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재 폭발 위험

Search Result 35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폐목재 재활용 분진의 화재폭발위험성

  • Lee, Su-Hui;Han, U-Seop;Han, 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115-115
    • /
    • 2013
  • 최근의 분진폭발은 플라스틱, 의약품, 목재, 곡물 저장고, 고체연료, 화학제품 제조공정 등을 포함하여 성형 및 가공 공정 등에서 화재폭발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폐목재를 재활용하여 PB(Particle board)를 생산하는 국내 제조사업장에서는 화재폭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예방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목재 제조공정의 사고예방과 목재분진 취급공정에 대한 안전대책 등을 제시하기 위하여 사고원인 물질인 폐목재 부유분진의 폭발특성실험을 실시하고 실험결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폐목재 분진의 화재폭발위험성을 상세히 평가하기 위하여 해당 물질의 자연발화점, 축열저장시험, 및 최소점화에너지 등의 화재폭발위험특성값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폐목재 시료의 비구형 입자형태를 가지는데 입도분석기의 측정 결과 평균 입경은 $15.96{\mu}m$로 조사되었다. 또한 목재 분진의 함수율은 3.88%이며 중금속함유량은 1.73%이다. 자연발화점 측정결과 $225.5^{\circ}C$로서 비교적 낮게 측정되었고 퇴적분진에 대한 화재의 위험성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축열저장시험 결과를 통하여 공정관리 온도 및 보관온도를 $150^{\circ}C$ 이하로 관리하면 축열에 의한 자기분해 위험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축열에 의한 화재폭발 등의 위험성은 낮은 것으로 사료 된다. 최대폭발압력($P_{max}$)은 8.7 bar이며 폭발하한농도 (LEL)는 $60g/m^3$으로 나타났다. 부유분진의 폭발특성실험 결과 분진폭발지수(Kst)는 폭발등급 St 1 (0$bar{\cdot}m/s$)으로 나타났으며 폭발에 의한 위험성이 약한 분진으로 판정되었다. 최소점화에너지(MIE)는 10mJ < MIE <30mJ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계산에 의해 추정된 최소점화 에너지(Es) 값은 14 mJ로서 일반적인 발화감도(Normal ignition sensitive)로 분류되었다. 이는 실질적인 점화원만 제거하여도 분진폭발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분진 폭발사고를 예방을 위하여 MIE값이 공정운전온도 $100^{\circ}C$ 초과 시에 급격히 낮아질 수 있으므로 운전 온도 설정에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 PDF

위험화물 관리에 관한 IMDG 코드 적용 실태 조사

  • Gang, Yu-Mi;Lee, H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251-253
    • /
    • 2015
  • 선박에 의한 위험물 운송의 증가로 제정된 IMDG Code를 제정하고, 선원들은 그 규정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몇 차례 개정이 되면서 위험물 안전운송 전문교육을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해마다 위험물에 의한 선박화재 및 폭발사고는 계속 일어나고 있으며, 이것은 위험물에 대한 기본 정보와 규정만 있으나 위험화물에 대한 자체 반응경로나 왜 규정대로 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선원들에게는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 발생한 선박화재 및 폭발사고 사례를 조사해보고, 적재된 화학물질 에 대한 기본정보를 분석하고 화재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화학적으로 접근 해석해 보았다. 화재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기상 실험을 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어, 적재된 위험물의 정보와 대표적인 반응을 알아보고 화재원인을 가정해 보았다. 선원들은 IMDG Code에 대한 규정 이외에도 이러한 기본정보와 반응경로에 이해를 한다면 위험화물의 운송에 있어 위험한 환경요소를 제거할 수 있어 화재 및 폭발사고를 예방 할 수 있다.

  • PDF

Dust Explosion Prevention in the Plastics Industry (플라스틱 공장의 분진폭발 예방 대책)

  • 이형섭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6 no.1
    • /
    • pp.55-64
    • /
    • 1992
  • 대부분의 플라스틱 분진은 폭발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진 폭발위험은 공장의 설계와 운영시 고려하여야 할 요소이다. 이러한 위험을 평가하고 그에 따르는 적절한 대책을 세우기 위하여는 무엇보다도 분진의 폭발 특성을 파악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분진 폭발대책은 폭발을 안전하게 방출시키는 것이며 쉽게 발화되넌 플라스틱의 건조 공정, 분쇄 공정등에 있어서는 Suppression이나 Inerting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방법 외에도 일반적인 예방 대책으로는 위험 지역의 분류, 관리 철저, 그리고 분진 발생과 발화원을 최소화하고 폭발이 발생할 경우 폭발 지역을 자동 차단하도록 공장을 설계하는 것이다.

  • PDF

A Study on fire risk in an enclosure room (밀폐공간에서의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 Kim, Soo-Young;Kim, Hong-Sik;Han, Dong-Hun;Lee, Sung-Ryoun;Kim, Joo-Seok;Yuk, Geun-Hwan;Chon, S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449-453
    • /
    • 2009
  • 기존 주택 및 고층건물화재에서 발생하는 화재 폭발 사고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천 냉동창고 화재와 같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작업환경에서의 화재 특히 밀폐공간에서의 화재 폭발 위험성 및 특성은 주택 및 고층건물화재에 비교하여 높은 폭발위험성 및 빠른 화염전파 특성을 보이나 이에 관한여 구체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밀폐공간 작업환경에서의 화재 폭발 위험성 특성 분석을 위하여 밀폐공간에서 작업 시 발생되어지는 가연성 가스의 확산 특성 분석 및 폭발 위험성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와 밀폐공간에서의 화염 확산 특성에 관한 연구논문 이다.

  • PDF

Fire and Explosive Characteristics in Suspended Dust of Acrylic Polymer (Acrylic Polymer 부유분진의 화재.폭발 특성)

  • Lee, Su-Hee;Lee, Keun-Won;Han, I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466-469
    • /
    • 2011
  • Acrylic Polymer는 충격보강재 및 가공조제 등의 용도로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데, 본 제품 제조회사에서 고객사로 제품 납품 후 원료 투입 중 분진폭발이 발생하여 본 위험성평가를 의뢰하였다. 분진의 위험 특성에 대한 분석은 일반적으로 퇴적분진(Dust Layers)와 부유분진(Dust Clouds)으로 구별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스위스 Kuhner사에서 제작된 분진폭발장치를 이용하여 아크릴 부유분진의 화재.폭발위험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Acrylic Polymer 부유분진의 폭발위험성은 최대폭발압력 약 6bar, 최대폭발압력상승속도 67 bar/s, Kst 값은 $18m{\cdot}bar/s$로 폭발등급으로 구분하면 St1 [0$bar{\cdot}m/s$]으로 분류되어 "폭발에 의한 위험성이 낮은 분진"에 속하며, 최소점화에너지(MIE)는 300 mJ < MIE < 1,000 mJ로 Normal Sensitivity로서 정전기와 같은 점화원 제거만으로도 어느 정도 충분히 폭발 등을 방지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isk Screening of a BTX Plant Using FEDI Method (화재폭발손실지수법을 이용한 BTX 공장의 위험선별)

  • Kim Yong-Ha;Kim In-Tae;Kim In-Won;Kim Ku-Hwoi;Yoon En-Sup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9 no.1 s.57
    • /
    • pp.20-28
    • /
    • 2005
  • Major petrochemical companies in the USA and the EU map out the strategies step-by-step hazard evaluation for the efficient risk management. They adopted the risk screening methods, such as Dow fire & explosion index, as a preliminary phase to execute detailed evaluation such as QR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In this study, The FEDI (Fire & Explosion Damage Index), which a kind of risk screening method proposed by Khan and Abbasi, was applied to the BTX plant in Korea. We showed that the FEDI can be effectively used to classify the hazard potential by comparison of the result from the FEDI and the result from QRA. And we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quantities of chemical are the factors which have a largest effect on fire and explosion by executing relative sensitivity analysis of the FEDI. In conclusion, if the FEDI was applied as a preliminary phase of HAZOP, more efficient hazard evaluation can be possible.

일본에서의 화재폭발 연구 동향

  • 이근원
    • Bulletin of the Korean Institute for Industrial Safety
    • /
    • v.1 no.1
    • /
    • pp.17-20
    • /
    • 2001
  • 화학공장의 각종 공정설비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화됨은 물론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다양화 및 사용량의 증대로 화재·폭발의 위험성이 잠재하고 있다. 이러한 중대 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세계 각 국에서는 화재폭발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 일본에서 화재폭발에 관한 연구동향을 일본 소방청 소방연구소와 산업안전연구소의 연구과제를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중략)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Explosion and Fire Risks of Mobile Phone Batteries (휴대폰 배터리의 폭발 및 화재 위험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Ho-Sung;Kim, Si-Kuk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4
    • /
    • pp.111-120
    • /
    • 2016
  • This is an experimental study to analyze the explosion and fire hazards of mobile phone batteries. Using the lithium-ion batteries currently used on smart phone as the experiment sample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overcharging, internal and external short circuit, and thermal shock with the potential of explosion and fire caused by careless use or abnormal conditions.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in the case of overcharging and external short circuit, there was no explosion and fire hazard i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but there were big risks when the PCM faulted conditions were assumed.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s by internal short circuit and thermal shock, such risks varied depending on a battery charge state. In other words, it could be verified that there were low risks of explosion and fire in a full discharge state, but there were high risks in a full charge state. These experiment results suggest that to minimize the explosion and fire hazards of mobile phone batteries, an alarm device is necessary when the PCM fault occurs. In addition, a solid battery case should be made and safety equipment, such as a cooling device to avoid high temperature, is needed.

LNG/LPG marine accident scenarios considered relevant for building (LNG/LPG관련 해양사고 시나리오 구축에 대한 고찰)

  • Kang, Yu-Mi;An, jeing-Min;Yim, Jeo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205-207
    • /
    • 2015
  • LNG/LPG는 폭발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물질이다. LNG/LPG는 gas상태의 연료를 극 초저온에 고 압력 상태로 고농축한 액체 연료이다. 온도나 압력에 따라 물질의 상태가 변하기 때문에 폭발이나 화재가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무조건 사고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현재까지도 화재나 폭발이 일어난 경우가 드물다. LNG/LPG선박은 충돌이나 파손 등 사고위기가 클수록 위험하다. 사고위기가 일어나는 요소로는 복잡한 항로, 많은 선박 수, 해마다 증가하는 LNG/LPG의 수요량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LNG/LPG관련 해양사고 시나리오를 만들기 위해 사고 연계 고리(Accident chain)를 만들어 분석하였다. 해양사고의 연계 고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story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Risk를 통해 Peril과 Hazard를 분석 할 수 있었다. LNG/LPG의 위험성은 고압에 기인하는 위험, 화재위험, 동상위험, 화학반응의 위험, 질식 위험 등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아직까지는 LNG/LPG선박의 화재 및 폭발사고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매년 그 수요량이 증가하고 있고, 매우 위험한 물질임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 PDF

Cause and Countermeasure of Fire Explosion in Transformer (변압기 화재.폭발 원인 및 대책)

  • Lee, Chang-Woo;Kim, Man-Keon;Choi, Don-Mook;Lee, Sahg-Jun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 /
    • v.9 no.1
    • /
    • pp.35-4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변압기의 종류와 각 변압기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최근 변압기 사고의 발생현황과 통계를 살펴보고, 화재 및 폭발 안정성에 가장 취약한 지상설치형 유입식 변압기를 대상으로 절연유 분출원인 및 폭발 현상 등 변압기 사고의 주요 원인에 대해 이론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화재 폭발 메카니즘을 살펴봄으로서 그 위험성을 인지하고, 유입식 변압기의 사고의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을 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