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재 감지 시스템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9초

무인헬기 및 센서네트워크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Fi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Unmaned Helicopter and Sensor Network)

  • 윤동열;김성호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73-178
    • /
    • 2007
  • 최근 여러 요인으로 인해 화재의 발생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나 화재의 신속한 감지를 못함으로 인해 초기 진압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한 피해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화재발생을 신속히 감지하고 적절한 후속초치를 취하게 하는 기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산불감지를 통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게 하는 센서 네트워크 기술 및 무인 항공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광범위한 영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연기감지센서가 탑재된 센서 노드들과 이 영역위에서 자유로이 비행하면서 실시간으로 센서 노드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헬리콥터 및 헬리콥터에 장착되어 화재발생지점의 화상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원격의 서버로 데이터를 무선 전승할 수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의 유용성 확인을 위해 제작된 테스트 베드상에서의 실제 적용 실험을 수행하였다.

웹캠을 통한 화재인식 프로그램 (Program For Recognizing Fire Using Webcam)

  • 최윤상;정재용;최경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06-1007
    • /
    • 2014
  • 본 시스템은 웹캠을 통해 렌더링한 영상을 통해 화재를 감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whitecount 알고리즘을 이용한 화재인식에 관한 것이다. 서버를 개설하여 화재가 감지되면 서버에 실시간으로 사진을 저장하고 화재 감지 시 관리자 또는 119에 자동으로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CNN과 Grad-CAM 기반의 실시간 화재 감지 (Real-Time Fire Detection based on CNN and Grad-CAM)

  • 김영진;김은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596-1603
    • /
    • 2018
  • 화재에 대한 신속한 예측과 경고는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와 화염이 함께 발생하기 때문에 화재 감지 시스템은 연기와 화염을 모두 감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화염 혹은 연기만 감지하며, 화재 감지를 위한 전처리 작업을 추가함에 따라 처리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 레이블 분류(Multi-labeled Classification)를 지원하는 CNN 모델을 구성해서 화염과 연기를 동시에 예측하고, CNN의 특징을 기반으로 클래스에 대한 위치를 시각화하는 Grad-CAM을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화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13개의 화재 동영상을 사용해서 테스트한 결과, 화염과 연기에 대해 각각 98.73%와 95.77%의 정확도를 보였다.

동영상을 이용한 연기 및 화염 감지 시스템 연구동향 분석 (Survey of video smoke and flame detection System)

  • 강성모;김용준;김종면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21-624
    • /
    • 2010
  • 전통사회가 근대화 되면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전반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농촌지역들이 도시화 되면서 새로운 건물들이 지어지고 기존의 건물들이 증축되면서 건물은 점점 높아지고 대형화 되었다. 또한 건물들이 밀집되면서 한 곳에서 발생한 화재가 건물 내에서 번지거나 또는 주변 건물 등에 옮겨 붙어 대형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증가되고 있다. 대형 화재를 예방 하고 화재사고의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는 화재감지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화재가 발생 될 때 나타나는 화재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화재를 조기에 판단하기 위한 조건을 알아본다. 또한 이러한 조건들에 부합되는 최근의 연기 및 화염 감지 시스템의 연구 동향에 대해 알아본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화재 감지/경고 시스템 설계 (Design of intelligent fire detection / emergency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 김성호;육의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10-315
    • /
    • 2007
  • 최근 여러 지역에서 발생되는 지하철 참사 및 대형화재 또는 대형 지하상가, 백화점, 지하공간, 대형쇼핑센터, 숙박업소, 공공건물등 대형 다중이용시설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예측 불가능한 인재, 천재지변에 안전하게 대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비상등 및 여러 감지기들이 소방법 개정으로 의무설치 하고 있다. 현재 많이 사용되는 휴대용 비상등 및 감지기는 방음벽이나 격벽, 경고 거리의 제한으로 인해 비상시 경고 전파에 많은 어려움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감지/경고 시스템에 최근 다양하게 활용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적용하여 화재 감지 및 가스누출을 조기 감지 및 경고하고 휴대용 조명등의 위치를 대피자들에게 알림으로써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화재 감지/경고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복층터널 영상유고감지시스템의 화재 감지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Fire Detection Algorithm for Video Incident Detection System of Double Deck Tunnel)

  • 김태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1082-1087
    • /
    • 2019
  • 영상유고감지시스템은 터널 내 보행자, 낙하물, 정지 차량, 역주행, 화재(화염 및 연기) 등 돌발상황 시에 초동 감지 목적의 시스템으로 최근 도심지의 대심도 지하도로 건설에 따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므로 영상유고감지시스템을 대심도 복층터널에 적용하기 위하여 복층터널의 설계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하였고, 본 논문에서는 특히 기존 영상유고감지시스템에서는 지원되지 않거나 또는 오감지가 많아 복층터널 환경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웠던 화재 감지를 색 영상 분포, 실루엣 확산 및 통계적 특성 분석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복층터널 테스트베드 환경에서 차량 실물화재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영상유고감지기 성능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Video Incident Detection System)

  • 유용호;권오상;유지오;황병철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 /
    • pp.155-15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도심지 대심도 지하도로 및 침매터널등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터널내 화재안전 설계를 위한 영상유고감지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영상유고감지시스템(VIDS)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터널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고상황을 5가지로 구분하여 보행자, 낙하물, 정지차량, 역주행, 연기발생등의 상황을 인위적으로 발생시켰으며 이에 따른 감지 능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2, 3회 걸친 지속적인 교정과 세부조정을 거친 후에는 보행자 98.3%, 낙하물 96.7%, 정지차량 100%, 역주행 100%, 연기감지 100%의 감지율을 나타내었으며 카메라의 설치거리 100m 이내에서 비교적 높은 감지율을 나타내었다. 영상유고감지기의 적용 신뢰도는 터널내 조도, 카메라의 설치 위치에 따른 영상 변화등에 의존적이었으나 대심도 터널등의 신속한 화재감지를 위한 대안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화재 통제를 위한 IT 기반 통합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IT-based Integrated System for Fire Emergency Control)

  • 박준성;박대형;최종섭;최석호;이형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7-29
    • /
    • 2015
  •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재 통제 시스템은 화재 발생 시 단순한 열감지 센서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고 연결된 경종에 신호를 보내 소리를 내어 알리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계식 시스템은 잦은 고장과 낮은 정확도로 인한 신뢰도 문제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 시 대피대상자들을 적절하게 유도하지 못하여 막대한 2차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 기술을 바탕으로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화제 통제를 지원하는 통합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화재 통제의 핵심인 감지, 알림, 유도 기능의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상호 연결되고 통합되어 있다.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연기 및 화염의 조기 감지 최신 연구 동향 (Survey for Early Detection Techniques of Smoke and Flame using Camera Images)

  • 강성모;김종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3-52
    • /
    • 2011
  •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초고층 건물들이 도처에 세워지고 밀집되어 있다. 이러한 건물에 화재가 발생되면 발화지점 근처로 불이번지면서 대형화재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증가한다. 따라서 이런 대형화재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화재를 미연에 감지하는 화재감지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불꽃감지기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감시 카메라에서 들어오는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화염과 연기를 초기에 감지하는 화재감지 시스템의 최근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화염과 연기 감지 알고리즘들을 다양한 형태의 동영상을 이용하여 구현 및 성능을 평가하였다.

상황인지 센서를 활용한 지능형 화재감지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 (Development of Fire Detection Algorithm using Intelligent context-aware sensor)

  • 김형준;신규영;오영준;이강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3-9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상황 인식 센서를 활용한 산불 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 기상 및 비전 센서 기반의 산불 방재 시스템의 경우 카메라 센서로 획득한 영상을 조명변화에 강인한 색상공간인 HSI(Hue, Saturation, Intensity) 모형으로 변환시켜 처리하여 산불영역에 대한 특징을 추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단일 카메라 센서가 넓은 범위에 화재를 감지하기 때문에 넓은 범위의 화재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화재발생을 감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복합적인 상황에서의 화재 감지가 힘들뿐만 아니라 별도의 지속적인 경계가 필요한 지역에 대한 설정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센서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온도, 습도, Co2, 불꽃유무정보를 습득하고 이 데이터들을 복합적인 상황에 따라 비교,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화재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화재 상태를 나누어 집중적인 화재 감지가 필요한 구역에 차별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