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영향평가의 효과

Search Result 1,259,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Environmental Improvement Effect and Social Benefi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cusing on Thermal Power Plant (환경영향평가를 통한 화력발전소의 환경개선 효과와 사회적 편익)

  • Kang, Eugene;Kim, Yumi;Moon, Nankyo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3
    • /
    • pp.322-333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easure atmospheric environmental improvement effect and estimate its social benefit of thermal power plants through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for quantitative analysis about operational performances of EIA. In this study, 'EIA outcome' is defined as whether or not the system is implemented, therefore, environmental standard to be followed by each project and consultation contents were compared. In total 60 cases of thermal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s that have been consulted over the past 10 years since 2010, major air pollutants have been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EIA. The $PM_{10}$ reduced annual 3,745 tons, $NO_2$ by 74,569 tons, and $SO_2$ by 37,647 tons, which were estimated at approximately 240 billion won~5 trillion 967 billion won per year for social benefit. This means the total cost of power plant operations will be cut to 7 trillion 192 billion won~178 trillion 994 billion won over a 30-year period. The reduced amount of air pollutants emitted by energy generation facilities across the country is worth 50%, and its economic value is larger than the annual Current Health Expenditure in Korea. This is meant by the fact that all projects are subject to uniform criteria under the existing relevant regulation, but that each project plans are optimi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areas and projects through the process of EIA.

A study about Environmental Comparision on the Method of Recycling Waste Plastic (폐플라스틱 재활용방법의 환경성 비교에 관한 연구)

  • Oh, GiI-Jong;Park, Chan-Hyuk;Kim, Kyu-Yeon;Chung, Jae-Chu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1 no.1
    • /
    • pp.77-83
    • /
    • 2003
  • 본 연구는 폐플라스틱 재활용의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재활용방법(물질재활용, 에너지 회수, 화학적재활용)에 대한 주요 환경인자를 규명하며, 이를 토대로 전과정평가 도구(tool)인 시마프로 5.0을 이용하여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방법별 환경성을 비교하였다. 폐플라스틱의 재생원료화 전 공정에 투입되는 투입산출물로 인한 환경부하(Original Impact)와 재생원료의 신재 대체를 고려한 환경부하 삭감효과(Avoided Impact)를 합한 최종 영향 평가를 토대로 재활용방법별 환경성을 비교하여 환경영향범주에 대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폐플라스틱 재활용방법에 대한 각 영향범주별 주요 영향 요인은 지구온난화로 나타났다. 또한, 지구온난화에 대한 영향은 물질재활용, RDF공정 및 용기형 폐플라스틱 고로원료화공정이 음(-)의 값으로 환경삭감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오존층 파괴에 대한 영향은 유화 공정이 환경부하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산성화, 부영양화 및 광화학산화물 생성에 대한 영향은 용기형 고로원료화와 RDF공정이 환경부하삭감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udy on the Standard Guideline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cusing on Light Pollution (빛공해 분야의 환경영향평가 지침 표준화 연구)

  • Yun, Hee-Kyung;Choi, Tae-Bong;Kim, Bu-Kyung;Kim, Ho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8 no.1
    • /
    • pp.63-70
    • /
    • 2019
  • Artificial lighting is an essential part, but it causes light pollution due to unnecessary or excessive use of light. Light pollution has negative effects such as power waste, adverse health effects,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But currently, light pollution is managed only post-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andardize method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cusing on light pollution to effectively manage and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areas that may cause light pollution in advanc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IA Items and the Operating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EIA Items Usage (환경영향평가의 평가항목 이용현황 분석을 통한 평가항목 조정 및 운영체계 개선안 도출)

  • Park, Ji Hyeon;Choi, Joon Gyu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1
    • /
    • pp.1-16
    • /
    • 2018
  • Selecting target items of EIA(Environmental Impacts Assessment) is very important process in conducting the EIA. In Korea, like other countries, the EIA Council selects the target items before starting the EIA process. However, the assessment items stipulated in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ct is almost wholly applied to most businesses. Thus, the EIA is difficult to carry ou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business. Additionally, the items of EIA have a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change, so that the items of EIA is easy to fall apart from the current social nee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djustment of the items of EIA by reflecting the changes in the assessment and social conditions based on analysis of the usage and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EIA items.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like to propose a improvement of the operating system in order to ensure that EIA items can be selected effectively.

Study on the Diurnal Change of Water Quality in the Pool Managed by the Nature-Friendly River Work (1) (자연복원하천구간에 있어서 못의 일중 수질변화에 관한 연구)

  • Kang, Sang Hyeo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1 no.4
    • /
    • pp.281-287
    • /
    • 2002
  • 자연친화적 하천사업에 있어서 못은 하천환경을 구성하는데 기본단위이나 수환경상의 기능에 대한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못의 수환경을 평가하기 위하여 측정 자료를 토대로 한 일중 수질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못의 하천환경에 대하여 물리적, 생태학적 관점에서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못에 있어서 일중 수질은 혼합의 정도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으며 이러한 모의실험 결과는 향후 못의 조성에 따른 자료수집이나 일차 생산력을 이해하는데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Comparative Analysis of EIA Systems of Algeria and Korea (알제리와 한국 EIA 제도 비교 분석)

  • Ladj, Nawel;Hong, Sang-Py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0 no.6
    • /
    • pp.927-936
    • /
    • 2011
  •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EIA)는 대규모 개발사업에 관련된 의사결정의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도이다. 알제리와 한국의 EIA 제도를 비교분석하여 특징 및 장단점을 파악하여 다른 계획관련 정부기관과 환경관련 기관과의 조정 및 협조 수준의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알제리와 한국의 EIA 제도는 의사결정 절차에 관련된 규정에서는 유사하지만 주민참여 수준에서는 한국이 발달되어 있다. 스크리닝 제도에서는 프랑스의 영향을 받은 알제리의 제도가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다.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on the function and value of tidal wetland (갯벌의 기능과 가치에 대한 환경학적 고찰)

  • Bark, Chang-Hee;Lee, Sang-Ho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3 no.2
    • /
    • pp.87-101
    • /
    • 2004
  •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새만금간척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서를 최초 작성할 당시는 갯벌의 가치를 사업의 편익에 포함시키지 않았으나, 이후 환경단체에서는 새롭게 부각된 갯벌의 기능과 가치를 포함시켜 경제성 분석을 다시 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 자료에서는 지금까지 발표된 갯벌과 논의 가치 비교와 새만금사업의 경제성 분석을 검토하였다. 갯벌의 가치에 대하여 금전적인 평가를 한다는 것은 주관적인 요소가 개입하게 되므로 여전히 학자 간에도 의견이 일치하지 않으며 경제성 분석에 포함할 항목에 대해서도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서 일반인에게는 매우 혼란스럽기만 한다. 새만금사업환경영향공동조사단의 공동조사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갯벌의 정화능력 실험과 설문조사를 통한 갯벌의 가치 평가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연구자가 검토한 결과 새만금사업 편익 총액의 51%를 차지하는 국토확장효과가 과대하게 평가되고 농산물 증산액과 논의 공익가치 역시 과대하게 평가되어 경제성 평가를 왜곡시켰다고 판단된다. 갯벌의 기능과 가치에 대한 평가는 앞으로 객관적인 연구결과에 의존해야 하며 환경학계의 검증을 거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본다.

Analysis of Disaster Reduction Effect on Permanent Reservoir using Radar Flowmeter (레이더 유량계를 이용한 영구저류지 재해저감효과 분석)

  • Kwon, Gi-Min;Ham, Tae-Yuun;Song, Moon-Soo;Yun, H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03-104
    • /
    • 2022
  • 본 논문은 레이더 유량계를 활용하여 영구저류지의 유입·유출량을 계측을 통해 영구저류지의 재해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2009년 이후 자연재해대책법 의거 개발사업에 대해 재해영향평가를 실시하고 개발 후 영구저류지를 설치토록 법제화하고 있다. 재해영향평가서 상 50년 빈도 강우량으로 영구저류지를 설계하고 있지만, 크기 및 형태에 대한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상기후로 인해 강우강도가 높은 폭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상황이다. 영구저류지의 재해저감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유입·유출구에 레이더 유량계를 설치하였고 24시간 강우사상 동안 발생한 유입·유출량을 확인하였다. 획득 데이터를 통해 사전재해영향검토서의 기대 저감효과 영구저류지의 실제 저감효과 비교 분석을 하였고,이를 바탕으로 저감효율을 계산하여 영구저류지의 재해저감효과에 대한 구체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Effectiveness Enhancement Measures for Local Governm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by Improving Small-scale EIA Institution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제도개선을 통한 지자체 환경영향평가 효과성 증진방안)

  • Jongook Lee;Kyeong Doo C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1
    • /
    • pp.15-28
    • /
    • 2023
  •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target project scope of the small-scale EIA is stipulated as the plan area above around 5,000~60,000m2 depending on a type of project and classification of land use. Whereas, the lower limit of the corresponding local government EIA project is generally located above the small-scale EIA's limits, and overlapping ranges exist. This situation has been enlarged since road construction and district unit planning were included as the target projects for small-scale EIA in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ct", which was partially revised in November 2016, and the current consultation system needed discussion in that small-scale EIA is allowed to be done without gathering review opinions at the local level. In fact, projects subjected to local government EIA but consulted as small-scale EIAs may seem insignificant because of a small number of total cases; however,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a local government may not add a target project due to the small-scale EIA. This study suggested the three policy measures for improving small-scale EIA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local government EIA: supplementing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s to incorporate the review opinion from the local region in small-scale EIA, giving priority to local EIA for conducing the projects in overlapping ranges with partial amendments on EIA law regarding exceptions to local government EIA, including small target projects (not to be small-scale EIA targets) to the ordinance that are deemed necessary to be conducted as local government EIA. Even though a positive function of small-scale EIA has been confirmed,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situation in which many projects within local governments are consulted without review from the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