOD_5$ 1.8~11.3 mg/L, $COD_{Mn}$ 19.2~51.4 mg/L, DOC 11.0~31.0 mg/L, SS 2.2~57.3 mg/L, T-N 1.545~16.098, T-P 0.230~4.528 mg/L, $NH_3$-N 0.076~5.285 mg/L, $NO_3$-N 0.122~2.905 mg/L, $PO_4$-P 0.005~2.631 mg/L로 나타났다. 초기유출수의 세척효과는 27번의 강우사상동안 SS 항목의 경우 17번, $NO_3$-N 11번, $NH_3$-N 4번 등이 발생하였다. 초기세척효과가 발생한 강우사상은 초기의 오염원 농도가 중 후반 농도보다 농도가 높음을 의미하므로, 골프장에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는 초기에 발생하는 오염원에 초점을 두고 처리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SS와 질소계열의 농도가 높은 것은 골프장의 잔디관리를 위한 농약이나 제초제 등의 사용과 토양유실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저감하기 위한 적절한 사용방안과 저감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search on estimation of water-intake using amount of electricity consumption by pumping (전력 사용량을 활용한 하천수 취수량 산정방법 연구)

  • Jin, Hwan Suk;Roh, Youngsin;Cha, Jun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8-372
    • /
    • 2018
  • 하천수의 실시간 자료수집 목적으로 전력량계의 전력사용량 변화를 계측하여 양수량을 산정하는 것이 경제적인 자료수집방안이 될 것으로 판단되어 전력사용량의 실시간 계측 및 전송이 가능한 '전력량 전송시스템'을 개발하여 여주시(여주대교)~여주시(이포대교) 관측소 구간 내 농업용수 취수시설인 상백리 양수장에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전력량 전송시스템'의 정상적인 자료수집을 판단하기 위해 실내실험을 수행한 결과 전송자료 648,000개 중 수집된 자료는 647,964개로 평균 오차율 0.01%를 나타내며 현장적용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개발된 '전력량 전송시스템'을 상백리 양수장에 설치하여 6개월간 젼력량 사용자료를 취득하였으며, CCTV를 이용하여 현장자료를 모니터링하였다. 서버전송자료와 현장전력량자료를 비교한 결과 누적전력량은 일치하였으며, '전력량 전송장치'를 이용한 전력사용량의 실시간 계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능서1 양수장에서 수집된 전력량 자료와 초음파유속계로 계측된 양수량 자료를 활용하여 전력량-양수량관계식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전력량-양수량관계식으로 환산된 유량을 초음파유속계 유량과 비교한 결과, 월별 오차는 최대 8.0%, 평균 4.0%로, 하천수 사용실적 보고량의 최대 24.4%, 평균 7.4%보다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음파유속계를 이용한 양수량 산정방법은 수로내 유속과 수위변화를 직접 계측하여 정도 높은 유량산정이 가능하지만 초기설치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소요되므로 모든 취수시설에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전력량 전송시스템'은 기 설치된 전자식 전력량계를 활용하기 때문에 초기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실시간 자료수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력량 전송시스템'을 이용한 전력량자료의 수집과, 전력량-양수량관계식의 개발이 실시간 하천수 사용량 수집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인 대안으로 판단된다.

  • PD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he Terminal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말기 대장직장암 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Hong, Young-Hwa;Lee, Choon-Sub;Lee, Ju-Ri;Lee, Jung-Ho;Kim, You-Jin;Lee, Tae-Kgyu;Moon, Do-Ho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0 no.1
    • /
    • pp.35-42
    • /
    • 2007
  • Purpose: Colorectal ranter is the 4th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in Korea and the prevalence is increasing continuously. This study was aimed to figure out the problems through the clinical consideration about terminal colorectal ranter patients who had died in hospice unit.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in 78 patients with colorectal ranter who had admitted, received palliative care, and died in a hospice unit between April 2003 and November 2006. Results: The median age of patients was 59.6 years with 45 men (58%) and 24 women (42%). The median survival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36 days. The median hospitalization was 22 days. The most prevalent reason for admission was pain (38 patients, 49%), and the most common symptom was also pain (70 patients, 90%). Forty eight patients (62%) took analgesics before hospice referral. Twenty seven patients (65%) of 45 patients with intestinal obstruction have been performed palliative procedures. Median survival of patients with palliative procedure was higher than that of no palliative procedure group (47 days vs 19 days, P-value=0.005). Conclusion: The dura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not enough to care the terminal colorectal cancer. Therefore, we suggest that proper education and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 physician,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for effectiv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PDF

Effectiveness Measurement of a Double-Tube Heat Exchanger for a Hydrogen Liquefaction System (수소액화 시스템용 이중관 열교환기의 유용도 측정)

  • Choi, H.J.;Baik, J.H.;Kang, B.H.;Choi, Y.D.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0 no.1
    • /
    • pp.19-26
    • /
    • 1999
  • The effectiveness of a double-tube heat exchanger has been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is problem is of particular interest in the design of the heat exchanger in a hydrogen liquefaction system. Temperature, pressure, and mass flow rate for hydrogen were measured both in inner tube and in annulus of a double-tube heat exchanger. The effectiveness could be evaluated from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mass flow rate. It is found that the effectiveness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heat transfer area of a double-tube heat exchanger and with a decrease of the heat capacity ratio. But the increase rate of the effectiveness decreased with a decrease of the heat capacity ratio. Therefore, it is presented that a criterion for selecting the heat exchanger length and heat capacity ratio to obtain the effectiveness required in a hydrogen liquefaction system.

  • PDF

Distributed Rainfall-Runoff Analysis of Urban Basin with GIS Technique and Network Analysis (GIS 및 관망해석을 이용한 도시유역 분포형 유출해석)

  • Ryu, Hee-Sang;Kim, Mun-Mo;Kim, Young-Sub;An, Won-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5
    • /
    • pp.143-148
    • /
    • 2010
  • In this study, the mixed model of the surface rainfall-runoff analysis using grid data and Illudas model was applied to the urban watershed of Bulgang river. After the surface rainfall-runoff was estimated with GIS data, the runoff hydrograph was calculated using network analysis at Jeungsan bridge, which is the final output of watershed. Estimated runoff hydrograph in this study was compared to the observed runoff hydrograph which is converted from the water stage at Jeungsan bridge. The relative errors of total runoff volume and peak discharge showed the range values of 11.70%~16.30% and 1.10%~6.96%, and then the difference of peak times had the values of less than 1 hour for 4 storms. Therefore, the mixed model in this study could be considered to estimate the runoff hydrograph for the prevention of disasters in urban watershed.

An Experimental Study to Analyze Capacity of the Invisible Drainage (비노출 배수로의 도로배수 효과 분석)

  • Song, Ju Il;So, Jae Chul;Rim, Chang Soo;Yoon, Sei Eui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80-180
    • /
    • 2011
  • 도시지역에서 빗물은 대부분 도로를 통해 이동하고 배수된다. 도로의 배수시설은 도로면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도로 이외의 지역에 흐르는 유출수의 배수를 위한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빗물받이 등과 같은 하수도 시설을 통해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되지 않으면 노면수가 정체되고, 이 노면수가 인근 주택가로 유입되어 침수를 피해를 가중시키는 경우도 있다. 빗물받이 설계 시 설계빈도를 차집능력에 상위하는 충분한 여유를 두고 설치하더라도 빗물받이가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유송토사, 쓰레기, 낙엽 및 담배꽁초 등에 의하여 막히게 되면 유입구의 순 면적이 감소하게 되어 빗물받이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 또한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빗물받이로 유입되는 부유잡물들은 퇴적되어, 우수관로 내에서 썩어 수질을 악화시키거나 악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빗물받이의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비노출 배수로의 배수효율을 수리실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도로의 측면에 비노출 배수로를 설치하였을 경우 도로위에 수심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면서 배출할 수 있는 최대 유량은 1.67 l/s였고, 서울시를 기준으로 설계빈도 10년에 대하여 본 연구의 실험도로 규격에서의 유출량이 1.09 l/s임을 고려할 때 10년 빈도 강우강도 발생 시 비노출 배수로가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배수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도로의 규격에서 1.67 l/s의 유출량이 발생하기 위한 강우강도는 서울시를 기준으로 100년 빈도에 상응하는 강우강도로 비노출 배수로에 막힘이 없는 경우 100년 빈도의 강우시에도 노면수 배출이 가능하였다. 쓰레기와 모래와 같은 부유잡물이 배수로를 막고 있다 하더라고 배수효율 저하는 크게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흙탕물이 유입되는 경우 흙탕물이 배수로의 공극을 차단하는 현상이 나타났고 이는 도로위의 수심은 증가시켰다. 흙탕물이 유입된 후 배출가능 유량을 강우강도와 빈도를 환산한 결과 서울시를 기준으로 6.8년에 상응하였다. 따라서 흙탕물 유입가능성이 높은 도로에 비노출 배수로를 설치하게 되는 경우 배수로의 효율이 낮아지는 것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고,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노출 배수로의 채움재를 개선하고 동일실험 수행을 계획 중이며, 비점오염물의 제거효율 또한 검토할 예정이다.

  • PDF

농업용수 시험지구 운영을 통한 용수이용 효율성 제고

  • 김진택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2a
    • /
    • pp.309-324
    • /
    • 2002
  • 국내의 경우 관개용수의 대부분은 벼생육을 위한 논의 관개응수로 사용되고있다. 농업용수 이용은 약 150억㎥/year, 이는 하천유지수량을 제외한 전체 물이용량 237억㎥/year의 약 63%에 해당한다. 최근 물절약은 가장 중요한 사회, 경제적인 이슈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관개효율은 여전히 낮아 약 35%의 관개용수가 손실되는 것으로 추정되고있다. 비록 관개에서의 물절약이 시급한 문제이기는 하지만 용수손실 원인에 따른 손실량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가 행해지지 않았었다. 손실 원인에 따른 손실량을 계측하기 위한 시험지구로 경기 평택의 이동지구를 선정하였다. 시험지구의 주수원공으로는 유역면적 9,440ha, 관개면적 2,027ha인 이동저수지이며 상류유역에 미산 및 용덕저수지가 위치하고 관개지구내에 원암 및 은산양수장이 있다. 시험지구의 계측시설은 강우량 계측을 위하여 자기강우계를 설치하였고 저수위, 하천수위 및 응배수로의 수위 측정을 위하여 수위계를 설치하였다. 강우계는 4개소에 설치되었으며 수위계는 26개소에 설치되었다 강우계는 지구내의 저수지 및 양수장 관리사 부근 4개소에 전도형 자기우량계를 설치하였다. 수위계 26개소 중에서 저수지의 저수위 계측지점이 3개소이며 하천수위 계측지점이 2개소 그리고 용배수로의 간선수로 시점부와 간지선 분기점 등의 주요지점에 21개소의 계측지점이 있다. 모든 계측지점의 계측기에는 자체 혹은 별도의 자료저장용 데이터로거가 부착되어 현장 계측자료를 저장하도록 설치 되어있다. 강우계는 전도형강우계(tipping bucket type)이며 수위계는 계측지점의 특징에 따라 여러종류의 수위계측기가 설치되었다 예를들어 초음파수위계(ultrasonic-wave type), 부표식수위계(float type) 그리고 압력식수위계(Pressure type)가 설치되어 있다. 현장 계측기의 전원은 한국전력 전원 혹은 태양전지 및 축전지를 사용하였다. 수위계측지점의 유량을 환산하기 위하여 계측지점의 단면조사와 유속측정을 통해서 수위-유량관계(rating curve)를 규명하였다. 시험지구의 관개효율 및 용수손실 규명 등에 관한 기본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계측시스템의 운영은 장기간으로 지속 되어야 한다

  • PDF

Study on the Network Design of Rainfall for Operation of KHNP Dam (한수원(주) 댐 운영을 위한 강우관측망 설계에 관한 연구)

  • Lee, Yeon-Kil;Jang, Bok-Jin;Jung, Sung-Won;Kim, Tae-Soon;Han, Ki-H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26-330
    • /
    • 2011
  • 댐의 최적운영을 위해서는 강우량, 유량, 토양수분량, 증발산량과 같은 수문자료는 필수적이다. 이중 강우량과 유량자료는 치수 중심의 댐 운영에 가장 중요하게 이용되며, 국가 수자원계획, 이수 및 환경 계획 등에도 다목적으로 활용된다. 강우량은 면적 강우량을 대표할 수 있는 위치에서 관측되어야 점 강우량을 면적 강우량으로 환산하는데서 발생되는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실제 발생되는 연속형 강우량과 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되는 이산형 강우량의 차가 최소화될 때 가능한 일이다. 최근 강우 특성은 급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 비해 매우 시공간적으로 불규칙해졌으며, 특히 짧은 지속시간 동안 많은 양의 강우가 집중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강우 특성 변화는 강우관측망에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 강우 특성을 반영하여 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존 관측망에 대한 재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재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관측망을 개선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개년(기상청)의 강우자료를 Kriging method로 공간 분포시켜 연속형 강우량과 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되는 이산형 강우량의 차가 최소화될 수 있는 강우관측망을 구축하였다. 강우관측망을 구축한 결과, 최소 72개소의 강우관측소가 필요하였다. 기관별로는 한수원(주) 29개소(화천댐 유역, 신설 2개소 포함), 국토해양부 18개소, 한국수자원공사 4개소, 기상청(유인 및 무인) 21개소로 구축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강우관측망은 대략 평균 $100km^2$의 밀도로 구축되었으며, 팔당댐 유역에서 가장 크게 개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