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확장브랜드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2초

국내 전개 패션 상품의 브랜드 확장에 관한 연구 - 메인 브랜드가 세컨드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Brand Expansion Strategy of Fashion Industry - The Effect of the Main Brand on the Second Brand -)

  • 임성경;유지헌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3호
    • /
    • pp.452-464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give a help in making a successful expansion of fashion brand by making a close inquiry into an effect of the main brand in fashion brand on an image of the second brand and into an effect of satisfaction and loyalty for main brand on satisfaction and loyalty for the second brand. The study made a survey of the total eight brands including four main brands and each second brand, and used 217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brand image and second brand image did not match. Second, the satisfaction of the main brand affected the satisfaction of their second brand, especially in the main brand of the image, design, user experience, staff friendliness, variety of products and brands on display. Third, the ranking of main brand loyalty and the ranking of second brand loyalty were different. All the main brand loyal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cond brand. The consumers who preferred the main brand had a high confidence and a strong tendency to repurchase.

화장품 브랜드의 색체 디자인 컨셉 개발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자연성 화장품 '프리메라'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Methodology for developing Color Design Concepts for the Case of Cosmetic Brand 'Primera')

  • 권은숙;김유진;김종일;송경석;최유미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및 국제 감성공학 심포지움 논문집 Proceeding of the 2000 Spring Conference of KOSES and International Sensibility Ergonomics Symposium
    • /
    • pp.417-425
    • /
    • 2000
  • 시각적 의미의 개발에 바탕을 둔 색채 디자인 연구는 인간의 감성을 중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여, 보다 확장적이고 다양한 연구로 발전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 브랜드의 개발과정에서 색채연구의 기능과 역할은 보다 새로운 차원으로 확대,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허브 식물이 가진 치료 효과와 심신을 편안하게 해주는 감성적 요인을 이용하여, 다차원적 감성을 활용한 색채 연구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한 자연성 화장품 브랜드의 이미지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다. 허브 식물과 사용자 간의 감성적 교류에 대한 다차원적 특성은 '프리메라'라는 자연성 화장품 브랜드를 위한 감성적 이미지 개발 전략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연구되었다. 본 사례 연구에서는 여성의 피부 특성에 따른 세 종류의 시각적/촉각적 색채 이미지 접근 방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활용 색체 팔레트를 개발함으로써 프리메라가 갖고 있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확고히 전달할 수 있는 감성 언어 체계를 개발하였다.

  • PDF

브랜드 라이센싱이 소비자지각에 미치는 연구 - 상품유형과의 적합성이 지각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Brand License Effects on Consumer's Preception - Focus on Perceived Risk and Congruence between Product and Brand type -)

  • 김상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2호
    • /
    • pp.79-95
    • /
    • 2015
  • 본 연구는 브랜드 라이센싱이 소비자의 브랜드인지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소비자 입장에서 브랜드는 상품에 관한 제한된 정보를 보충해주는 강력한 정보 원천이다. 브랜드확장전략은 강력한 브랜드를 가진 유명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대안이지만 브랜드파워가 약한 기업은 활용하기 힘든 전략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수의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브랜드 라이센싱에 관심을 갖고 라이센싱 및 상품유형과 브랜드 경험가치의 적합성이 소비자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상징재인 가방과 경험재인 크루즈상품을 런칭하려는 가상의 기업을 설정하고, 경험적 가치와 상징적 가치를 지닌 유명브랜드를 라이센싱하는 상황을 가정하는 유사실험을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소비자의 위험지각은 브랜드 태도에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유형과 라이센싱된 브랜드의 적합성은 상징재보다 경험재에서 소비자의 위험지각을 더 많이 줄여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상징재의 브랜드라이센싱은 경제적위험과 기능적 위험지각을 축소해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브랜드 확장에 따른 스페이스 브랜딩의 구현적 특성 연구 - 브랜드 확장적 관점에서 디자인된 호텔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mbodiment Characteristics of Space Branding for Brand Extension - Focused on the case study of hotels designed for brand extension -)

  • 김지영;류호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96-105
    • /
    • 2013
  • Branding is a process of buil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brand and consumers. This process can also happen in a space that reflects brand characteristics, and this kind of branding is called space branding. This way can strengthen a brand image by delivering its profound impressions with synesthetic experiential services for consumers. In terms of brand extension, particularly, it is possible by space branding to apply the image and value of the parent brand to spatial design so as to expect the direct effect of experiential brand recognition.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for space branding - the scope of which was limited to hotels - specific ways of embodying a brand into space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is the 'embodiment of visual elements' that directly embodies a brand's logos, colors, forms, and textures into space; the second is the 'experience of brand content' that mainly adopts the way of giving impressions with events or customer services, or of inducing direct experiences combined with exhibition function; and the third is the 'symbolic expression of brand characteristics' that indirectly expresses the strong concept or image of a brand - a type in contrast to the first direct type. These ways of space branding change the general abstract feeling of a brand's qualities into specific spatial experiences, thus now settling as one of the ways of marketing that are direct, strongly sustainable, and the most effective.

애니메이션의 2차 이미지를 활용한 브랜드의 시각적 확장 - 디즈니 정글북과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 사례를 중심으로 (Visual Extensions on Brand Using Secondary Images of Animation - Focused on Disney's The Jungle Book and Alice in Wonderland)

  • 김경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262-27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종래 애니메이션 관련 라이선싱에서 주로 다루어왔던 1차적 라이선스 요소인 캐릭터가 아니라 애니메이션의 배경 등 2차 이미지를 활용, 브랜드의 시각적 확장을 달성한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2차 이미지는 내러티브가 발생되는 환경적 요인을 제공하며, 시대적 지리적 속성이 캐릭터로 하여금 사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원작에서 라이선싱 프로세스에 활용될 수 있는 요소를 1차 활용과 2차 활용으로 구분하여 그 범위를 규정하고, 라이선싱을 통한 실제 협업사례를 통해 구현된 2차 활용의 표현 요소와 실제 제품 간의 시각적 관계를 고찰한다. 구체적 사례로서 디즈니사의 '정글북'과 겐조,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와 마크 바이 마크 제이콥스의 협업을 선정하여, 두 브랜드에서 드러난 2차 활용을 원작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 사례에서 2차 이미지를 통한 시각정보를 확장시키면서 아이덴티티를 선명하게 드러냄을 알 수 있었다. 2차 이미지 활용 사례를 통해 향후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으로 발생될 유사 사례와 라이선스의 범위가 확장되는 현 시점에서 새로운 라이선싱 프로세스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PL의 브랜드확장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모브랜드 적합도 인식 차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Brand Extension of Private Label on Consumer Attitude -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fit difference between parent brands and an extended brand -)

  • 김종근;김향미;이종호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6권4호
    • /
    • pp.1-27
    • /
    • 2011
  • 브랜드확장은 다양한 마케팅 영역 중에서도 전통적으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어 왔던 영역으로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나 활용도가 급증하고 있는 PL(Private Label)제품에 대해 브랜드확장의 개념을 활용하여 차별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최근 PL제품에 관한 마케팅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기존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채 단순한 적용에 그치고 있으며, 특히 브랜드확장에 관련된 연구들에서도 PL시장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특히 PL제품의 확장에 있어서는 두 가지 모브랜드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확장 PL제품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두 가지 모브랜드인 유통업체와 기존 PL제품에 대한 태도를 제시하였다. 또한 개별 모브랜드가 PL제품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개별 모브랜드와 확장 PL제품간 유사성에 의해 상이할 것이라고 제안하였으며, 유통업체와 기존 PL제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신뢰와 만족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유통업체와 기존 PL제품에 대한 태도 모두 확장 PL제품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동시에 적합도 정도에 따라 그 영향력이 상이함도 실제 데이터를 통해 검증하였다. 즉 확장 PL제품의 태도는 모브랜드의 적합도가 보다 강하게 형성된 모브랜드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향후 PL제품을 확장할 경우 소비자가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모브랜드에 기초하여 해당 모브랜드와의 연상이 강하게 나타날 수 마케팅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국내 브랜드 사이트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적용실태 조사를 통한 디자인전략 연구 (A Study of Design Strategies for Multimedia Content on Domestic Brand Sites)

  • 박수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539-548
    • /
    • 2003
  • 최근 대두되는 브랜드에 대한 가치 인식의 재고는 인터넷의 환경 속에서도 빠른 대처를 요구하고 있다. 그 가장 대표적인 변화가 브랜드 사이트의 등장과 그 사이트를 통한 브랜드 마케팅의 노력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브랜드 사이트의 컨텐츠디자인 연구를 위해 먼저 브랜드 사이트의 개념을 이해하고, 소비자가 뽑은 인지도 1위 브랜드들의 사이트들을 대상으로 국내 브랜드 사이트의 디자인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관찰결과를 바탕으로 브랜드 사이트의 멀티미디어 적용 실태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브랜드 이미지 구축 방안의 하나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응용을 제시한다. 이어 효율적인 멀티미디어컨텐츠 적용을 위해 사이트의 특성과 사용자 성향에 부합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디자인 전략을 제시해 봄으로써 온라인 브랜드 마케팅의 발전과 인터넷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디자인 기회 가능성을 확장해 보고자 하였다. 후속 연구로는 브랜드사이트의 인지도 형성과 멀티미디어 컨텐츠 디자인 유형에 관한 상관성 연구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

  • PDF

소상공인 가업승계 정책에 대한 경영학적 접근 방안 연구 : 브랜드 차원에서의 정부정책에 대한 논의 (A Study on Business Approach to Small Enterprise Succession Policy : Discuss Government Policy at the Brand)

  • 최신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55-164
    • /
    • 2022
  • 본 연구는 소상공인 가업승계 인증정책이 브랜드로서 어떠한 효과를 지니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소상공인의 경우 소비자 접점에서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만큼, 소비자가 인지하기에 인증정책이 브랜드로서 효과를 지니고 있을 것으로 파악하고 정책이 지니고 있는 브랜드 이미지와 태도, 로열티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영학적으로 논의되는 브랜드 이미지의 세부 요소를 기능과 경험의 두 가지 요소로 분류하고 이와 같은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로 하여금 긍정적인 태도 형성과 로열티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상공인 가업승계 인증정책이 지니고 있는 기능적 브랜드 이미지와 경험적 브랜드 이미지 모두 브랜드 태도 형성과 함께 로열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정부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경영학적 측면에서의 파악 필요성과 소비자와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 정책이 추구해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닐 것이다. 즉 소비자 접점에서 수행되는 정책에 대해 브랜드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브랜드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일련의 경로를 정책에 적용함으로서 향후 소상고인 분야 연구 확장에 기여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를 지닌다.

남녀 성차에 따른 브랜드 확장 평가에 관한 연구 (Gender differences in brand extension)

  • 이영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24권3호
    • /
    • pp.301-31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of, attachment with, and attitude toward a parent brand and perceived risk of, attitude toward, and purchase intension of an extended product in the case of brand extension. A total of 300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50 male and 150 female college students, and 275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or male college students, knowledge of the parent brand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rand attachment with the parent brand, which in tur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rand attitude toward the parent brand. Knowledge of the parent brand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risk of the extended product, which again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product. In addition, for male college students, knowledge of the parent brand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product, which also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sion of the extended produc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brand attachment with the parent brand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rand attitude toward the parent brand, which also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product. Brand attachment with the parent brand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risk of the extended product, which also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