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 진화

Search Result 9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Improving System Plan for the Raising Efficiency of Forest Fire Extinguishing (산림화재 진화의 효율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Choi, Kyu-Chool;Youn, Soon-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11a
    • /
    • pp.252-261
    • /
    • 2008
  • 우리나라에서는 산림화재가 발생하면 산림청이 주관하여 지방자치단체와 산림청 지방기관의 직원들을 동원하여 통합진압대를 구성하여 산불진화활동에 나선다. 이 때 산림청은 산불진화에 있어 통합지휘권을 갖고 산불현장에 출동한 지자체 소속 공무원이나 산불감시요원 및 각종 진압요원, 출동한 소방공무원 등을 현장 지휘하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경기도 양평군에서 최근 5년 동안 발생했던 산불을 추적하여 산불의 발생에서 진압까지전 과정을 분석하였다. 일선에서 산불이 발생하면 주민들은 일상적으로 소방관서에 신고하고 있으며, 신고를 접한 소방관서는 즉각 출동하여 진화하고 마지막 잔불정리까지를 소방관서가 담당하고 있다. 소방관서에는 산불진화를 위한 예산지원이나 인력지원은 전무한 상태의 구조로 되어 있는 현재의 산불진화체계는 여러 문제점으로 인하여 산불의 효율적인 진화가 어렵고, 산불 발생 시 산불확대로 피해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러한 산불진화체계의 제도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산불진화의 최적화를 위한 개선책을 제시한다.

  • PDF

Study on Estimating the Unit of Suppression Ability of Forest Fire Suppression Resources (산불진화자원의 진화능력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 Kim, Dong-Hyun;Kim, Eung-Sik;Kim, Ja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44-147
    • /
    • 2011
  • 동시다발적인 산불발생시 한정된 진화자원을 효과적으로 운영하여 산불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산불상황에 맞는 진화자원 투입과 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진화자원 투입 및 운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각 진화자원별 진화능력단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아직 국내 외적으로 산불진화자원에 대한 진화능력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진화자원을 중심으로 진화능력단위 기준 설정과 함께 각 진화자원별 진화능력단위를 산정하였다. 우리나라 진화자원은 크게 지상진화자원과 공중진화자원으로 구분됨으로 지상진화에 투입되는 주요 진화자원인 등짐펌프 및 불갈퀴 등 손도구를 이용하는 진화인력과 산불진화차량, 이동식 동력살수장치와 산불진화헬기로 구성되는 공중진화자원에 대해 진화효과를 분석, 능력단위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Aerial Fire Line Construction Type on Forest Fire (산불 공중진화 방화선 구축형태에 관한 연구)

  • Bae, Taek-Hoon;Lee, S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43-44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소 중 대형 산불의 공중진화 방화선 구축형태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산불확산은 현장의 지세, 경사, 바람, 수종 등에 영향을 받으므로 공중진화 방화선을 구축할 때에는 연소방향 및 형태, 강도 등을 분석한 후 진화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며, 공중진화 방화선 형태를 A형에서 M형까지 13개로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afety Evacuation of Onboard Fire (선박화재시 피난 안전성 연구)

  • Kim, Won-Wook;Kim, Chang-Je;Chae, Yang-Beom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29
    • /
    • pp.16-25
    • /
    • 2010
  • 선박화재는 육상과 달리 숙련된 인원과 다양한 장비에 의한 소화활동이 곤란하며 거의 자체적인 진화작업을 수행해야하므로 소화가 쉽지 않다. 화재는 일반적으로 화염에 의한 인명사고 보다 매연에 의한 질식사의 확률이 높으므로 인명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초기 진화가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부득이 소화가 지연되거나 불가능할 경우에는 화재 구역으로부터 신속한 탈출만이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CFD기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선박화재시 탈출에 지장이 되는 매연농도를 측정하고 피난시간과 비교하여 적절한 피난이 가능한지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Method of Helicopter Aerial Fire Attack and Safety Promotion (헬기에 의한 산불공중진화기술 및 안전성 향상 연구)

  • Bae, Taek-Hoon;Lee, Si-Young;Kwon, Ch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426-43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산불이 발생하면 대형화 위험성이 증대하여 항공기 특히, 헬기의 산불진화 활용성은 점차 증가되고 있다. 그러므로 산불진화의 전 과정에 있어서 헬기 공중진화기술과 안전성향상은 효율적인 산불진화의 성공요인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산불전문기관인 산림청 산림항공본부의 조종사들이 산불현장에서 헬기에 의한 산불진화의 실제적인 경험을 적용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산불현장에서의 위험성을 극복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공중진화기술 및 안전성 향상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방화 관련 민형사상 책임 및 보상 범위

  • Kim, Jun-Taek
    • 방재와보험
    • /
    • s.121
    • /
    • pp.19-25
    • /
    • 2007
  • 화재보험은 보험기간 내 보험목적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로 인해 손상된 직접 손해와 화재 진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방 손해를 보상한다. 화재보험은 타 보험에 비해 비교적 보상범위가 넓지만, 그렇다고 보험금 사취목적의 방화를 보상하지는 않는다.

  • PDF

A study on the mini fire engine development of the use ATV (ATV를 이용한 미니소방차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Yoo-Shik;Kno, Sung-Wang;Joo, Jong-K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117-120
    • /
    • 2012
  • 현재 국내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대부분은 밀집한 건물에 발생하는 화재이다. 이러한 건물화재의 특징은 초기진화에 실패할 경우 인접한 건물로 화재가 번져 대형 화재로 이어지며, 이로 인한 피해도 급증하게 된다. 또한 소방차 출동 시 도로여건이나 주 정차 차량 등 다양한 진입 장애물 등으로 화재지역으로 신속한 접근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실효적 화재 진화 성능을 가진 방수시스템을 탑재한 소형화된 미니 소방차를 개발하고자 하며 아울러 고지대나 산림 화재의 초기 대응을 위해 험로(산악지형)에서도 주행이 가능한 ATV(All Terrain Vehicle)를 적용하고자 한다.

  • PDF

Survey on a Research for Fire Safety in Space with the Understanding of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Microgravity based on NASA's Space Research Program (NASA의 우주 연구 프로그램에 따른 미소 중력하에서의 연소 특성 및 화재 안전 연구 개괄)

  • Sohn, Chae-Hoon;Son, Yo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1 no.3
    • /
    • pp.65-72
    • /
    • 2007
  • Fire is one of important checkpoints in crewed exploration systems, where men inhabit in space. In space, astronaut can't escape from fire out of a spacecraft and not expect any help of fire fighters, either. Accordingly, the best way to stand against fire is to prevent it. But, when fire occurs in space, flame behavior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bserved on earth because of micro- or zero-gravity in space. The present paper introduces major research results on flame behaviors under microgravity and fire prevention, detection, and suppression in crewed exploration spacecrafts and international space station based on NASA's FPDS research program.

Study of Aerial Fire Line Construction and Suppression Method on Forest Fire (산불 공중진화 방화선 구축형태 및 진화방법에 관한 연구)

  • Bae, Taek-Hoon;Lee, Si-You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4 no.5
    • /
    • pp.26-31
    • /
    • 2010
  • In this study, attack process and aerial control line construction type which were considered forest fire type and a case of operations were suggested using the experience of aerial fire attack of all type of forest fires. As the spread rate of forest fire is effected by terrain, slope, wind speed, forest species and etc., we needed to analyze spreading direction, behavior type and intensity before heli-team constructed a aerial control line.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safety of attack team as a their views were obstructed.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13 methods from type A to type M about attack and construction of aerial indirect control 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