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산 활동도

Search Result 27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nalysis of Optical Satellite Images and Pyroclastic Flow Inundation Model for Monitoring of Pyroclastic Flow Deposit Area (화성쇄설류 분출 지역의 감시를 위한 광학영상과 화성쇄설류 범람 예측 모델링 분석)

  • Cho, Minji;Lee, Saro;Lee, Chang-Woo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0 no.2
    • /
    • pp.173-183
    • /
    • 2014
  • Field survey research on damages caused by volcanic activities has plenty of difficulties due to human resources, safety and costs issues. Remote sensing application using satellite image is one of very useful tools to overcome those issues. In this study, we monitored the volcanic activities of Sinabung volcano in 2010, which is located in Sumatra island, Indonesia by using Landsat 7 ETM+ satellite images acquired on 17 April, 2009 and 30 July, 2012. We found that the area of pyroclastic flow inundation after 2010 has been tripled roughly, since extracting the pyroclastic flow inundation before and after 2010 eruption from classification. The result from modeling of pyroclastic flow inundation has been compared with the extracted pyroclastic flow inundation from Landsat 7 ETM+ images.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length of inundation area from the modeling was calculated to 92% accurate, but the width of inundation area was somewhat imprecisely estimated in the volcanic area having the sharp slope and only calculated to 17% accurate.

제주도의 화산과 동굴

  • 권중국;이상남;김혜덕;이인환;박종선;장남석;박현재;정재섭;신탁범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25
    • /
    • pp.30-68
    • /
    • 1991
  • 제주도는 지리적으로 동경 126$^{\circ}$08'~126$^{\circ}$58', 북위 33$^{\circ}$06'~34$^{\circ}$00'에 위치하며 비양도, 우도, 상추자도, 하추자도, 횡간도, 가파도, 마라도 등 8개의 유인도와 54개의 무인도로 구성되었으며 행정구역상 2시 2군 6읍 5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도는 한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하며 환태평양 조산대 즉 호상열도에서 벗어난, 대륙쪽에 위치한 화산도로서 백두산, 울릉도, 연천, 전곡 지역 등과 더불어 신생대화성활동과 그에 수반하여 생성된 화산용암 동굴에 관한 연구조사 지역으로 대단히 의의가 있는 대상이다.(중략)

  • PDF

Clonal Variation in Female Flowering of Larix leptolepis (낙엽송 클론의 암꽃 개화량 변이)

  • Kim, In-Sik;Kim, Jong-Han;Kang, Jin-Taek;Lee, Byung-Sil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1 no.1
    • /
    • pp.1-4
    • /
    • 2008
  • The clonal variation in female flowering was studied in Larix leptolepis clone bank, consisting of 116 clones, for three years. The between-year variation was large; i.e. the percentage of flowering grafts and average number of flowering per graft were $28.4{\sim}67.2$ and $9{\sim}176$, respectively. Differences in flowering abundance among clones were larg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the years studied. The variance of flowering abundance among clones was increased when flowering was poor. The average of broad-sense heritability of flowering abundance was 0.52. The genetic gain(%G) was estimated at 57.4% when the upper 30% clones were selected. The clonal stability of flowering abundance was compared using average number of flowering and coefficient of variance value of each clone. The clones such as Gyeonggi 9(29), Kangwon 37(137), Chungnam 6(46), Chungnam 14(414), R11, R8 showed abundant flowering and high stability.

Halloysite Formation by the Alteration of Trachytic Glass in Ulleung Island (울릉도 조면암질 유리의 변절에 의한 할로이사이트의 생성)

  • Jeong, Gi-Young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2
    • /
    • pp.111-118
    • /
    • 2011
  • Hydrated halloysite was formed by the low temperature alteration of trachytic tuff in onion-like spherical or curly platy forms. The Si content was higher than that of ideal kaolin minerals, indicating the possible presence of amorphous materials. The high Fe content is responsible for the platy morphology of halloysite. The leached ions precipitated as halloysite filling the interparticle pores, while trachytic glass was replaced by Si-rich amorphous materials in an hemispherical form, which was further evolved into spherical halloysite. Halloysite is one of the major alteration products of the volcanic ash in Ulleung Island underwent intense trachytic volcanism.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alkaline Basalt in the Udo Island, Jeju (제주도 우도 화산섬의 서브알칼리 현무암의 지화학적 특징에 대하여)

  • Lee, Jin-So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7 no.6
    • /
    • pp.601-610
    • /
    • 2014
  • Udo is the site of a short-lived monogenetic submarine volcanic vent which builts basaltic clastic deposits below sea level, by early Surtseyan-type explosive eruption and later effusive lava eruptions. Mineral assemblage, major and trace element chemistry indicate that the Someori sub-alkaline lava flows were related to the WPTB(within plate tholeiitic basalt) rather than IAT(island-arc tholeiite) and that the geotectonic regime of Korean Peninsula went away from the subduction zone after the Later Miocene.

A magnetotelluric suvey result for exploration geothermal resources in Jeju Island (제주도 지열자원부존 여부 파악을 위한 MT탐사 결과)

  • Lee, Tae Jong;Lee, Seong Kon;Park, In Hwa;Song, Yoon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21.2-121.2
    • /
    • 2010
  • 제주도는 지질학적으로 제4기에 형성된 화산섬으로 지금까지 고온의 지열징후는 보고된 바 없으나, 남한에서 가장 최근까지 화산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화산활동과 관련된 심부 지열자원 부존 가능성은 아직 열려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지열부존 가능성을 타진하고 제주도 심부 지질구조 파악을 목적으로 2차원 및 3차원 자기지전류 (MT) 탐사를 수행하였다. 탐사는 중산간지역에서 한라산을 중심으로 동, 서, 남, 북의 4방향 4측선과 제주 서부지역에 남북방향의 1측선을의 총 5개 측선에 대해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MT 탐사자료의 2차원 및 3차원 역산을 통하여 한라산 하부 및 주변의 심부 지질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역산 해석 결과는 천부 구조는 기존 시추조사 결과 밝혀진 층서구조의 형태를 잘 나타내어 획득된 자료의 신뢰도가 높음을 지시하였다. 즉, 제주도 최 상부를 피복하고 있는 현무암 등의 화산암류는 고비저항(수백 ohm-m)으로, 그 하부의 해성 미고결퇴적층(U층 및 서귀포층)은 저비저항으로, 그리고 최하부의 응회암이나 화강암으로 구성된 기반암은 1,000 ohm-m 이상의 고비저항 층으로 잘 구분되어 나타났다. 특히, 제주도에서 특징적으로 해수면 하부 수십 ~ 수백 m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미고결퇴적층이 10 ohm-m 내외로 측선 전반에 걸쳐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시추결과에서 미고결 퇴적층이 제주도 전역에 걸쳐 해수면 하부 100 m 내외의 심도에서 관찰되는 것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기반암 하부에서는 특징적으로 모든 측선의 중앙부에서 저비저항 이상대가 영상화되었으며 이는 2차원 역산과 3차원 역산해석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3차원 해석에서는 이러한 저비저항 이상대가 한라산 정상에서 서북쪽 부근에 나타나는데 이는 과거의 화산활동과 관련된 지질학적인 구조에 의한 영향일 가능성과 측선의 양단과 중앙에서 주변 바다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일 가능성으로 볼 수 있다. 즉, 전자는 심부에 발단된 각각의 파쇄대가 모든 측선의 중앙부에서 교차하거나 이를 통한 한라산의 생성과정과 연관된 지질학적인 구조일 가능성을 의미한다. 만약 한라산을 형성한 화성활동의 영향이 아직 지하 심부에 남아있다면 지열수의 부존 혹은 마그마의 통로가 되었을 단층의 영향으로 한라산 하부에 저비저항 이상대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후자에 의한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으므로 향후 주변바다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3차원 역산해석이나 심부시추 등을 통한 상세한 지질조사 등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 of Magma Activity from 2002 to 2009 at Mt. Baekdusan using Surface Displacement (지표변위를 활용한 백두산의 2002-2009년 마그마 활동 양상 변화 연구)

  • Yun, Sung-Hyo;Lee, Jeong-Hyun;Chang, Cheolwo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4 no.6
    • /
    • pp.470-478
    • /
    • 2013
  • There have been a number of observed precursors of volcanic activities- such as volcanic earthquake, surface inflation, specific volcanic gas emission, temperature of hot spring- at Mt. Baekdusan since 2002. We identified the increase of the volume of magma chamber beneath Mt. Baekdusan as we observed an inflation trend of vertical and horizontal surface displacement around Cheonji caldera lake by using precise leveling data from 2002 to 2009. The surface displacement trend changed to deflation in 2010, and the trend changed to inflation again after a while. Utilizing the data of inflated surface (46.33 mm) on the northern slope of Mt. Baekdusan from 2002 to 2003, we calculated the volume change of magma chamber beneath the Mt. Baekdusan. The volume change was about 0.008 $km^3$ ($7.7-8.0{\times}10^6m^3$) from 2002 to 2003. It indicated that a new magma (0.008 $km^3$) injected to the magma chamber 5 km below Mt. Baekdusan.

Geology and Mineralization of East Africa Rift System (동아프리카 열곡대의 지질 및 광화작용)

  • Koh, Sang-Mo;Lee, Gilljae;Kim, Eui-Jun;Ryoo, Chung-Ryul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4
    • /
    • pp.331-342
    • /
    • 2013
  • 동아프리카 열곡대는 아라비아반도와 아프리카 북동부의 경계에서 부채꼴 형태로 남쪽으로 뻗은 대단층 함몰지구대이다. 아프리카 판 내부에 발달한 열곡대의 폭은 35~60 km이며 연장은 약 4,000km로 알려져 있다. 열곡대는 에티오피아에서 남서방향으로 발달하다 에티오피아 남부에서 동, 서 및 남서 열곡대로 나누어진다. 이 열곡대는 제3기초 올리고세(30~35 Ma)부터 에티오피아 북부 아파르 침강대를 중심으로 주 에티오피아 열곡대가 형성되고, 남쪽으로 확장되면서 마이오세에 활성화된다. 서부 열곡대는 동아프리카대지의 가장자리와 빅토리아 호의 서편을 따라 발달하며, 고각의 정단층에 의해 특징되는 전형적인 반지구대이다. 동부 열곡대(주 에티오피아 열곡대와 케냐 열곡대)는 30 Ma 전 화산활동과 지구조활동이 시작되었으나, 서부 열곡대는 Albert 호 북부에서 12 Ma 전에, Tanganyika 열곡에서는 7 Ma 전부터 시작되었다. 서부 열곡대의 남서 방향으로 분기된 남서 열곡대는 DR-콩고 남부와 잠비아의 Tanganyika 호에서부터 남서 방향으로 확장되어 보츠와나 Okavango 열곡대와 연결된다. 주 에티오피아 열곡대(MER)의 화산암류와 관련 퇴적암류는 지열, 소다회, 포타쉬(K), 천열수 금, 벤토나이트, 유황 및 부석자원으로 중요한 관련암으로 역할을 한다. 열곡관련 대표적인 광상으로는 Afar 열곡대에 분포하는 Danakhil K-광상과 Megenta 및 Blackrock 천열수 금광상이다. Danakhil K-광상은 제4기 화산활동과 높은 지열류에 의해 열곡대 내 분포하던 소금 선상지(salt fan)에서 증발작용에 의해 형성된 증발형 K-광상으로서 총 자원량은 약 12.6억톤으로 평가되었다. 이 광상에서는 4종의 K-광물인 실바이트, 카날라이트, 포리하라이트, 카이나이트가 산출한다. 아파르 침강대 내 분포하는 대표적인 천열수 금광상은 텐다호 지구대에 위치하는 Megenta 및 Blackrock 광상이다. 제4기에 EMR에서 산성의 과알칼리 화산활동에 의해 열수활동이 초래되어 현재까지도 활동하여 지열대가 형성되고, 저유황형금 광상들이 형성되었다. Megenta 저유황형 금 광상은 2009년 발견되었으며, 현재 영국의 Startex International사에 의해 탐사가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의 탐사 결과 옥수질 규화 변질암 분포지에서 5개의 광체가 분포하며, 그중 Hyena 광체에서는 규화 변질된 열수각력암에서 최고 16.75 g/t의 금 품위가 보고되었다. 동아프리카 열곡대의 서편인 부룬디에 분포하는 Gakara REE 광상은 카보너타이트 유형의 REE 광상이다. 이 광상은 $400km^2$ 면적 내 수 cm부터 수 m까지의 폭을 가지는 맥상 또는 망상세맥상의 광체를 형성한다. 주로 조립의 바스트너사이트와 모나자이트로 구성된다. 바스트너사이트의 형성시기는 $587{\pm}4Ma$인 신원생대로 알려져 있으며, 이 지역에 분포하는 카보너타이트와 알칼리암들이 신원생대에서 신생대까지의 광범위한 연대를 보이는 것은 동일한 구조선을 따라서 일어나는 반복되는 열곡활동으로 해석된다. 또한 REE, U, 인회석 자원의 관련암체로 생각되는 알카리 조면암(네펠린-조면암 포함)과 카보너타이트는 동아프리카 열곡대의 남동부 끝자락인 말라위와 모잠비크에 우세하게 분포한다.

Initial Evaluation using Geochemical Data to infer Tectonic Setting of Mt. Baekdu/Changbaishan Volcano (백두산 화산의 지체구조 추론을 위한 지구화학적 데이터를 이용한 기초 평가)

  • Yun, Sung-Hyo;Chang, Cheolwoo;Pan, B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3 no.1
    • /
    • pp.128-139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ectonic setting of the volcanic edifice at Mt. Baekdu by analyzing pe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olocene felsic volcanic rocks distributed in the Baekdusan stratovolcano edifice and summit of the Cheonji caldera rim, as well as Pleistocene mafic rocks of the Gaema lava plateau and Changbaishan shield volcano edifice. During the early eruption phases, mafic eruption materials, with composition ranging from alkali basalt to trachybasalt, or from subalkaline (tholeiitic) basalt to basaltic andesite formed the Gaema lava plateau and Changbaishan shield volcanic edifice, whereas the Baekdusan stratovolcano edifice and Holocene tephra deposits near the summit of the Cheonji caldera comprises trachytic and rhyolitic compositions. Analysis results revealed bimodal compositions with a lack of 54-62 SiO2, between the felsic and mafic volcanic rocks. This suggested that magmatic processes occurred at the locations of extensional tectonic settings in the crust. Mafic volcanic rocks were plotted in the field of within-plate volcanic zones or between within-plate alkaline and tholeiite zones on the tectonic discrimination diagram, and it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results of the TAS diagram. Felsic volcanic rocks were plotted in the field of within-plate granite tectonic settings on discrimination diagrams of granitic rocks. None of the results were plotted in the field of arc islands or continental margin arcs. The primitive mantle-normalized spider diagram did not show negative (-) anomalies of Nb and Ti, which ar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subduction-related volcanic rocks, but exhibited similar patterns of ocean island basalt. Trace element compositions showed no evidence of, magmatic processes related to subduction zones, indicating that the magmatic processes forming the Baekdusan volcanic field occurred in an intraplate environment. The distribution of shallow earthquakes in this region supports the results. The volcanic rocks of the Baekdusan volcanic field ar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intraplate volcanism originating from the upwelling of mantle material during the Cenozoic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