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석목재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iversity of Fossil Woods from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에서 산출된 화석목재의 다양성)

  • Kim, Jong-He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6 no.1
    • /
    • pp.51-58
    • /
    • 2015
  • In order to understand the broad outline and palaeobotanical significances, the fossil woods from the Korean Peninsula were integrat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s. Types and diversity of them are gradually increasing from Mesozoic to Cenozoic, especially increased sharply in Cenozoic. During the Early Mesozoic, six conifer taxa belonging to four genera were described, which corresponds to about 6% of the Daedong flora. Those of the Late Mesozoic are all conifers, consisting of fifteen taxa belonging to seven genera, which corresponds to about 29% of the Nakdong flora. During the Neogene, thirty four taxa belong to sixteen families were described. Those woods mostly consist of dicotyledon and have the greatest diversity compared to other geologic eras, which corresponds to about 83% of the Janggi flora. It is inferred that such a rapid increase of the silicified wood fossils in Neogene are due to the abundant presence of dicotyledon in floral composition and of pyroclastic rocks in strata, which are appropriate for preserving wood as fossils.

Paleoenvironmental Factor on the Fossil Woods from the Lower and Upper Coal-bearing Formations of the Janggi Group (Miocene) of Korea (포항 분지 장기층군의 하부 및 상부 함탄층(마이오세)의 화석목재에 나타난 고환경 요인)

  • Park, No-Tae;Kim, Jong-He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6
    • /
    • pp.573-583
    • /
    • 2010
  • A paleobotanical study of the fossil woods has been carried out from the Tertiary Janggi Group, Pohang Basin. Three species belonging to three genera of Ulmus sp., Prunus sp., and Acer sp. were identified from the Lower Coalbearing Formation, and two species of two genera of Taxodioxylon sp. and Fagus hondoensis (Watari) from the Upper Coal-bearing Formation. As our specimens are mostly poorly preserved, it is difficult to give clear specific names, but mostly are all characteristic constitutional elements of the Miocene fossil woods in Korea. The values of mean sensitivity measured from the fossil woods of Lower and Upper Coal-bearing Formations are 0.367 and 0.370 respectively, but they are more than 0.30. Based on the present two data mentioned above, it stands to reason that there were many changes in the water supply to the roots of the woods or having influence to some degree each year because of the seasonal changes in rainfall.

청양 지역에 분포하는 중생대 초기의 조계리층에서 철화된 목재화석의 발견

  • Song, In-Hyeon;Kim, Jong-Heo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03-103
    • /
    • 2010
  • 충남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지역에 분포하는 조계리층에서 역과 혼재된 상태로 보존된 목재화석을 정리하던 중에 규화목과 함께 철광물로 충전된 목재화석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철화된 상태로 보존된 재목화석의 구성광물과 화학성분 및 성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연구 지역은 선캄브리아기에 속하는 변성암을 기반암으로 하여 이를 부정합으로 덮고 있는 퇴적암층이 분포한다. 퇴적암은 하부로부터 조계리층과 백운사층으로 구분되며, 조계리층 상부의 역암대에서 재목화석이 산출된다. 규화목의 형태로 보존된 화석은 이미 백승덕(2003), Kim et al. (2005)의 분류학적 연구에 의해 Xenoxylon phyllocladoides, Agathoxylon sp.로 밝혀진 바가 있다. 재목화석의 구성광물을 알아보기 위해 보존상태가 좋은 5개의 표본을 골라서 XRF, XRD, 현미경 관찰을 실시하였다. XRF 분석 결과, 재목화석의 화학성분은 $Fe_2O_3$ (평균 83.18 wt.%)가 가장 높았고, $SiO_2$(평균 7.82 wt.%)로 가장 낮았다. XRD 분석 결과, 목재화석은 침철석(Goethite)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재목화석의 단면을 잘라 연마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세포조직이 보존되어 있기는 하지만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분류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더 많은 시료를 채집하여 현미경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침철석은 기반암, 염기성암체, 황화광물, 함철대의 풍화로부터 생성된 철염의 산화와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다. 목재가 퇴적암 속에 묻혀 화석화작용이 진행되는 동안에 같은 지역에서 규화작용과 철화작용이 동시에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environmental benefit of wood waste recycling processes (폐목재 자원화 방법 환경편익 분석)

  • Kim, Mi Hyung;Hong, Soo Youl;Phae, Chae Gun;Koo, Ja Kong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0 no.2
    • /
    • pp.15-19
    • /
    • 2012
  • Wood wastes could be renewable resources by recycling as particleboard manufacturing or energy production. Particle board is the most common item of wood waste recycling and energy production from wood wastes has highlighted for energy recovery to reduce greenhouse gas generation in recent yea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benefits of the processes for particle board manufacturing and energy production. The functional unit was one ton of wood wastes and the environmental impact was analyzed by life cycle assessment methodology. The result was that 112kg of carbon dioxide equivalent was produced from particle board manufacturing process and 382kg of carbon dioxide equivalent was produced from 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process. The concept of temporary biomass carbon storage was to applied to this study.

Solvent Extraction of Pentachlorophenol(PCP) from PCP-treated Wood (오염화석탄산(PCP)으로 방부 처리된 목재로부터 PCP의 용매추출)

  • Lee, Jong-Chol;Choi, Soo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4 no.2
    • /
    • pp.227-233
    • /
    • 2006
  • Solvent extraction of pentachlorophenol (PCP) from wood chips of the PCP-treated ammunition box has been studied using methanol, ethanol and acetonitrile. Experimental variables were chosen as the composition of solvents, the ratio of solvent per dried wood, size of the substance, extraction temperature and sonication applied to the sample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CP was 720 ppm and methanol was the most effective for PCP extraction. Above 99% of PCP were removed from the sample (initial concentration of PCP; 1297 ppm) within 2 h at room temperature by methanol. The minimal ratio of methanol per dried wood chip(v/w) was 10. Type of substances(chip or sawdust), extraction temperature and sonication showed little effects on PCP extraction.

Potential Impact of Timber Supply and Fuel-Wood on the Atmospheric Carbon Mitigation : A Carbon Cycle Modeling Approach (목재공급과 연료용 목재가 대기에 축적된 탄소저감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 탄소순환모형 접근법)

  • Lyon, Kenneth S.;Lee, Dug Ma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9 no.3
    • /
    • pp.597-632
    • /
    • 2010
  • There is general agreement that global warming is occurring and that the main contributor to this probably is the buildup of green house gasses, GHG, in the atmosphere. Two main contributors are the utilization of fossil fuels and the deforestation of many regions of the world. The burning of fossil fuels increases atmospheric carbon while the burning of fuel-wood reducing fossil fuel consumption along with its forest source maintain an atmospheric carbon level. The standing timber in the forests is a carbon sink, as are wood buildings and structures, and fossil fuel in the ground. This paper is designed to examine a number of current issues related to mitigating the global warming problem through forestry. For this purpose, we develop a modeling approach by integrating timber market, fossil fuel market and carbon cycling model. We use discrete time optimal control theory to identify optimal time paths, the laws of motion, and stationary stats solutions of endogenous variables in the model.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identify the optimal amounts of subsidies to be provided or taxes to be imposed by the regulatory agency to mitigate atmospheric carbon accumulation. We also present a numerical example to help illu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in the model when the social cost for atmospheric carbon incrementally shifts upward. A surprising result is that the social cost function for atmospheric carbon has a very smaller impact on the optimal rotation period than previous literature suggested.

  • PDF

포항 분지의 제3기 장기층군산 규화목에 의한 고환경 해석

  • Park, No-Tae;Kim, Jong-Heo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01-102
    • /
    • 2010
  • 규화목은 목본식물의 2차목부가 화석화된 것으로 화석화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무기물이 세포를 치환하거나 세포의 내강 또는 간극에 침투하여 고화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목재의 해부학적 구조가 잘 보존되는 경우가 많고 이를 통해 목재의 수종을 비교적 정확히 동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거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목재는 유관속 형성층에 의해 매년 새롭게 형성되어 축적되며 형성된 조직은 성장하는 당해 기후변화를 반영하게 된다. 따라서 화석목재를 통해 과거 기후조건을 복원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우도 많다). 본 연구는 포항 분지의 신제3기 마이오세 장기층군에서 채집한 규화목의 조직과 나이테 분석을 통해 고환경을 해석한 것이다. 장기층군에서 채집한 15개의 규화목 표본 중 나이테가 잘 나타나는 5개 표본에서 나이테를 분석하고 그중 조직이 잘 보존된 1개의 표본에 대해 목재해부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나무가 성장함에 따라 나타나는 나이테의 폭은 환경적 요인 등으로 매년 일정하지 않다. 이런 인접연륜간의 연륜변동성을 알아보기 위해 연륜연대학(Dendrochronology)에서 널리 사용되는 평균민감도 측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평균민감도는 연륜변동이 어느 정도있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인접한 연륜들 사이의 차이를 측정하여 인접연륜간 연륜변동성을 나타낸다. 평균민감도 값이 크면 연륜폭 변동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나무가 자라는 당시 환경인자의 변화량이 컸다고 해석할 수 있다. 조직이 잘 보존된 1개의 표본은 목재해부학적 특징상 느릅나무과(Ulmaceae) 느릅나무속(Ulmus)으로 동정되었다. 또한 5개 표본의 나이테를 분석한 결과 평균민감도는 0.34~0.41 범위를 나타내며 전체 평균은 0.37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규화목 생성 당시 환경이 온대기후를 지시하며, 물 공급이 매년 계절적인 제한을 받았거나 다양한 변화가 있어 계절적으로 강수량 변화가 있었음을 지시한다.

  • PDF

Characteristics of pyrolysis gas production in charcoal production process of lignocelluloisic biomass (목질계 바이오매스 숯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열분해가스 생산 특성)

  • Park, Soo-Nam;Ku, Jae-Hoi;Lim, Yong-Taek;Xu, Lihua;Seo, Yong-Kyo;Lee, Il-Kyu;Ha, Hu-Ch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443-446
    • /
    • 2009
  • 바이오매스 에너지라 함은 생물체를 구성하는 유기물을 이용하는 에너지이다. 바이오매스는 에너지 위기 및 $CO_2$에 의한 지구온난화 및 화석자원의 고갈이 진행되면서, 화석연료와 달리 재생이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자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다른 신재생에너지원에 비해 국내 잠재량이 가장 풍부한 에너지원 중의 하나이다. 바이오매스 에너지 기술로는 직접연소, 열화학적 변환, 생화학적 변환의 기술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재를 원료로 한 부분산화 조건의 숯 생산 공정에서 목재의 열분해 가스 생산특성을 고찰하였다. 열분해가스 중에 응축된 목초액의 pH는 3.58~3.92 정도로 분석 되었고, 산도는 시간이 경과 할수록 2.74에서 4.44%로 농도가 증가 되었다. 숯 생산 공정에서의 목재의 열분해는 초기부터 48시간까지는 열분해가스의 조성의 변화가 거의 없었고, 48시간 경과 후에는 열분해가스 중에 가연성가스인 $H_2$, CO, $CH_4$가 약 5%정도 배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임계 유체 기반 액화공정에 의한 바이오연료 생산 기술

  • Kim, Jae-Hun
    • Journal of the KSME
    • /
    • v.55 no.7
    • /
    • pp.32-36
    • /
    • 2015
  • 최근 화석 연료의 과다 사용에 따른 에너지 자원 고갈 및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비화석연료 기반의 재생가능하고 지속가능하며, 환경친화성이 높은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농산폐기물, 폐목재, 에너지작물, 도시고형폐기물, 미세조류, 거대조류 등 육상 및 해상에서 발생하는 바이오매스는 재생가능한 에너지원으로서 화석원료와는 달리 사용 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수하는 탄소중립(carbon-nutral)의 특성을 갖고 있어 전세계적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바이오연료 중 당질계원료를 이용하는 바이오에탄올 및 식물성유지를 이용하는 바이오디젤은 현재 상업적인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들 1세대 바이오연료는 식량자원과의 경쟁이라는 원천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고, 분자구조식에 산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 화석원료에서 출발하는 가솔린, 항공유 및 디젤과 비교하였을 때 에너지 함량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 1세대 바이오연료에서 탈피하여, 식량자원과 경쟁이 없으며, 또한 분자구조식에 산소를 적게 포함하거나 아예 포함하지 않는 바이오연료("drop-in" 바이오연료) 생산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최근 그린공정으로 대표되는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drop-in" 바이오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바이오매스 액화의 기술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