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 감지 시스템

Search Result 27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Experimental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for Fire Detector by Combustibles (가연물에 따른 화재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 Choi, Moon-Soo;Hong, Sung-Ho;Lee, Sang-Ho;Park, Sang-Tae;Yoo, S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514-517
    • /
    • 2011
  • 화재감지 및 경보시스템의 설계 목표는 화재발생 초기 단계에서 화재징후를 발견, 피난의 개시를 신속하게 통수하는 것이다. 화재감지기는 다양한 건물 및 환경에 설치되기 때문에 주위 온도 및 가연물의 종류 등 환경적 측면을 심층적으로 고려하지 않으면 적절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가연물 종류 등을 고려한 설계에 따라 설치된 화재감지기는 화재시 설계치 대로 조기에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 예방 및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화재시 조기에 화재를 감지기하여 건축물내 인명피난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가연물을 발생시키고 화재감지기 종류별로 설치한 다음 각 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온식 열감지기는 열방출률이 적은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는 것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전식 연기감지기는 회색 계통의 목재류 화재성상에서 응답특성이 떨어졌고, 동일한 공간에서 화원의 수평거리와 동작시간이 비례한다고 볼 수 없었다.

  • PDF

Basic Stud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Fire Detectors System at Domestic Apartment Buildings (국내 공동주택 화재감지시스템의 성능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 Son, Bong-S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
    • /
    • pp.533-538
    • /
    • 2014
  • This study examines the performance of and searches for improvements to the existing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s installed at domestic apartment buildings as a basic study for development of intelligent fire detection systems specifically for apartments. Thu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roblems in performance and maintenance of the existing fire detectors installed at apartment buildings which is the prerequisite process for development of intelligent fire detection system for that specific application. It is also found im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detectors installed at each apartment are in an operational state at normal times. This study finds that it is desirable to replace the slow-sensing heat detectors by a smoke and single smoke detectors which can detect a fire at its early stage in an effort to improve the problems of fire detectors installed at apartment buildings presently. Because we need to the independence fire detection system of apartment building.

자동차 화재 감지시스템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 An, Hyung-Il;Jung, Ki-Chang;Kim, Eung-Sik;Kim,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241-244
    • /
    • 1998
  • 최근에 이르러 자동차 화재는 일반화재 보다 높은 연평균 16.5%의 증가율을 나타내며, 전체 화재 건수의 17%로 주택 및 아파트 다음으로 화재 발생 건수가 많다. 자동차 화재는 엔진과열, 전기장치의 불량, 전자 제어화에 따른 각종 감지기의 연결상태 및 기능 불량, 교통사고로 인한 엔진의 파괴 및 연료 누출등이 원인이 되고 있으며, 주로 엔진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차량 내부로 전파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보를 발하고,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자동차 화재 감지시스템의 개발이 중요해 지고 있다. (중략)

  • PDF

Implementation of Wireless Fire Detection System using Zigbee (Zigbee를 이용한 무선 화재감지시스템의 구현)

  • Kim, Tae-Sun;Park, Seng-Sik;Kim, Yong-Chan;Kim, Eu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289-290
    • /
    • 2018
  • 본 과제는 각종 센서를 활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화재를 감지하고 스프링클러를 활용한 초기진압과 동시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자동신고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열/연기 감지센서를 통해 빠르게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화재감지기에 부착되는 Zigbee통신으로 스프링클러 시스템과 통신하여 초기진압을 하며, 고유 번호로 정확한 화재진원지를 파악하여 소방원들의 화재진압에 도움이 된다. 또한 연동되어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신고기능을 통해 소방서에 정보를 제공하여 빠른 출동이 가능하게 되고 스피커를 통해 화재발생시 화재경보로 알려주어 신속한 대피를 할 수 있다.

  • PDF

Research on the Reliability Improvement of Automatic Fire Alarm System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신뢰성 개선에 관한 연구)

  • Son, Young-Jin;Lee, Young-Il;Lee, Sang-Hyeo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2 no.4
    • /
    • pp.42-49
    • /
    • 2008
  •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scheme for an automatic fire alarm system with higher reliability through solving problems of malfunctioning (false or missing fire alarm) and power interruption (result from frequently unwanted activation, etc) of an automatic fire alarm system. A digital control system with microprocessor-based is propos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ing through a combinational use of heat, smoke and CO sensors. Higher reliability could be achieved by these multiple sensors based fire detection system and fire distinction algorithm. In this research, we implemented actual fire detection system and conducted fire test to verify improvement on reliability.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Fuzzy Logic with Input Variables of Temperature and Smoke Density (열과 연기농도를 입력변수로 갖는 퍼지로직을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 Hong Sung-Ho;Kim Doo-Hyun;Kim Sang-Chul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8 no.4
    • /
    • pp.42-51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analysis of fire detection system using fuzzy logic with input variables of temperature and smoke density. The input variables for the fuzzy logic algorithm are measured by fire experiment of small scale with temperature detector and smoke detector. The antecedent part of fuzzy rules consists of temperature and smoke density, and the consequent part consists of fire possibility. Also the triangular fuzzy membership function is chosen for input variables and fuzzy rules to simplify computation. In order to calculate fuzzy values of such fuzzy system, a computer program is developed with Matlab based on graphics user interfac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paper and ethanol to simulate flaming fire and with plastic and sawdust to model smoldering fi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re detection system presented here was able to diagnose fire very precisely. With the help of algorithms using fuzzy logic we could distinguish whether fire or not.

An Addressable Type Smoke Detect System Implementation to detect the Fire on a Ship (선박화재감지를 위한 Addressable Type Smoke Detect System 구현)

  • Kim, Tai-Suk;Kim, Jong-S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12
    • /
    • pp.2543-2548
    • /
    • 2011
  • The Smoke Detect System is setup to extinguish early a fire on the large ship like as the cargo ship and Bulk Carrier at sea. The Addressable Type Smoke Detect System that keeps the advantages and dispenses with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conventional type system is composed of only one electrical cords. In this paper, we make the Smoke Detect System of an addressable type and implement to control it using ATmega Micro-controller and evaluate it.

A Design of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Infrared Thermal Imaging & CCD Camera (적외선 열영상 및 CCD 카메라 기반 화재감지 시스템 설계)

  • Kim, Tae Wan;Choi, Chang Yong;Lee, Dong 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597-598
    • /
    • 2013
  • A lot of fire and crime accidents are caused to a significant national loss. For example, the network and power facilities in national industry facilities, the fire risk region in large scale factories such as nuclear and thermal power plants, large-sized buildings, cultural properties, metal and steel mills, chemical plants, oil refineries. The development of a fire detection system that can detects the temperature and movement of objects as high-level quality is essential to prevent these incidents and accidents fundamentally. In this paper, the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infrared thermal imaging & CCD camera id designed to solve these problems.

  • PDF

Design of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Sensor Network (센서 네트워크 기반 화재 감지 시스템 설계)

  • Yuk, Ui-Su;Kim, S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378-382
    • /
    • 2006
  •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화재 감지 장치들은 경고 기반으로 되어 있어 정확한 화재 발생의 위치 검색이 어려우며 장치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 유/무의 확인이 어려워 보다 큰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은 통신매체 없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며 이를 통한 모니터링 환경의 구축이 쉬워 위치검색 및 고장 검출 알고리즘의 적용이 간단하다. 본 논문에서는 WSN 기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안하며 오류검출 알고리즘인 Consensus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PDF

A Fire Detection System with Aduino (아두이노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 Park, Cha-Hun;Jung, Min-hyuck;Kim, geon-su;Min, dong-hyun;Kim, su-hyeon;Kim, min-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499-500
    • /
    • 2021
  • 현재 4차 산업혁명의 시대로 들어서고 수많은 분야에서 사고와 안전에 관련하여 발전을 이루고 있지만, 매년 화재피해로 인한 인명손실과 재산피해는 다른 사고보다 피해와 규모가 다르며 여전히 고민해야할 숙제이다. 화재 골든타임은 화재 발생직후 5분이내의 시간을 일컫으며, 이 시간을 지키느냐 마느냐에 따라서 화재로 인한 사망자 수는 2배이상 차이가 난다. 본 논문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화재 골든타임을 지키는것에 중점을 두고 이 시스템 자체로 화재를 방지하고, 감지하여 초동조치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화재 위험요소 차단, 화재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 인명 피해 최소화, 2차피해 방지를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화재 골든타임을 지켜 화재를 방치시키는 상황이 줄어들 것이고,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까지 줄일 수 있을것이라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