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영향평가서 검토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nvironmental Effect of River Aggregate Dredging (하천 골재채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분석)

  • Park, Eui Jung;Kim, Chul;Kim, Seok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50-1355
    • /
    • 2004
  • 주택건설과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인해 골재부족이 심화되면서 하천정비공사에서 골재채취가 주요한 사업이 되고 있다. 하지만 무분별한 골재채취는 하천생태계를 파괴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하천에서 골재를 채취할 때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골재채취를 중지하고 휴식년제를 취할 때의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서로 비교${\cdot}$분석함으로서 하천골재 채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수리학적 분석, 수질분석, 생태학적 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영산강의 일부구간으로 현재 이 구간은 골재채취공사가 진행중인 지역이다. 하상변동을 수치해석으로 모의한 결과 하상은 골재채취후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골재채취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았고 단지 부유사(SS)가 약간 증가하였다. 생태학적 조사 결과 어류,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와 조류는 공사로 인한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골재채취 사업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및 사전환경성 검토에 활용될 수 있고, 하천공사와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Environmental Simulations : Their Use, Appraisal, and a Research Agenda (환경시뮬레이션의 이용과 평가, 그리고 연구과제)

  • 오규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9 no.1
    • /
    • pp.3-18
    • /
    • 1991
  • 제안된 설계난 계획이 미래의 환경에 가져올 영향을 예측하고 분석 하는 도구로서 시뮬레이션 도구로서 시뮬레이션은 환경정책의 수립에 있어 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래 전부터 다양한 환경시뮬레이션 기법들이 고 안되어 널리 사용되어오고 있으며, 더욱 효과적인 방법을 개발하려는 노력 이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경시뮬레이션의 이용과 평가에 관련된 각종 이론들을 문헌조사를 통하여 개괄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 를 통하여 시뮬레이션이 환경설계 및 계획과정에 있어서 작업의 효율을 향 상시키는 필수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이 파악되며, 환경시뮬레이션의 보 다 적절한 사용을 위하여 각 시뮬레이션 기법의 기능 및 기술적 측면의 평 가와 인간지각적 측면의 평가, 그리고 시뮬레이션을 적용하려는 프로젝트 의 성격에 관한 면밀한 조사등이 요구된다. 아울러, 본 분야의 미래 연구를 위한 연구과제들이 제시된다.

  • PDF

Analysis of Biotope Area Ratio in th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s (환경영향평가서에 나타난 개발사업의 생태면적률 검토 연구)

  • Lee, Sang-D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4
    • /
    • pp.394-401
    • /
    • 2018
  • Tendency in ratio of biotope area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ccording to population, location, project type, and total project area was analyzed by type of the projects. According to EIA, biotope area ratio is the ratio of the weighted biotope areas and total project area. biotope area is important to resident's health and quality of their life. Ministry of Environment recommends to meet the biotope area ratio standard presented by each project type. The analysis is based on 4 types of project, urban development, industrial comlpex deveopment, tourism development, and waste and sewerage treatment facility, and 55 data extracted from them. It is needed that new standard that the population is reflected, adjustment that region and frequency are considered, and regulation strengthening according to achievement of 'the minimum achievable goals' to improve biotope area policy. The research includes more data and improvements of specific system are needed as a further research.

뿌리기업(표면처리)의 화학물질관리법 대응방안

  • Baek, 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6.11a
    • /
    • pp.129.2-129.2
    • /
    • 2016
  •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설치, 운영하는 모든 사업장은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유해화학물질 취급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취급설비의 안정성에 대한 장외영향평가서를 작성, 제출하고 화학물질안전원에서 만약의 사고가 발생시 사업장 외부의 사람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없도록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는지 검토 및 검사를 받게 되어 있다. 뿌리기업 중 대부분의 표면처리업, 특히 년간 유해화학물질 취급량이 100톤 미만의 소규모 업체는 2019년까지 유예기간이 있지만 사전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

  • PDF

Evaluation of Lighting Environments in Residential Area and Task Area (주거/사무공간의 조명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 이선영;김상진;고한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310-313
    • /
    • 2002
  • 본 연구는 공간특성이 서로 다른 두 공간, 주거/사무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평가구조를 비교 검토하고 각 공간의 행위에 적합한 조명환경을 제시하고자 슬라이드 사진을 이용한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가대상 슬라이드수는 주거공간이 28장, 사무공간이 26장이다 실험은 각 공간별로 분위기항목과 행위항목에 대해 각각 실시하였다. 평가항목은 분위기항목이 21가지, 행위항목이 14가지이다. 각 공간의 평정치를 이용하여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거공간과 사무공간 모두 <활동성>,<안정감),<고급감)의 3인자축이 추출되었다. 그러나, 주거공간의 경우는 <활동성>인자축이 평가축을 이루었으며, 사무공간의 경우는 <고급감>인자축이 평가축을 이루었다. 행위항목의 인자분석 결과는 주거공간의 경우, <작업행위>,<휴식행위>,<단란행위>의 3인자축이, 사무공간의 경우 <작업행위),<휴식행위>의 2인자축이 추출되어 주거공간의 경우, 활동성 평가가 높은 조명환경은 작업행위에 적합하며 반대로 활동성평가가 낮은 조명환경일수록 휴식행위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공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작업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분위기 인자는 활동성으로 나타나 활동성평가 높을수록 작업행위에 적합하며, 후식행위는 평가성 평가가 높은 조명환경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iagnosis of Development Projects and Water Quality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ea Areas and Improvement of Impact Assessment (환경관리해역의 이용개발현황과 수질변화경향 및 영향평가 개선방안)

  • Jun, Eun Ju;Yi, Yong Min;Lee, Dae In;Kim, Gui Young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18.06a
    • /
    • pp.143-143
    • /
    • 2018
  • 최근 3년간 환경관리해역(환경보전해역 및 특별관리해역)에서 이루어진 해역이용협의 검토 건수는 총 60건으로 조사되었다. 환경보전해역에서는 2015년 9건, 2016년 7건, 2017년 3건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특별관리해역에서는 2015년 12건, 2016년 13건, 2017년 16건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환경관리해역의 개별사업 유형을 분석한 결과, 인공구조물 설치사업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항만 어항개발, 연안정비 및 해수 인 배수 사업유형이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관리해역에서 국가해양환경정보통합시스템(MEIS) 자료를 참고하여 생태기반 해수수질 평가지수(WQI)와 경년별 수질변화경향을 비교한 결과, COD는 뚜렷한 증감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TN과 TP의 농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별관리해역인 광양만과 마산만 및 환경보전해역인 가막만에서는 빈산소수괴가 출현하였다. 이러한 환경관리해역에서의 이용 개발행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른 해역이용협의서 등 해양환경부문 환경영향평가시에는 충분한 수질변화에 대한 실태분석 및 사업추진에 따른 수질영향을 철저히 진단해서 오염원관리에 대한 대책이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각 환경관리해역의 지정 목적에 따른 유지 수질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개발사업에 따른 협의 평가과정에서의 검증을 위하여 환경관리해역에서의 수질 및 퇴적물에 대한 모니터링 및 분석결과에 대한 정도관리가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PDF

Toxicokinetic and Toxicodynamic Models for Ecological Risk Assessment (생태위해성 평가를 위한 독성동태학 및 독성역학 모델)

  • Lee, Jong-Hyeo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4 no.2
    • /
    • pp.79-93
    • /
    • 2009
  • 오염물질에 대한 생태위해성평가(ecological risk assessment)를 위해서는 노출평가(exposure assessment)와 함께 생물영향에 대한 평가(effect assessment)를 수행해야 한다. 노출평가의 경우는 지화학적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농도를 예측하기 위한 화학평형모델이나 다매체환경거동모델 등 다양한 평가 및 예측모델을 활용해 왔다. 이와 달리 생물영향평가는 실험실 조건에서 제한된 독성자료를 대상으로 외부노출농도에 기반한 농도-반응관계를 통계적 방법을 통해서 추정하는 '경험적 모델(empirical model)'에 주로 의존해 왔다. 최근에 와서 생체 내 잔류량을 기반으로 농도-시간-반응관계를 기술하고 예측하는 독성동태학 및 독성역학 모델(toxicokinetic-toxicodynamic model)과 같은 독성작용에 기반한 모델(processbased model)들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종류의 독성동태학 및 독성역학 모델을 소개하고, 이를 통계적 추론에 기반한 전통적인 독성학 모델과 비교하였다. 서로 다른 종류의 독성동태학 및 독성역학 모델로부터 도출된 노출농도-시간 -반응관계식을 비교하고, 동일 독성기작을 보이는 오염물질 그룹 내에서 미측정 오염물질의 독성을 예측할 수 있게 해주는 구조-활성관계(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QSAR) 모델을 여러 독성동태 및 독성역학모델로부터 유도하였다. 마지막으로 독성동태학 및 독성역학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한 실험계획을 제안하였고, 앞으로 독성동태학 및 독성역학 모델을 생태계 위해성평가에 활용하기 위해서 해결해야 될 연구과제를 검토하였다.

Standardization Plan for Activ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 기반 환경영향평가 활성화를 위한 표준화 방안)

  • Jang, Jung-yoon;Cho, Namwook;Lee, Moung Ji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5 no.3
    • /
    • pp.433-446
    • /
    • 2019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as been performed as preliminary assessment system in order to conserve environment value and minimize negative effect from development. Assessment based on data has been necessary to strengthen objectivity in proces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cess. Furthermore extended use of spatial information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has been required through spatial information provided at government level and possibility connected with spatial information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owever spatial information has not been systematically utilized in curr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lso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orkers including assessment government employees, agencie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ocument and review agencies lack an understanding in the concept of spatial information, so there is limit about their use to efficiently. In order to improve these limits in use of spatial information, this study suggested measures to standardize spatial information (coordinate and attribute table). To do so, based on coordinate and standards certified by the government, this study defined standard coordinates (GRS-80, central datum point, False East: 100000, False North: 200000) and established 9 default items. Lastly, the aforementioned standards were tested for actual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jects. Standardization measures sugges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nvigorate 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expand the scope of the assessment.

A Study of Index Selection and Application Plan for Environment Friendly Road Construction Plan (친환경적 도로건설계획을 위한 지표 선정 및 적용 방안 연구)

  • Joo, Yongjoon;Sagong, Hee;Choi, Joongyu;Hwang, Giw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5
    • /
    • pp.354-364
    • /
    • 2017
  • Considerable amount of resources on roads, basic infrastructure, to promote economic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goods is invested. Despite the necessity, its undesirable side effects ar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 order to efficiently evaluate these problems more than before, planning indictors for environment-friendly road constructions is proposed in this study. First, we make an investigation into real-life cases where the extracted planning indicators were applied. Second, it is suggested that an alternative assessment method efficaciously evaluate and/or adopt extracted planning indictors on road construction projects. Finally, criteria to determine environmental impacts with respect to planning indicators and apply them into real cases is proposed.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upgrading past pro-environmental indictors for road construction, suggesting reasonable applications of planning indicators, and setting criteria to determine environmental impacts based on planning indicators.

The Problems and its Improvement of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and Impact Assessment for Projects Related to Marine Environment Restoration (해양환경복원관련 사업에 따른 해역이용협의·영향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Yi, Yong Min;Jun, Eun Ju;Lee, Dae In;Kim, Gui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1
    • /
    • pp.34-44
    • /
    • 2019
  • Marine activities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extensive due to recent social developments, exceeding the environmental capacity of the marine ecosystem. The resilience, resistance, and constancy of marine ecosystems are being damaged or degraded. This prevents the ecosystem from functioning properly, leading to a decline in ecosystem services and value. As a means of returning the damaged ecosystem to health, more and more people are interested in restoration. At a time when restoration projects are gradually expanding, various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implementing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and Impact Assessment for restoration projects need to be checked, in addition to confirming the direction to be pursued. Therefore, in this study terms related to restoration from research papers and reports were summarized, and the status of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related to restoration projects and the status of the restoration project were reviewed. In addition, problems with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s were considered through a case study to ensure the successful execution of restoration projects. Based on this, we intend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for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s and Impact Assessments for restoration projects. This will provide effective information for future policies and pl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