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지구화학

Search Result 68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남해 서부 연안 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해수침투에 대한 예비 고찰

  • 신광섭;윤성택;허철호;이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258-261
    • /
    • 2002
  • 남해 서부 연안 지역 지하수의 해수 침투 영향을 광역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186개소의 지하수 시료를 random하게 채취하고 수리지구화학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체 시료 중 23.6%에서 500$\mu\textrm{m}$/cm을 초과하는 높은 EC값을 나타내어 상당한 정도의 해수 영향을 반영해 주었다 또한, 해수 영향 판단의 또 다른 파라메터로 사용되는 Cl/HCO$_3$ 몰비 역시 전체 시료의 23%에서 1.3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대표적으로 해수침투 영향 및 인위적 오염의 영향을 각각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Cl과 NO$_3$의 농도에 관한 누적도수분포도(cumulative frequency curve)를 작성하여 배경수질군과 오염영향군을 구분 짓는 배경치(background concentration)를 구한 결과, 각각 Cl : 22.4 mg/1 및 NO$_3$= 23.4 mg/1로 나타났다. 이 두 파라메터의 농도 분포를 활용하여 샘플링된 지하수 시료를 크게 4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 결과, 자연적 또는 인위적 기원이 오염이 배제된 그룹 1은 전체 시료의 32%, 자연적 오염(해수 영향)을 반영하는 그룹 2는 전체의 15%, 인위적 오염의 영향을 반영하는 그룹 3은 전체의 7%, 해수 영향 및 인위적 오염을 동시에 반영하는 그룹 4는 전체의 46%로 나타났다 그룹 4 중 Piper diagram 상에서 Na-Cl 유형으로 점시되어 해수 영향을 강하게 반영하는 일부 시료와 그룹 2의 시료를 합쳐 보면, 전체 지하수 시료의 약 23%에서 해수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여러 지구화학 방법에 의한 해수 영향 판단 결과는 서로 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지구화학적 파라메터를 종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연안 지역 해수침투의 효과적인 파악은 물론 예측 및 방지, 복구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HRIMP Zircon U-Pb Age and Geochemistry of Granites in the Gudambong-Sainam Geosites, Danyang Geopark (단양 지질공원 구담봉-사인암 지질명소 화강암의 SHRIMP 저어콘 U-Pb 연령과 지구화학)

  • Aum, Hyun Woo;Kim, Yoonsup;Cheong, Wonseok;Hau, Bui Vinh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8 no.2
    • /
    • pp.143-156
    • /
    • 2019
  • We carried out the sensitive high resolution ion microprobe zircon U-Pb age dating and whole rock geochemical analysis of granites in the Gudambong and Sainam geosites, Danyang Geopark. The granites crop out in the western and southern parts of Danyang County, and intruded sedimentary successions of the Yeongweol and Taebaek Groups, respectively. The U-Pb isotopic compositions of zircon from the Gudambong and Sainam granite samples yielded the Cretaceous intrusion ages of $90.4{\pm}0.5Ma(t{\sigma})$ and $90.0{\pm}1.5Ma(t{\sigma})$, respectively. The major and trace elements compositions of the samples showed an affinity of typical A-type granite, indicating their petrogenesis during the late stage of the Bulguksa orogeny or a tectonic dormancy. The geochronologic and geochemical results are identical to those of granites previously reported from the Cretaceous Muamsa and Wolaksan suites.

Geochemical baseline mapping for geochemical hazard assessment (지구화학적 재해 평가를 위한 지화학도 작성 및 기준치 설정)

  • 신성천;염승준;황상기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0 no.2
    • /
    • pp.215-233
    • /
    • 2000
  • The national geochemical baseline mapping project has been conducted since 1996 to establish a quantitative assessment system for geochemical hazards in natural environments. The geochemical image maps have been edited for thirty-six elements(i.e., 10 major oxides and 26 trace elements) in light sediments, finer fraction than 150 $\mu$m, collected from first- to second-order streams(totally 11,000) over five provinces in the western half(ca. 45,000 km$^2$) of Korea. Natural background values of the elements were given for different geological environments. Based on the statistics, geochemical baselines were newly obtained for a quantitative hazard assessment on toxicity of heavy metals and deficiency of essential nutrients. Some chosen examples of geochemical hazards are presented based on new geochemical image maps and related baseline da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