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약발파

검색결과 873건 처리시간 0.026초

중국 텐진항 폭발사고 원인과 관련된 폭발 에너지 분석 (Analysis of Explosion Energy related to the Cause of Tianjin Explosion Accident in China)

  • 권상기;김하영
    • 화약ㆍ발파
    • /
    • 제34권1호
    • /
    • pp.1-10
    • /
    • 2016
  • 2015년 8월 12일 중국 텐진항에서는 두 번의 대규모 폭발이 발생하였다. 두 번의 폭발은 TNT 3톤, TNT 21톤 규모로 추정되었다. 현재까지 폭발의 정확한 원인은 공표되지 않고 있으며 원인에 대한 몇 가지 추정이 제시되고 있다. 그중 하나는 화재진압을 위해 뿌려진 물과 탄산칼슘의 화학반응에 의해 폭발성 아세틸렌 가스가 발생하고 이 가스의 폭발이 800톤의 질산암모늄의 폭발을 야기했을 것이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폭발 시나리오에 대한 폭발에너지 분석을 통해 화학적 반응에 의해 텐진항 폭발 사고와 같은 대규모 폭발이 발생 가능한지를 평가하였다.

수중소음 관리 기준 설정을 위한 소고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Criteria for Underwater Noise)

  • 임대규;신영철;전양배
    • 화약ㆍ발파
    • /
    • 제28권2호
    • /
    • pp.119-132
    • /
    • 2010
  • 각종 토목공사가 수행됨에 유발되는 소음 및 진동에 관한 민원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육상부보안물건에 대한 관리기준과 피해 발생시 분쟁을 해결하는 객관적 기준자료는 다수 확보된 상태이다. 그러나 수중 소음에 관한 객관적 자료나 기준은 부족한 상태이다. 수중 생태의 환경 검토는 국외의 경우 수중소음계를 이용한 수중소음계측 방식 및 계측 결과값에 대한 항목(최대소음레벨, 실효치, 노출소음레벨)별 관리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청각역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관리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수중생태에 관한 연구자료 및 피해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관리기준의 설정이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중 소음 측정 장비를 활용한 합리적인 수중소음 관리기준 설정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터널막장 전방 파악을 위한 TSP(Tunnel Seismic Prediction) 탐사 사례 연구 (Application of TSP Suvey to Predict the Ground Conditions Ahead of Tunnel Face)

  • 조성원;이효;유재원;김도훈;남승혁
    • 화약ㆍ발파
    • /
    • 제31권2호
    • /
    • pp.40-49
    • /
    • 2013
  • 터널 막장전방의 지반조건을 예측하는데 굴절법 탄성파탐사가 주를 이루어 왔으나, 최근에는 탄성파탐사 기기 및 기법의 발전에 힘입어 시추공을 이용한 토모그래피 등이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TSP (Tunnel Seismic Prediction) 탐사장비를 이용하여 막장전방의 지반조건을 예측함으로써 암질 변화구간이나 단층, 파쇄대등 지질이상대를 파악하여 터널 굴착 시 시공 및 안정상의 문제점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bigcirc}{\bigcirc}$-${\bigcirc}{\bigcirc}$ 도로개설현장에서 적용된 TSP탐사에 의한 터널전방의 지질이상대를 파악한 사례로 막장탐사 방법의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형 성형폭약의 기능적 측면에 대한 고찰 (An Investigation of the functioning and Side Effects of Linear Shaped Charges)

  • 임석빈
    • 화약ㆍ발파
    • /
    • 제23권4호
    • /
    • pp.45-55
    • /
    • 2005
  • 일반적 의미의 성형폭약이라 함은 폭약 중에 빈공간이 존재하여 표면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한덩이의 고폭약을 말한다. 이런 이유로 절단 단면의 형상은 주로 V 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보통 V자의 뽀족한 부분이 기폭부분이 된다. 성형폭약은 그 생김새를 기준으로 크게 2가지로 나눌 수가 있는데 원뿔형과 선형이 그것이다. 원뿔형 성형폭약은 그 초기 발전단계부터 군용 대장갑용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현재에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비해 선형 성형폭약은 철구조물 해체나 여러 용도의 민간/상업용 절단도구로 많이 쓰이고 있는데 두 번의 세계전쟁을 치루며 엄청난 규모의 물질적 인적 지원을 바탕으로 발전한 원뿔형 성형폭약에 비해서 턱없이 연구실적이 부족한 상태이다. 이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선형 성형폭약의 관통력에 대한 연구가 아닌 기능적 측면에 대한 연구결과를 서술하며, 기능적 측면상 중요한 몇 개의 항목에 대한 수량화, 정의 및 연구가 이루어진다. 그 항목으로는 발전거리(run up distance), 이격거리(stand off distance), 기폭위치에 따른 절단모양, 파편 분간 형상 등이 있으며 각 항목에 대한 하류 항목들은 본문에서 다루어진다. 모든 실험은 University of Missouri-Rolla, Rock Mechanics and Explosives Research Center 에서 이루어 졌으며 대부분의 실험은 500grain/ft 선형성형폭약을 사용하여, 기폭 후 철제목표물을 관통한 형상 및 관통 단면을 관찰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지하공동구조물의 설계시 적용되는 지반거동해석 (Analysis of Ground Behavior applied to the Design of Underground Opening Structures)

  • 박남서;이성민
    • 화약ㆍ발파
    • /
    • 제15권1호
    • /
    • pp.44-60
    • /
    • 1997
  • 지하공동의 설계는 지반이 본래 가지고 있는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이용하는 것을 기본 개념으로 하므로 지반자체의 복잡다양한 역학적 특성들을 평가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것은 지극히 어려운 일이며, 이러한 특성들을 일률적으로 평가하는 것도 거의 불가능하다. 컴퓨터의 발달과 수치해석 기술의 적용이 본격화 되기까지는 지반의 거동을 지배하는 몇가지 주요 요소의 정성적 혹은 정략적 특성에 의하여 지반을 몇가지 등급으로 분류하여 통계자료의 분석 및 경험적 판단에 의해 설계를 수행하여 왔다. 지하공동구조물 설계시의 지반거동해석은 이완영역의 가정에 의한 방법, 경험적 접근법에 의한 방법 및 최근에 와서 수치해석 기술의 발달에 따라 주로 사용되는 공학적 해석 방법에 의한 지반거동해석 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 PDF

포화된 암반에 굴착된 원형공동의 수리-역학적 거동 (Hydro-mechanical Behavior of a Circular Opening Excavated in Saturated Rockmass)

  • 이연규;신희순
    • 화약ㆍ발파
    • /
    • 제23권2호
    • /
    • pp.23-35
    • /
    • 2005
  • 지하수로 포화된 암반내의 공동을 굴착하면 공동 주위에서 응력의 재분배로 인하여 초기 공극수압의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공극수압의 변화는 다시 암반의 역학적 거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공동 주변 암반에서 굴착으로 인해 형성된 공극수압이 소산과정에서 암반의 거동은 공극수압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해석과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굴착직후 짧은 시간 동안에서 공동주변에서 발생하는 응력재분포와 공극수압변화 양상을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공극수압을 고려하지 않는 탄성해석과는 달리 굴착직후 짧은 시간동안에는 공동 벽면의 직후방에서 최대접선응력이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층 주방식 채광 광산에서 낙반이 천반과 광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ock Fall on the Roofs and Rib Pillars at Multi-layered Room and Pillar Mine)

  • 김종관;양형식
    • 화약ㆍ발파
    • /
    • 제34권4호
    • /
    • pp.35-39
    • /
    • 2016
  • 다층 주방식 광체의 개발에서 상부 채광장 천반의 붕락이 하부 편 광주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AUTODYN으로 수치해석 하였다. 그 결과 하부 채광장 천반에서의 최대 응력은 각각 0.001 mm 및 36 Mpa 정도였고, 광주에서의 최대 변위와 응력은 각각 0.0003 mm및 3 Mpa 정도였다. 상부 채광장의 천반암석의 절반이 붕락하는 상황을 가정했을 때 하부 채광장 광주의 손상도는 0.03 정도로 나타났다.

미진동파쇄기를 이용한 표준암반반쇄굴착공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 Rock fracture Method Using the Finecker Plus)

  • 김영근;김일중;기경철
    • 화약ㆍ발파
    • /
    • 제23권1호
    • /
    • pp.19-3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미진동파쇄기를 이용한 알반파쇄굴착공법의 기준 진동식과 암 분류에 따른 비장약량 산출식을 도출하였고 기존의 파쇄임도비율 산출식을 미진동파쇄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였다. 그리고 표준암반파쇄패턴과 실시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공당장약량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자승근 환산식은 $V=345.39(D/\sqrt{W})^{-1.4484$, 비장약량 산출식은 $W_f=(2.3\~2.5)\;f_agdV$, 실시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공당장약량은 0.54kg, 직경 30cm의 파쇄입도비율은 약$48.7\%$로 산출되었다. 본 암반파쇄굴착공번은 타 공법에 비해 현장적 용성이 탁월한 것으로 사료된다.

$W/KClO_4/BaCrO_4$ 지연제의 연소 메카니즘 (The Combustion Mechanism of Tungsten-potassium Perchlorate-barium Chromate Delay power)

  • Nakamura, Hidesugu;Akiyoshi, Miyako;Hara, Yasutake
    • 화약ㆍ발파
    • /
    • 제18권1호
    • /
    • pp.53-58
    • /
    • 2000
  • Thermal analysis, analysis of combustion residue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measure ment such as burning rate or temperature were carried out to clarify the combustion mechanism of a tungsten- potassium perchlorate-barium chromate chromate delay powder.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The main reaction of the delay powder of tungsten-potassium perchlorate-barium chromate is the oxidation of tungsten by potassium perchlorate. Barium chromate acts as a burning rate modifier, and the smaller the larger is the burning rate. Three types of delay composition used in this study show characteristic burning behavior. A stoichiomertric or a oxidizer-rich composition has a small linear burning rate. although it is has a large heat of combustion. On the other hand, a tungsten-excess or a fuel-rich composition with a small heat of combustion has a larger linear burning rate than the former, showing a small fractional oxidation of tungeten (below 10%) contained in the delay powder. From these results, a surface combustion mechanism is proposed for the combustion mechanism of this delay powd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