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생태

Search Result 10,19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echnical and Institutional Directivity of Instream Flow and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하천유지유량과 환경생태유량의 기술·제도적 방향성)

  • Kang, Seong Kyu;Choi, Si Jung;Kim, Hyun Jung;Lee, Dong 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20-420
    • /
    • 2019
  • 법적인 정의를 차치하고 나면 하천유지유량의 정의는 사람과 자연이 한정된 수자원을 바람직하게 공유하기 위한 유량 측면의 범위로 나타낼 수 있다. 하천유지유량의 산정과 관리는 사람의 물이용과 배치되면서 동시에 진행해야 하는 하천수 관리의 핵심요소이다. 물관리 일원화 이전에 물관리 업무가 분산되어있는 상황에서 당시 환경부는 환경생태유량이라는 건강한 생태계유지에 주 목적이 있는 개념을 생산하였고, 시범사업을 거쳐 고시를 추진하고 있다. 하천유지유량과 환경생태유량은 다루는 범위와 공간적 차이가 있을 뿐이며 근본적인 개념과 생성의 원인은 같은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지유량과 환경생태유량의 개념과 본질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제도적 장치 마련의 방향성, 기술적 방향성에 대해 논하였다.

  • PDF

A Study on Utilization Plan and Assessment of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of Asan City - Focused on the Ecological Footprint Survey - (아산시 생태환경용량 평가를 통한 도시계획 활용방안 연구 - 생태발자국을 중심으로 -)

  • Joo, YongJoon;Sagong, Hee;Lee, SangY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4
    • /
    • pp.523-532
    • /
    • 2017
  • Environmental problems in urban spaces tend to result from excessive use of resources faster than the ecosystem can recover itself.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city or municipal governments tend to devise plans and policies to lead development within their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This study computes ecological capacity of Asan city, Province Chung Nam, South Korea through applying the concept of ecological footprint. This study finds ecological footprint and deficit of Asan city in 2015 were 5.12 and -4.99, respectively. From 2001 to 2015, Asan city experienced not only an 81% increase of ecological footprint, but also a 190% increase of ecological deficit. Such results suggest that Asan city has experienced a steady increase of resource consumption due to population increase and urban growth, indicating that loss of ecological spaces such as green space, farmland, wetland and so on restoring the ecosystem has been accelerated.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Asan city should not only protect green space, farmland, wetland, and so on but also create urban growth plans and policies taking into account its environmental capacity of the city.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Asan city to lead urban growth within its environmental capacity by applying ecological deficit.

Method of Developing the Regional Ecological Network for Local Government using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 and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광역생태축과 국토환경성평가지도를 활용한 지자체 광역생태네트워크 구축 방안)

  • Kim, Geunhan;Kong, Seok-Jun;Kim, Min-Kyeong;Lee, Moung-Jin;Song, Jiyoon;Jeon, Seong-Woo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3 no.3
    • /
    • pp.3-19
    • /
    • 2014
  • Large-scale unband development resulted from the rapid economic growth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brought about the habitat destruction for the native animals and plants living in forest and farmland.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natural ecosystem as an organism and to preserve the natural ecosystem by managing ecologically significant habitat consistently. Especially, the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ble to establish regional ecologic networks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connectivity and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excellence, and to reflect them into the local development plans. In regard to this, the methods of the regional ecological network establishment was presented, making use of the results including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 which assessed the ecological connectivity of the nation and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sessment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which was designed to analyze and assess the national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values quantitatively. Making use of the case of Gyeongsangnam-do; the results presented that the existing national ecological network in the core region has expanded from $2,986km^2$ to $4,049km^2$ and the existing national ecological network in the buffer region has expanded from $2,940km^2$ to $3,006km^2$. Referring to the regional ecological network in the process of the local development plans could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biodiversity and the integrated local environmental management including the ecosystem preservation.

  • PDF

A study on the ecotoxicological management standards set by the Algae(Closterium) (반달말을 이용한 생태독성 관리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 Ryu, Je Ha;Kim, Sang Gil;Kim, Sun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79-579
    • /
    • 2015
  • 최근의 환경부의 환경관리정책은 기존의 BOD나 COD로 대표되는 이화학적인 분석으로 수질항목을 측정 분석하여 환경규제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환경용량 기반의 수용체 중심의 통합관리방안을 추가하여 규제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수질관리부분에서도 2006년 "물환경관리 기본계획('06-'09)"을 수립하여,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물환경조성 목표하에 오염원 중심에서 수용체 중심 즉, 통합적인 수질관리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하 폐수에 함유된 모든 유해화학물질에 대하여 배출허용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환경부에서는 "생태독성 통합관리제도(WET : Whole Effluent Toxicity)"를 도입, 2007년 상기법의 시행규칙 개정을 통하여 배출허용기준에 생태독성기준을 추가하여 관리하고 있다. 생태독성을 평가하는 생물군에는 박테리아, 조류, 물벼룩, 어류 등 다양한 생물종이 있으며 국내에는 물벼룩을 이용하여 TU라는 생태독성단위를 이용하여 규제 및 관리를 시행하고 있으나 단일 생물종으로만 관리할 경우 생물의 내성 및 특정 유해물질에만 반응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여러 가지 복합적인 화합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복수종에 대한 관리 및 규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달말(조류)를 이용한 WEMS(Water Enviroment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하여 하천 호소 및 정수장, 하 폐수처리장등 다양한 현장에 적용하여 화학물질군에 대한 독성의 특성을 파악과 더불어 통계학적 처리를 이용하여 수질관리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 과학적이고 현장 특성에 맞는 경보 수준을 통해 수생태관리에 관리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