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경의 질 평가

검색결과 1,011건 처리시간 0.034초

주거환경의 삶의 질 향상을 고려하는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 제안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Indicator of Social Sustainability Considering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Residential Environment)

  • 장수정;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47-57
    • /
    • 2015
  • In this research, an attempt was made to approach social sustainabi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s that have been studied thus far in community-oriented research in a broader perspective, with the aim to induce evaluation indicators for social sustainability of a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is oriented for enhancement of the residents' life quality. First, evaluation system of social sustainabi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s is divided into 6 areas that include regionality, diversity, fairness, satisfaction of diverse needs, social exchange, and participation and decision making. A subdivision was also introduced to account for evaluation properties by area. Second, regarding measurement of life quality in a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cope of evaluation was divided into residential environment dimension, resident dimension, and management dimension which can incorporate both objective evaluation and subjective evalu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t involves both physical environment and socio-psychological elements. Third, evaluation indicators by area were collected based on an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For the purpose, a total of 193 indicators were extracted, including 28 items of regionality area, 26 items of diversity area, 28 items of fairness area, 58 items of satisfaction of diverse needs, 34 items of social exchange area, and 19 items of participation and decision making area. The kind of evaluation indicators have meaning in that it can be used as an evaluation tool of social sustainability that can be applied universally from the planning stage. It can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enhancement of life quality and promotion of social values in a residential environment.

전기화학적 공정에 의한 클로레이트의 생성메커니즘 (Formation Mechanism of Chlorate ($ClO_3\;^-$) by Electrochemical Process)

  • 백고운;정연정;강준원;오병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627-634
    • /
    • 2009
  • 본 연구는 염화 이온 ($Cl^-$)을 전해질로 이용하는 전기화학적 공정에서 생성되는 염소산화부산물인 클로레이트 ($ClO_3\;^-$, 염소산염)의 생성 메커니즘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pH 및 초기농도에 따른 생성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유리염소 생성과의 관련성 및 오존, OH 라디칼 등의 혼합산화제의 영향을 간접 평가하여 클로레이트의 생성 메커니즘을 구체화하였다. 그 결과, 클로레이트의 생성은 유리염소 (HOCl/$OCl^-$)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주된 반응으로 하며, 염화 이온의 직접 양극산화 반응 및 OH 라디칼에 의한 경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생성된 클로레이트가 퍼클로레이트로 산화되는 반응도 볼 수 있었다. 또한, 전극 간격에 따른 생성 농도를 유리염소 생성과 함께 평가하여, 유리염소 생성 효율은 극대화 시키되 클로레이트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조건을 찾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시 용수 통합관리 방안 연구 (An application of integrated water cycle system in U-City)

  • 정진홍;최계운;오현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597-6601
    • /
    • 2013
  • 인구 증가와 함께 도시개발로 인한 지구온난화의 심각, 대기질 악화, 수질 오염 및 수생태계 파괴 등 도시환경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또한 도시 개발 시 토지 피복면적 변화에 따른 불투수층 면적이 증가되는 인공적 요인과 이상기후에 의해 강우특성이 변화하는 자연적 요인으로 도시 열섬현황 심화, 용수 부족, 지하수위 저하, 침수 피해 등을 야기하여 물순환 건전성을 저해시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정보기술 인프라 및 환경센서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 물순환 건전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물순환시스템 구축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에서 물순환 건전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자연계 물순환 건전화율 및 인공계 물순환 건전화율 평가식을 제시하여,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발생하는 물순환 왜곡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도시 개발 후 물순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녹색도서관 분야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Literature Trends in Green Library)

  • 안인자;곽철완;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89-20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녹색도서관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연구 방향 및 내용 분석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녹색도서관 연구는 초기에 녹색도서관 건축에 대한 부분과 필요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으며, 점차 녹색도서관 운영에 대한 연구로 확산되었다. 녹색도서관 건축에 관한 연구는 LEED 평가시스템의 5가지 범주를 기반으로 진행되었으며, 5가지 범주 중 '에너지와 공기'와 '실내 환경의 질' 범주가 가장 중요시 되었다. 녹색도서관 운영에 대한 연구는 도서관 자원의 재활용에 대한 부분과 장서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한 에너지 활용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미래의 녹색도서관 연구방향으로, 해당 지역에 건립 가능한 도서관 수, 도서관 서가의 위치 및 간격, 도서관 공간구성, 서고에 소장할 자료의 비율, 이용자 연구를 제시하였다.

서해안 준설토의 역학적 특성 및 시간경과에 따른 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 and Shear Strength haracteristic on Elapsed Time of the Western Sea Dredged Soils)

  • 김홍택;한연진;유완동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31-41
    • /
    • 2013
  • 서해안 지역의 준설토는 실트 또는 세립모래 성분이 많은 특성으로 인해 성토재로 직접 사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준설토를 성토재로써 활용하는 연구에 대해서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지역의 준설토를 성토재료의 활용성을 확인 하고자 하였다. 우선적으로 피에조콘 관입시험을 통해서 준설 지반의 구성성분을 확인함으로써 성토재의 활용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확인하였다. 준설토에 대한 침강 및 자중압밀시험을 시행하여 준설토의 특성을 평가하는 동시에 침강 및 자중압밀이 완료된 시료에 대해서 다짐시험 및 직접전단시험을 시행함으로써 준설토의 준설완료 시점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침강 및 자중압밀이 완료 된 시료를 자연배수시킴으로써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서 준설토가 보이는 역학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트, 실트질 모래 및 모래성분이 다량 포함되고 있는 서해안 지역의 준설토는 자연배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단위중량과 전단강도가 증가되는 특성 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멀티플랫폼 환경에서 의료정보표준 기반 게이트웨이 설계 및 성능 평가 (Gateway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health information standards in multi-platform environment)

  • 심우호;나현석;박석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3-40
    • /
    • 2012
  • 최근 병원정보 시스템은 의료서비스의 질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활용한 스마트 진료서비스가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으며 개인의 진료정보를 PC, 스마트폰 등을 통해 관리하는 개인건강기록(PHR) 서비스에 대한 관심 및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차세대 병원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상이한 병원정보 시스템 간의 데이터 연동과 다양한 사용자 기기 간의 UX 일관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멀티플랫폼 환경 하에서 의료정보를 통합하여 연동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개인의 진료정보 표준과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핵심 기능인 데이터 간의 매핑 방법에 있어서 CCR 표준을 적용하고 다중 테이블 기반 매핑 방법을 사용하여 시스템 설계를 하였다. 이에 대한 성능 평가를 위해 실험을 한 결과 응답속도가 약 20%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위치종속 데이타를 위한 영역 구성 (Organizing Data Regions for Location Dependent Data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s)

  • 유제혁;황종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0권2호
    • /
    • pp.167-178
    • /
    • 2003
  •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는 이동 클라이언트의 위치에 따라서 질의에 대한 결과 값이 달라지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그러한 결과의 데이타를 위치종속 데이타(LDD: Location Dependent Data)라 한다. 따라서 그러한 질의는 지리적인 거리를 고려하여 처리되어야 하며 또한 데이타의 관계성 등을 함께 고려하여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위치종속 질의에 나타나는 거리를 평가하고 영역별 위치종속 데이타를 구성할 때의 모호성으로 인해 정확히 평가하고 표현하기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질의에 거리 정보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고려하고 위치종속 데이타간의 관련성 및 질의되는 이동 글라이언트의 위치 그리고 요구되는 지형물에 대한 거리간의 관계를 정량화하여 위치종속 데이타를 위한 데이타 영역인 LDD 영역을 제안한다. 모의 실험에서는 이동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위치종속질의 및 위치의 성향들 그리고 영역의 두 가지 조밀도 설정하여 제안하는 LDD 영역에서 질의 처리가 지리적인 지역만을 고려한 데이타 영역에서보다 데이타베이스 접근 수를 줄일 수 있음을 보인다.

모바일 환경하에 RFM 기법을 이용한 개인화된 추천 시스템 개발 (Implementation of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using RFM method in Mobile Internet Environment)

  • 조영성;허문행;류근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1-50
    • /
    • 2008
  • 모바일 환경하에의 RFM 기법을 이용한 개인화 된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용자의 평가 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번거로운 질의 응답 과정이 없이 묵시적인(Implicity) 방법을 이용하여 고객정보와 구매이력정보를 기반으로 RFM 기법을 이용하여 고객 세분화와 아이템 세분화 통해서 대상 사용자에게 구매 가능성이 높은 아이템을 추천한다. 또한 기존의 추천시스템의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신규 고객이나 신규 아이템 추천을 고려하여 적용한다. 추천 아이템과 사용자가 구매한 아이템 이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추천된 아이템이 중복 추천을 제거하였고 현업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셋을 구성하여 실험을 통해서 효용성과 타당성을 입증 및 평가하여 개인화된 일대일 웹 마케팅을 실현하였다.

  • PDF

보존방안 수립을 위한 청송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지의 손상도 진단 및 물성평가 (Deterioration Diagnosis and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in the Dinosaur Footprint Fossils in Cheongsong Sinseongri, Korea, for the Conservation Plans)

  • 양혜리;이찬희;박준형
    • 자원환경지질
    • /
    • 제54권3호
    • /
    • pp.311-330
    • /
    • 2021
  • 청송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지에는 최소한 수각류 보행렬 11개, 용각류 보행렬 3개 및 조각류 보행렬 1개 이상 존재하여, 국내 다른 공룡발자국 화석지에 비해 수각류 보행렬의 밀집도가 높다. 공룡발자국의 모암은 미사암과 이암의 암상을 보이나 전체적으로 열변질을 받아 혼펠스화되어 있다. 이 화석지의 표면에는 다양한 방향의 절리가 나타나며 미세균열과 박락을 제외하면 모든 손상요인에서 낮은 점유율을 보였다. 초음파 속도 측정 결과, 화석지의 암석은 비교적 건전한 물성을 보여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공룡발자국 화석의 손상형태에 따라 보존처리 유형을 세분하면, 균열의 진전을 제어할 수 있는 강화처리가 필요한 발자국화석이 절반 이상의 비율을 보였다. 또한 발자국의 가시화를 위해 도포한 흰색 페인트가 열화되면서 암편 탈락을 유발하여 오히려 화석의 손상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대체할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결정질 암반내 지하연구시설에서 수행한 현장수리시험법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the Hydraulic Test Method Performed at an underground Research Facility in Crystalline Rock)

  • 박경우;고낙열;지성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2호
    • /
    • pp.121-13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지하연구시설에서 결정질 암반의 수리지질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수리시험법의 적용 가능성 및 신뢰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펄스시험, 슬러그시험과 정압시험을 이용하여 각 시험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투수량계수를 서로 비교해 보았다. 펄스시험과 슬러그시험의 결과를 비교해 볼 때, 매질의 투수성이 낮은 시험 구간에서는 투수량계수가 매우 유사하게 도출되었지만, 투수성이 비교적 큰 구간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투수성이 큰 구간에서 정압시험 결과에 비해 순간수위변화시험의 결과가 다소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투수성의 차이는 각 수리시험에서 적용되는 수리 영향 반경의 상이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각각의 현장수리시험에서 도출되는 결과가 매질의 투수성을 동일하게 반영한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단열의 불균질한 분포가 투수성에 영향을 주는 결정질 암반에서의 수리지질특성을 도출할 때 수리영향반경이 큰 정압시험이나 정률시험뿐만 아니라 비교적 빠른 시간에 수리지질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슬러그시험과 펄스시험을 통해서도 매질의 수리지질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