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대피

Search Result 31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Measurement of the Visibility of the Smoke Images using PCA (PCA를 이용한 연기 영상의 가시도 측정)

  • Yu, Young-Jung;Moon, Sang-ho;Park, Seong-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11
    • /
    • pp.1474-1480
    • /
    • 2018
  • When fires occur in high-rise building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each escape route is safe because of complex struc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sidents with escape routes quickly after determining their safety. We propose a method to measure the visibility of the escape route due to the smoke generated in the fire by analyzing the images. The visibility can be easily measured if the density of smoke detected in the input image is known. However, this approach is difficult to use because there are no suitable methods for measuring smoke density. In this paper, we us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y extracting a background image from input images and making it training data. Background images and smoke images are extracted from images given as inputs, and then the learn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applied to map of as a new feature space, and the change is calculated and the visibility due to the smoke is measured.

Integrated Logical Model Based on Sensor and Guidance Light Networks for Fire Evacuation (화재 대피 유도를 위한 센서 및 유도등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논리 모델)

  • Boo, Jun-Pil;Kim, Do-Hyeun;Park, Dong-Goo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9 no.5
    • /
    • pp.109-114
    • /
    • 2009
  • At the present time, buildings are designed higher and more complex than ever before. Therefore the potential disasters are happened such as fire, power outage, earthquake, flood, hurricanes. Their disasters require people inside buildings to be evacuated as soon as possible. This paper presents a new disaster evacuation guidance concept of inner buildings, whiche aims at integrated the constructing of a sensor network and a guidance light networks in order to provide a quick detection of disasters and accurate evacuation guidance based on indoor geo-information, and sends these instructions to people.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integrated logical model based on sensor and guidance light networks for the fire disaster management in inner building using our concept. And we verify proposed logical model according to experiments with visualization and operations on map.

  • PDF

A Study on the adaptability of Carbon monoxide Detector (일산화탄소감지기의 적응성에 관한 연구)

  • Seo, Byung-Keun;Yoon, My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190-194
    • /
    • 2010
  • 화재감지기는 화재시 발생되는 열, 연기, 불꽃, 독성가스등의 다양한 연소생성물을 감시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화재 감지방식과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감지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진보된 감지기들은 화재로 발생 이전에서 부터 감지, 비화재보에 대한 방지는 물론 감지기의 상태 오염 감도 등의 다양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유사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진보된 감지기는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는 장소, 대피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장소에 적용되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절감 시키고 있다. 일산화탄소감지기 또한 진보된 감지기로 화재 초기 가연물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를 감시한다. 일반화재의 경우 화재 초기에 가연물이 서서히 연소시 불완전 연소로 인한 다량의 일산화탄소가 발생되기 때문에 기존 열, 연기, 불꽃감지기에 비해 빠른 반응을 보여 화재를 조기에 감지함으로써 조기 대응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물화재시험 자료를 바탕으로 CO감지기의 조기 감시능력을 확인하였다. CO감지기는 화재초기 발생되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므로 대피시간이 많이 필요한 장소(병원 노인요양시설 학교 백화점 등), 침대 폼메트리스 훈소화재 발생장소(호텔침실 기숙사 숙박업소, 병실 등)등에 적응성이 우수할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설계되는 초고층 건축물 및 주요 시설물 등에서 화재 시뮬레이션과 가상시나리오 유형 분석을 통해 성능위주의 설계가 적용되고 있다. 그만큼 정확하고 신속한 감지가 중요하다 할 수 있다. CO감지기야 말로 그 기대에 가장 부합될 것으로 분석된다.

  • PDF

GIS-based Fire Evacuation Simulation using CA Model (CA 모델을 이용한 GIS 기반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 Park, In-Hye;Jun, Chul-Min;Lee, Ji-Ye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6 no.2
    • /
    • pp.157-171
    • /
    • 2008
  • With emerging technologies on wireless networks and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a number of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for ubiquitous computing. An important functional requirement of ubiquitous computing is to handle location data with ease. With the increase of accidents in large complex buildings. move attention is being paid to indoor spaces and evacuation. However, most currently used evacuation-related applications are simulation based on hypothetical data. Also, since they use non-georeferenced CAD data, it is not easy to integrate them with indoor positioning devices. With the recent progress of indoor positioning systems, the simulators can be enhanced to real-time evacuation systems. As a preliminary stage to make such systems possible, this study proposes using a georeferenced data and evacuation simulation. This study used GIS data and Cellular Automata theory an the algorithm for the movement of the evacuee.

  • PDF

Design of Emergency Light - Focusing on Public Facilities (피난유도등 디자인 연구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 Yoo, Ga-Hee;Yang, Sung-H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
    • /
    • pp.301-308
    • /
    • 2020
  • Based on the analysis of fire escape situations in public facil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pose a design of emergency light suitable for fire in public facility. A video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vacuation situation of public facility because the fire could not be randomized due to the disaster. Through video analysis, we were able to identify inconvenience and necessary needs in avoiding fire in public facility and reflected them in the design of emergency light, etc. As a result of the design of emergency light, the wall type induction lamp had different LED layout structures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product. Ceiling induction lamps have been supplemented for additional installation in corridors of complex struct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igned based on the criteria used in the manufacture of actual emergency light and we intend to explore ways to be practical through further experiment measurements and complementary steps through expert advice.

Deep learning based optimal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in case of structure fire disaster (딥러닝 기반의 구조물 화재 재난 시 최적 대피로 안내 시스템)

  • Lim, Jae Don;Kim, Jung Jip;Hong, Dueui;Jung, Hoek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11
    • /
    • pp.1371-1376
    • /
    • 2019
  • In case of fire in a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suppress fire because it can not accurately grasp the location of fire in case of fi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algorithm that can guide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in case of deep learning-based (RNN) structure disas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vice to transmit data detected by sensors to a server in real time by using installed sensor, to transmit and analyze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heat, smoke, toxic gas around the sensor, to identify the safest moving path within a set threshold, to transmit information to LED guide lights and direction indicators in a structure in real time to avoid risk factors. This is because the information of temperature, heat, smoke, and toxic gas in each area of the structure can be grasped,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can be guided in case of structure disaster.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vacuation Simulation of Indoor Environment Fire (건물 내에서 화재시의 대피 시뮬레이션 설계 및 구현)

  • Jang, Byeong-O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9 no.2
    • /
    • pp.1-8
    • /
    • 2010
  • With recent development of computer hardware and 3D graphic technique, a lot of people have concern for something to express as the 3D graphic that look the real environment. Because the request of users have increased, the 3D simulation is developed and popularized in the many field.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the simulation system that humans evacuate a building fires using the 3D graphic techniques. In this paper, we use the A* algorithm to humans hav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t evacuating a building fires, calculate the evacuation speed of each human considering temperature damage and smoke damage. In this paper, we applied the real building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proposed evacuation simul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evacuation speed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condition and the smoke density.

Design Building fire tracking Using Agilla for USN (USN 환경에서 Agilla를 이용한 Building fire tracking 설계)

  • Kim, Seong-Hune;Park, Jin-Ho;Park, Yang-Soo;Lee, My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d
    • /
    • pp.495-498
    • /
    • 2007
  • USN은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수백개의 센서네트워크 노드를 사람이 접근 불가능한 취약지구에 설치하여, 사람이 감시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Agilla는 USN 환경에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하여 설계된 운영체제인 TinyOS에서 동작하는 에이전트 기반의 미들웨어이다. 모바일 에이전트로 구성된 Agilla는 노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상태정보를 근접한 노드들에게 보냄으로서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gilla 미들웨어를 이용하여 빌딩이나 호텔과 같은 큰 건축물의 화재를 감시하고 추적하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 구축을 설계하였다. 기존의 화재 감시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의 감시 기능 뿐만 아니라, 화재의 위치 추적, 소방을 위한 최선의 경로 제공 및 대피자들에게 최선의 대피 경로를 제공한다.

  • PDF

화재예방안전 목표향상을 위한 소방관련 제도개선

  • O, Sang-Hwan
    • Disaster and Security
    • /
    • v.5 no.1
    • /
    • pp.38-46
    • /
    • 2015
  • 최근 들어 전국의 곳곳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귀중한 인명과 재산을 잃는 대형 참사(慘事)로 이어지고 있다.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초기진화(初期鎭火) 및 인명(人命)의 대피시간(待避時間)인 소위 골든타임은 대략 5분정도이다. 또한 화재사고를 직접체험하게 되면 패닉(panic)현상을 초래하여 우왕좌왕, 혼란의 블랙홀(Black hole)에 함몰(陷沒)되게 마련이다. 의정부 아파트 화재에서처럼 대부분의 골목길은 많은 차량들이 주차되어 소방차 긴급출동에 장애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보편적으로 화재발생 시 소방대는 5분 내에 출동을 목표로 훈련을 한다. 하지만 화재현장에서 소방대에 화재신고가 신속히 이루지지 못하는 지체시간(遲滯時間)을 감안하면 소방대가 현장에 도착하여 진압작업을 개시하는 시점에는 이미 골든타임을 벗어나 화재가 확산되어 있는 상황인 것이다. 그러므로 골든타임을 감안(勘案)하여 소방대의 출동이전에 자체적으로 초기진압을 할 수 있는 방재시스템을 구축(構築)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에 소방대의 도착이전의 골든타임 이내에 자체적으로 조기진압 및 피난을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다만 출동한 소방대는 인접한 건물이나, 주유소 등으로의 연소 확산(延燒 擴散)을 방지하는 역할로 개념(槪念)을 정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소방관련 법령 및 화재안전기준 등은 수시로 개정 발전 되어 오늘날에 이르렀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불합리하고 모순된 규정 등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 이에 틀에 박힌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보다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며 현장여건에 부합하는 선진화된 소방제도를 구축하여 화재참사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보호는 물론 그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진화된 소방관련 제도로 정착시켜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