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학 화상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2초

CTAB/TTAB 혼합계면활성제에 의한 Phenoxide 음이온의 가용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Solubilization of Phenoxide Anion by Mixed Surfactant Systems of CTAB and TTAB)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77-183
    • /
    • 2000
  • CTAB/TTAB 혼합계면활성제 용액에서 Phenoxide 음이온의 가용화를 UV/Vis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으며, 혼합계면활성제의 몰분율조성($$\alpha_{CTAB}$)에 따른 가용화상수(Ks)와 임계마이셀농도(CMC)의 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Phenoxide 음이온의 가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n-펜탄을과 NaBr의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첨가제는 $K_s$와 CMC 값을 큰 폭으로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열역학적 고찰을 위하여 $K_s$ 값의 온도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온도에 따른 $K_s$ 값의 변화로부터 Phenoxide 음이온의 가용화에 대한 열역학 함수값(${\Delta}G^0_s$, ${\Delta}H^0_s$${\Delta}S^0_s$)을 계산하였다·그 결과 ${\Delta}G^0_s$${\Delta}H^0_s$은 측정한 범위 내에서 모두 음의 값을 그리고 ${\Delta}S^0_s$ 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 PDF

TTAB 수용액에서 4-할로겐화 페놀유도체의 가용화에 미치는 NaCl과 n-부탄올의 효과 (Effects of NaCl and n-Butanol on the Solubilization of 4-Halogenated Phenols in Aqueous Solution of TTAB)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6호
    • /
    • pp.517-523
    • /
    • 2014
  • UV-Vis 분광도법을 이용하여 순수 물에서 TTAB(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계면활성제분자의 미셀화와 그 용액에서 4-할로겐화 페놀유도체들의 가용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이들 물성에 미치는 NaCl과 n-부탄올의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미셀과 페놀유도체와의 상호작용과 미셀 내에서 가용화되는 위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미셀화에 대한 ${\Delta}G^o_m$값과 가용화에 대한 ${\Delta}G^o_s$값은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첨가제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이들 열역학적 함수값들은 각기 다른 변화를 보였다. 즉, NaCl의 농도를 증가하였을 때 ${\Delta}G^o_m$${\Delta}G^o_s$값은 모두 감소하였다. 그러나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Delta}G^o_m$값은 감소한 반면에 ${\Delta}G^o_s$값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차원발광화상계측에 의한 예혼합압축자기착화연소의 연소실내 혼합기의 불균질성에 관한 연구 (Using Two-Dimensional Chemiluminescence Images to Study Inhomogeneity in Mixture Gas in the Combustion Chamber for HCCI Combustion)

  • 임옥택;노리마사 이이다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12호
    • /
    • pp.1043-1050
    • /
    • 2010
  • HCCI엔진에는 농도성층화와 열적성층화가 존재하고, 이것들은 착화와 연소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혼합기의 불균질성이 HCCI연소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우선 4행정광학엔진을 이용하여 잔류가스가 있는 경우와 급속압축장치를 이용하여 잔류가스가 없는 경우의 예혼합기의 불균질성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DME를 연료로 이용하고 프래밍카메라를 사용하여 2차원화학발광이미지를 취득하였다. 그 결과, 잔류가스가 있는 불균질 한 경우에 4행정엔진실험에서는 연소현상이 공간적으로 연소현상의 시간차이가 발생하였다. 잔류가스가 없는 급속압축장치의 실험에서는 4행정기관의 결과에 비해서 더 적은 공간적인 변화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TAB 용액에서 p-브로모페놀의 가용화와 TTAB의 미셀화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the Micellization of TTAB and the Solubilization of p-Bromophenol in TTAB Solution)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6호
    • /
    • pp.665-671
    • /
    • 2013
  • TTAB(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의 미셀화와 그 용액에서 p-브로모페놀의 가용화 현상을 UV-vis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동시에 연구하였다. 열역학적 연구를 위해 온도의 변화가 가용화와 미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p-브로모페놀의 가용화에 대한 ${\Delta}G_s{^o}$${\Delta}H_s{^o}$ 값은 측정범위 내에서 모두 음의 값을 그리고 ${\Delta}S_s{^o}$ 값은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TTAB의 미셀화에 대한 ${\Delta}G_m{^o}$ 값은 모두 음의 값을 그리고 ${\Delta}H_m{^o}$${\Delta}S_m{^o}$ 값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p-브로모페놀의 가용화와 TTAB의 미셀화에 미치는 n-부탄올과 NaCl의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두 현상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p-브로모페놀이 미셀의 어느 부분에 가용화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불화수소산에 의한 화학화상 2례 (Two Cases of Chemical Burns by Hydrofluoric Acid)

  • 장성원;손유동;주명돈;최우익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19권2호
    • /
    • pp.173-177
    • /
    • 2006
  • Hydrofluoric acid is a colorless gas or fuming liquid with a strong, irritating odor. Hydrofluoric acid burns are uncommon; however, if severe burn occur, they caused death from systemic effects, such as fatal cardiac arrthmia. We experienced two cases of hydrofluoric acid chemical burns on digits. These patients had typical clinical features of hydrofluoric acid chemical burns, such as pulsating pain at the burn site, as well as ischemic and necrotic skin changes. The hydrofluoric acid chemical burn was confirmed by a history of exposure. Subsequently, we made a calcium gluconate gel by mixing 20% calcium gluconate, an antagonist against hydrofluoric acid, with lubricant, and we injected 10% calcium gluconate subcutaneously when they complained of pain rated at higher than 5 on the pain scale. Simultaneously, we monitored the patients' electrocardiographs and checked their serum total calcium, ionized calcium, and magnesium levels serially. Clinical presentations and the emergency management of hydrofluoric acid chemical burns were reviewed along with the current literature. These patients were discharged without any significant complications.

불화수소산에 의한 것으로 오인된 Trifluoroacetic anhydride에 의한 화학화상 (A Case of Chemical Burn Caused by Trifluoroacetic Anhydride that Mimicked a Hydrofluoric Acid Burn)

  • 박정수;김훈;이석우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3-45
    • /
    • 2010
  • A 22-year-old woman was referred to our emergency department for the treatment of a chemical injury on her arm. She had accidentally spilled 99% trifluoroacetic anhydride (TFAA) over her left forearm during an organic chemistry experiment. She visited a primary care unit, and then she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for inactivation of the released fluoride ions. Her skin lesions were different from those caused by hydrofluoric acid (HF) injury. The injured area showed painful whitish maculae and patchy areas with accentuated rim. No vesiculation and bulla formation was detected. We intradermally injected a 5% solution of calcium through a 24-gauge needle into the burned skin. After the injection, she complained of more severe pain. Although TFAA contains fluorine, it does not release free fluoride ions on contact with the skin, unlike HF. In fact, application of calcium gluconate for TFAA burns is not recommended. Rather, it should be avoided since it increases pain and local abscess formation.

  • PDF

치아염소산 나트륨(유한락스®)에 의한 화학화상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the Chemical Burns Due to Sodium Hypochlorite(NaOCl))

  • 김기엽;박준;양원용;유영천;강상윤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6호
    • /
    • pp.748-750
    • /
    • 2008
  • Purpose: Chemical burn accounts for a small proportion of burns in burn patient population. However, chemical injuries own importance to their deep tissue destruction which continues long after the initial exposure. $YUHANROX^{(R)}$ is a domestic bleach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 Chemical burn by the domestic bleach is an unusual case. Methods: A 70 yrs old female soiled with stool, her husband wiped the mess with $YUHANROX^{(R)}$. Skin edema, erythematous lesion was developed the second day, and she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via emergency department. Results: Complete epithelization was done after 3 times STSG but, severe scar was formed. Conclusion: We report this case to warn about the dangers of domestic bleaches chemical substances and to emphasize that they should be used with caution. Public relation of the primary care of the chemical burn injury is needed.

과립형성 및 성형방법에 따른 SOFC 음극의 미세구조 및 특성 (Effect of Granulation and Compaction Methods on the Microstructure and Its Related Properties of SOFC Anode)

  • 허장원;이종호;황진하;문주호
    • 전기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3-58
    • /
    • 2003
  • 음극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전극성분은 연료전지 성능의 주된 감쇄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분극저항을 줄이기 위해 높은 전기전도도와 가스투과도등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FC음극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음극의 미세구조, 특히 음극의 기공구조를 다르게 형성시키기 위해 두 가지 서로 다른 과립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음극을 제조하고 이에 따라 기판의 기공구조가 어떻게 바뀌는지 또 그로 인해 기판의 미세구조 및 전기전도도가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관찰하였다 또한 미세구조에 대한 정량적인 화상분석을 통해 기판의 미세구조적인 인자들과 전극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Poly(methylpheny) Silane Photoresist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oly(methylphenyl)silane Photoreists)

  • 강두환;정낙진
    • 공업화학
    • /
    • 제1권2호
    • /
    • pp.161-167
    • /
    • 1990
  • Methylphenyldichlorosilane을 중합시켜 poly(methylphenyl)silane(PMPS)을 합성하고 이를 photoresist로 이용하는데 있어서 화상형상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노광에 의한 광학계수 X, Y, Z를 측정하였다. 광학계수 X, Y, Z는 PMPS 필름에 광조사를 시킨 다음 투과도를 측정하여 구하였으며, 계수 Z는 광조사 시간에 따른 투과도의 초기 기울기로 부터 구하였다. 이들 계수로 부터 PMPS에 각종 증감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필름에 광조사를 시켜 광조사특성을 이론적으로 구하고 이를 잔막수득율을 측정한 결과 Z치와 잔막수득율은 parallel한 관계가 있었다.

  • PDF

고분자광섬유용 광통신 및 센서 모듈 (Optical Communication and Sensing Modules for Plastic Optical Fibers)

  • 박병욱;윤도영;김동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5호
    • /
    • pp.558-564
    • /
    • 2009
  • 고분자 광섬유(POF)는 유리광섬유에 비하여 경량성, 저가 그리고 다루기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높은 전송손실과 낮은 대역특성으로 인하여 랜과 같은 단거리 네트워킹에 대한 사용이 적합하다. 전송손실을 낮게 하기 위한 고분자물질의 합성공정과 유연한 고분자광섬유의 활용을 보다 넓히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잡음의 POF 모듈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저잡음 증폭기와 저가의 650 nm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가 최적화되었다. 광통신과 센서용 POF 모듈의 동적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화상전송모듈, 광전송 속도측정모듈, RS-232용 광전송기와 음성전송모듈을 제작하여 그들의 신호특성을 평가하였다. 광전송속도의 측정에 있어서는 빠르고 간단한 측정으로서 모듈이 바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아날로그 증폭기, LED와 포토다이오드(PD: Photo Diode) 등을 활용하여, 소리와 화상의 전송은 POF를 통하여 최대 60 m까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례적분미분제어에서 확인한 실시간 데이터 전송효과는 산업용 공장의 설계와 제어에 있어서 매우 가치가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