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학 연료

Search Result 1,26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연료전지 실용화 보급을 위한 선진국의 정부정책

  • 김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63-120
    • /
    • 2003
  • 연료에 포함되어 있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연속적으로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 축전지(Battery)가 아닌 무공해, 고효율의 발전기임. 미국에서 우주선용으로 개발되었고 60년대 후반부터 에너지 기술로의 개발이 추진되어 실용화 단계에 있는 2000년대의 신 에너지기술.(중략)

  • PDF

Safety regulations and welding manufacturing standards for nuclear power plant and pressure vessel element (原子力發電機器와 壓力容器의 安全 規制 및 熔接에 관한 製作基準에 대하여)

  • 정호신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9 no.2
    • /
    • pp.1-10
    • /
    • 1991
  • 용접대상으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원자로의 구조재료이며 이것에는 원자력 용기, 중기 탱크, 액 체연료용기, 연료봉 피복, 제어봉피복, 냉각재 도관 및 출력 계통의 각종 도관, 열교환기, 펌프, 밸브 등의 구조재료 및 원자로의 부대 설비로서의 연료 화학처리 과정등에 사용되는 각종 금속 재료가 있다.

  • PDF

Development of surface treatment materials for improving durability of metallic bipolar plates in PEMFC (연료전지용 금속분리판 내구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기술 개발)

  • Kim, Myong-Hwan;Goo, Young-Mo;Yoo, Seung-E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41-4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금속분리판의 전기화학적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 첨가 DLC(Diamond-like-carbon) 표면처리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stainless steel 304를 모재로 하여 텅스텐 첨가 DLC, 티타늄 첨가 DLC, 몰리브덴 첨가 DLC 금속분리판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금속분리판을 이용하여 내구성 평가,전기화학적 부식 특성, 성능평가 및 접촉저항 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전기화학적 부식특성의 경우 각각의 분리판에 대해 6.69, 1.2, 1.0 ${\mu}A/cm^2$로 모재인 STS 304의 25 ${\mu}A/cm^2$의 부식전류밀도에 비해 우수한 부식특성을 보였다. 또한 초기 성능에서 몰리브덴 첨가 DLC 분리판의 경우 300 mA/$cm^2$에서 0.757 V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graphite 분리판 측정 결과인 0.758 V와 유사한 성능을 보였다. 또한 내구성 평가에서 초기 성능 대비 성능 감소율이 10% 감소하는데 소요된 시간은 graphite 분리판의 경우 2,000시간으로 나타났으며, 몰리브덴 첨가 DLC 분리판의 경우 1,700시간으로 측정되었다. 1,500시간 까지의 성능 감소율은 grphite,텅스텐 첨가DLC,티타늄 첨가DLC, 몰리브덴 첨가 DLC 분리판 순으로 각각에 대해 37.7, 60.3, 92.8, 45.7 ${\mu}V$/hr로 나타났다.

  • PDF

분산형 발전시스템의 기술개발 동향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 Lee, Yeong-Deok;Gang, Sang-Gyu;Lee, Sang-Min;An, Guk-Yeong
    • 기계와재료
    • /
    • v.26 no.1
    • /
    • pp.16-26
    • /
    • 2014
  •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세라믹 소재의 이온전도성 막과 전극에서의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로서 발전효율이 높고, 배출물 특성이 우수하여 미래형 청정발전기술로 각광받는 기술이다. 더불어 소음이 적게 발생하므로 주로 도심지 건물에 설치되는 분산형 발전시스템으로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동향분석에서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시스템의 개발동향을 살펴보고, 시스템별 사이클 구성방법에 대한 기술적인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PEMFC Using the ion Beam Treated Membrane (이온빔 처리된 막을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성능특성 연구)

  • 조성아;오인환;최형준;하흥용;홍성안;차석렬;고석근;주재백;손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9.11a
    • /
    • pp.101-106
    • /
    • 1999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FC)는 백금 촉매를 이용하여 낮은 온도에서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시스템으로써 자동차 등의 이동용 전원으로 적합한 시스템이다. 그러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가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고가인 백금 촉매 사용량의 감소 등 제작비용 절감 문제, 전지 자체의 성능향상 등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중략)

  • PDF

The Subsystems of 200kW PAFC-PC25 and its Commercialization Prospects (200㎾급 인산형연료전지 (PC25)의 구성시스템과 상업화 전망)

  • 오영삼;전진석;최동수;방효선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4.11a
    • /
    • pp.28-32
    • /
    • 1994
  • 에너지이용/발전시스템의 개발은 미래의 급격한 전력수요증가 패턴과 에너지소비에 수반되는 환경문제들의 해소 그리고 에너지절약 측면에서의 이용효율 향상 및 열병합(CHP)시스템 구축 등으로 막대한 투자가 요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이 중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환경문제와 연계되어 주목을 받고 있는 연료전지는 연료의 cold burning을 통하여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electrochemical devices로서 부수적으로 발생되는 배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고효율, 저공해 발전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Electrode for PEMFC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전극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 이정규;하흥용;오인환;최형준;홍성안;전해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9.11a
    • /
    • pp.89-93
    • /
    • 1999
  • 연료전지는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서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발전장치로서 Carnot's 효율에 제한 받는 기존 연소기관보다 높은 효율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고분자 연료전지는 전해질 누출이 없고 낮은 온도에서 작동하며 부식이 없을 뿐 아니라 stack 디자인의 간편성, 큰 압력차에 대한 내구성, 긴 수명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자동차나 이동전원에 가장 적합한 장치로 평가되고 있다.(중략)

  • PDF

제일 원리 사용 Y-doped SrTiO3 연료극 특성 이해 및 3d 전위 금속 치환에 의한 표면 반응성 제어

  • Ham, Hyeong-Cheol;Kim, Hui-Su;Kim, Yong-Min;Yun, Chang-Won;Yun, Seong-Pil;Han, Jong-Hui;Nam, Seok-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140-140
    • /
    • 2012
  • 최근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연료극 조건에서 우수한 상 안정성, 높은 혼합 전자/이온 전도도 및 황/탄소 저항성 때문에 yttrium-doped strontium titanium oxide (Y-doped SrTiO3)가 대체 연료극 재료로 주목을 받아 왔다. 그러나 Y-doped SrTiO3는 연료 산화에 대해서 기존의 Ni 계열 연료극보다 낮은 전기화학적 활성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Y-doped SrTiO3 계열의 연료극 재료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Y-doped SrTiO3의 연료극 특성 및 반응성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발표에서는 SOFC 연료극에서 수소 산화 반응성을 결정함에 있어 표면 산소 vacancy 형성 에너지의 역할에 대한 spin-polarized DFT (density functional theory)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표면 산소 vacancy 형성 에너지는 수소 산화 반응[H2+O (surface) ${\rightarrow}$ OH+OH ${\rightarrow}$ H2O+O (vacancy)]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Y-doped SrTiO3의 표면을 3d-전이금속을(Sc, V, Cr, Fe, Co, Mn, Ni, Cu) 도핑함으로써 표면 산소 vacancy 형성 에너지를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 PDF

Current State of Development on Fuel Cell Safety Code (연료전지 안전기준 개발 현황)

  • Choi, Jae Uk;Lee, Jung Woon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4 no.4
    • /
    • pp.52-61
    • /
    • 2021
  • 2019년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후 수소연료전지 보급에 추진 동력원이 되었고, 2020년 2월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 세계 최초로 제정되면서 수소연료전지의 안정적인 보급 확산을 견인하고 있다. 수소안전관리에 의한 법률에 의해 수소용품 4종 및 수소사용시설 1종에 대한 KGS Code 3종(수소추출설비, 고정형 연료전지, 수소연료사용시설)이 2021년 7월 제정되었고, 8월 2종(수전해설비, 지게차용 이동형 연료전지)이 추가 제정되어 2022년 2월부터 수소용품 및 시설에 대한 안전관리가 시작된다. 연료전지의 안정적인 보급을 위해서는 국내에 적합한 안전기준 개발이 필수적이다. 또한 신규 출현되는 제품 및 시설의 개발·보급 시기에 맞추어 안전 기준 개발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고정형 및 이동형 연료전지의 국내외 안전기준 분석 및 위험요소 분석 등을 통한 연료전지 안전기준 개발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Estimation of Chemical Flame Height based on Fuel Consumption in a Fire Field Model (필드모델에서 연료소모에 기초한 화학적 화염높이 산정)

  • Kim, Sung-Cha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2
    • /
    • pp.92-97
    • /
    • 2016
  •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stimate the chemical flame height based on fuel consumption in fire field model. The calculation algorithms based on cumulative fraction of HRRPUL and fuel concentration along the z axis were applied to the results predicted by Fire Dynamics Simulator (FDS) version 6.3.2 and the mean chemical flame height was obtained by time averaging of instantaneous flame height with the algorithms. The mean flame height calculated by fuel concentration was quite well matched with that of cumulative value of HRRPUL within 10% over-prediction. This study contribute to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fire behavior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flame height in the computational fire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