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오염시스템

Search Result 1,18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Evaluation of Location Decision Factors of Environmental Foundation Facilities using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환경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환경기초시설의 입지 결정요인 평가)

  • Cho, Deok-Ho;Bae, Min-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1 no.1
    • /
    • pp.45-5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lect an appropriate location of wate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WPPF) through evaluating location decision factor using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do that, this research reviewed the current location policies of WPPFs and its related researches. And this paper builds water pollutant statistical databases, integrated them with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f the administrative areas where water pollutants are generated, and gears it with statistical programs such a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figure out the pollution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location decision of WPPF on the real time base. The volume of discharge of industrial wastewat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ater pollutants on the location decision of WPPF. And the number of industrial facilities also was the most important location decision factor in constructing the WPPFs. In addition, this paper noted that the number of population in each area makes a role to restraint the construction of WPPF. It identified that the disposal facility in Nackdong river upper-middle watersheds was insufficient in treating the livestock pollutants. Therefore, Gyeongbuk should concentrate on the construction of disposal facilities of livestock pollutant in these are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decide what kinds of WPPF should be constructed on which watershed in Nackdong River, and to forecast the future water quality of each watershed.

  • PDF

Value creation of Smart Eco Mirror System that combines environmental issue and IoT industry trend (환경적 이슈와 IoT 산업 트렌드를 융합한 스마트 에코 미러 시스템의 가치 창출)

  • Kim, Jun-Hyeok;Shin, Jin-seon;Jeon, Chan-Yeong;Jeon, Gw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16-1219
    • /
    • 2017
  • 산업이 해를 거듭할수록 발전하면서 매연, 분진, 폐기물과 같은 물질의 발생과 동반하는 황사, 스모그 같은 환경적인 오염 문제가 현재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이는 인간의 신체에 해로운 영향을 준다. 우리는 이런 오염에 대해 특정 기관의 정보를 통해서 환경 오염에 관한 수치를 정보로써 취학 이 정보를 바탕으로 신체에 대한 오염을 대비하는 방식으로 생존하고 있는데 사물인터넷 중에서도 인간과의 접근성이 가장 뛰어난 거울을 이용하여 환경적인 정보 알림을 통해 IoT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새로운 환경적 가치 창출 과정을 설명한다.

A Study on the Building & Application of Basin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유역환경정보관리시스템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성동권;김태근;조기성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7 no.1
    • /
    • pp.69-78
    • /
    • 1999
  • Recently, with a rapid industry development, the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is being increased. And the technique of pollution-prevention is also being studied. In the past, management direction for environmental pollution was limited only to concentration reduction and technique for treatment. But ,in these day, its direction is moved to a high level study such as a management and estimation of pollution material. In this study we establish a conception about EIS(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building and present its building method. And we present a method for a database building, searching, analysis and printing. Also we produced the landuse map processing LANDSAT TM image. Using DDE(Dynamic Data Exchange) between Excel and ArcView on PC platform, we are enable to write and/or update a Report - waste discharge facility approval management leader - and to recover weakness about the report management of exsiting GSIS program.

  • PDF

Application and Assessment of Web GIS-based Load Duration Curve System for Determination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최적관리 기법 선정을 위한 Web GIS 기반의 오염 부하지속곡선 시스템의 적용 및 평가)

  • Kim, Jong-Gun;Park, Youn-Shik;Jang, Won-Seok;Shin, Dong-Seok;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80-1383
    • /
    • 2009
  •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TMDL)는 유역의 수질 회복 및 관리를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의 여러 주에서 수립되어 적용되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유역 관리를 위한 TMDL의 기준설정에 있어 오염부하지속곡선(LDC)의 활용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LDC 방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충분한 교육이 필요하고 LDC 생성을 위한 데이터 구축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Web GIS 기반의 LDC 시스템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웹기반의 LDC 시스템은 미국 지질 조사국(USGS)이나 한국 환경부(MOE) 서버 등을 통해 구축된 자료를 이용하여 오염부하지속곡선을 생성하기까지의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처리되어 기존 수작업에 의한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질오염 총량 관리제도 단위유역인 낙본A와 금본C, 그리고 미국 인디애나 주의 Yellow River와 펜실베이니아 주의 Borkenstraw Creek 유역을 대상으로 웹기반 LDC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량 및 수질 자료는 본 시스템에서 연계된 환경부 서버와 USGS 서버를 통해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낙본 A 단위유역의 BOD 오염부하량과 농도가 대체적으로 목표수질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유량이 적을 때 다소 목표수질을 초과하고 있는 나타나, 적합한 수질관리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금본 C 단위유역의 경우 대부분 BOD 배출부하량이 할당 부하량보다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고, 목표수질 농도에 비해 배출되는 BOD 농도 또한 대체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Yellow River 유역의 경우는 유량이 많을 때 배출되는 수질농도가 목표수질을 초과하는 것으로 보아 강우시 배출되는 오염물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Borkenstraw Creek 유역의 경우 유량이 적을 때를 제외하고 대부분 구간에서 배출부하량이 할당부하량을 초과하여 이에 대한 적합한 수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웹기반 LDC 시스템을 통해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 단위유역에 대한 수질 평가 및 특성 분석이 용이하며 수질 회복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Basic Study on the Ubiquitous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유비쿼터스 수중환경 관리 시스템 구축에 관한 기초연구)

  • Jo, Byung-Wan;Lee, Dong-Yoon;Park, Jung-Hoon;Yoon, Kwang-Won;Kim, Heoun;Kim, Yoon-Ki;Yeom, Chang-Yeol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508-511
    • /
    • 2011
  • 현재 수질오염은 빈번히 발생하는 환경재해로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실행되고 있는 수질오염 측정은 범위가 제한적이며 채수를 통한 수질 측정으로 측정이 오래 걸리며 수질 오염 발생 시 빠른 대처를 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기술과 부이(Buoy)를 융합한 USN관측부이를 이용 수중환경상태를 감지하여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고 자료를 분석하여 위험상황(오염물질, 독성물질) 확인되는 즉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한 지능적인 유비쿼터스 지능형 수중환경 관리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Nonpoint Removal Contribution Ratio Analysi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Loads from Sewage Treatment Area in Watershed of Nakdong River (낙동강 유역 내 하수처리구역의 비점오염원 부하량에 대한 비점저감 기여율 분석)

  • Jang, Jong Kyung;Kim, Mi Eun;Kim, Jae Moon;Jang, Young Su;Shin, Hyun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5-445
    • /
    • 2015
  • 비점오염의 특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 중이지만 수문특성과 연관성이 크다 보니 그 일관성에 대해 확실한 기법이 개발되지 않았다. 기법 개발과 효과적인 오염원 관리를 위해 SWMM 등의 모형을 활용하고 있지만 투입된 노력과 시간에 비해 그 효율성이 매우 적은 편이다. 이런 부분을 보완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비점오염량 산정방법이 아니라 낙동강유역의 도시화 특성 및 수문/기상자료와 처리장 운영자료를 활용한 차별화된 원단위법을 통해 비점 배출 부하량 산정방법을 제시하려고 한다. 배수구역 내 관거 시스템을 합류식으로 가정하였고 배수구역별 비점 발생형태는 하수처리장의 강우 유입량, 하수처리장의 우회유량(Bypass 유량), 하수처리구역의 CSO 유량 3가지로 구분 지었다. 유입 방류자료와 강우자료를 활용하여 임계강우량을 3mm로 설정하여 3mm이상일 경우에 우회유량이 발생한다고 가정하였고 우회유량 발생시 오염부하량 산정은 건기평균유량에 유량변동부하율을 곱하여 시간최대유량으로 전환한 후 강우 지속기간 동안만 우회유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CSO 유량은 처리구역/배수구역 면적비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구분한 뒤 검증된 SWMM-온천천 모형의 각 소유역별 불투수면적비와 비교하여 유사한 소유역을 각 그룹의 대표유역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소유역의 CSO 유량과 수문현상의 비선형적인 관계를 고려할 수 있는 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여 강우특성에 따른 CSO 오염부하량 산정을 실시하였다. 산정결과를 바탕으로 각 하수처리장별 비점저감 기여율을 산정한 결과 대구북부 처리장에서 21.56%로 가장 높은 효율을 보여줬으며 거창가조 지점에서 0.11%로 가장 낮은 효율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낙동강유역 내 위치한 하수처리장의 효율성에 대해 알 수 있으며 개선되어야 할 처리장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획일화된 방법이 아닌 차별화된 원단위법을 통한 오염부하량 산정은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있어서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Life Cycle Assessment of Activated Carbon Production System by Using Poplar (포플러를 이용한 활성탄 제조 시스템에 대한 전과정 평가)

  • Kim, Mihyung;Kim, Geonh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11
    • /
    • pp.725-732
    • /
    • 2014
  • Phytoremediation is a technology to mitigate the pollutant concentrations such as metals, pesticides, solvents, oils, or others in contaminated water and soils with plants. The plants absorb contaminants through the root and store them in the root, stems, or leaves. Rapid growth trees such as poplar are used to remove low concentrated contaminants eco-friendly and economically in a wide contaminated region. This study was practiced to evaluate an activated carbon production system by using poplar wood discarded after phytoremediation. Life cycle assessment methodology was used to analyze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system, and the functional unit was one ton of harvested poplar. It was estimated that the small size rotary kiln for activated carbon production from poplar wood had an environmental benefit in optimized conditions to minimize energy consumptions. The results of an avoided environmental impact analysis show that the system contribute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s in comparison with activated carbon production from coconut shell.

Design of Fine Dust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반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im, Tae-Yeun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5 no.1
    • /
    • pp.14-26
    • /
    • 2022
  • Recently,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air pollution, interest in air pollution is increasing. The IoT based fine dust monitoring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allows the measurement and monitoring of fine dust, volatile organic compounds, carbon dioxide, etc., which are the biggest causes affecting the human body among air environmental pollution. The proposed system consisted of a device that measures atmospheric environment information, a server system for storing and analyzing measured information, an integrated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for administrators and smart phone applications for users to enable visualization analysis of atmospheric environment information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fine dust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was verified by using the response speed of the system,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sensor data, and the measurement error of the sensor. The fine dust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proposed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the system by visualizing the air pollution condition after measuring the air environment information with portable fine dust measuring device.

Eulerian Models (오일러리안 모델)

  • 심상규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11 no.1
    • /
    • pp.29-36
    • /
    • 1995
  • 대기오염 물질의 대기중 거동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대기질 모델이 사용되고 있다. 대기질 모델은 물리적인 모델과 수학적인 모델로 나눌 수 있다(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 1986). 물리적인 모델은 풍동, 수조 등을 이용하여 실제 대기오염 시스템을 축소한 모형을 만들어서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 분포를 측정하는 모델이다. 물리적 모델은 대기오염을 가시화 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으나 대기의 난류현상을 재현하는데 제약이 있고 대기오염 물질의 중, 장거리 이동을 예측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