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관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5초

회원작품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6호통권88호
    • /
    • pp.21-34
    • /
    • 1976
  • PDF

화학물질관리법 대응을 위한 도금업체 실태 조사 및 개선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rvey of Plating Company for the Chemical Substance Management Act)

  • 이준균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4-74
    • /
    • 2017
  • 화학물질관리법 시행에 따른 도금기업의 준비 현황 및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중간보고서에서는 대부분의 업체에서 가장 부담스럽다고 느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배치 설치 관리 기준' 중 실질적으로 가장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용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리하였고, 최종보고서에서는 한국경영자총협회에서 제안한 "화관법 개선 산업계 의견"을 참고하여 도금업체의 현장과 관련된 부분을 선정하여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장외영향평가서 및 위해관리계획서 부문의 경우 도금공장의 시설 결함 및 노후화로 인하여 화학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더라도 대부분의 현장이 화관법 기준을 충족하기 이전에 시설 허가를 받을 때 건축법이나 소방법 등 여러 규제사항을 통과하여 인 허가를 받은 사업장이고 또한 정기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안전에 대해서는 일차적으로 보장을 받은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설문조사에서 화학사고를 경험과 관련하여 94% 이상이 "없다"라고 응답하였으므로 약품에 의한 화학사고의 개연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리나라 미기록 자생식물: 영암풀(꼭두선이과) (First record of Hedyotis chrysotricha (Rubiaceae) from Korea)

  • 나혜련;현진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20-423
    • /
    • 2016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발견된 Hedyotis chrysotricha (Palib.) Merr.를 우리나라 미기록 자생식물로 보고한다. 본 종은 근연 분류군과 비교하여 전체에 털이 있고, 잎이 난상 타원형이며, 화관은 흰색 또는 연한 보라색이고, 화관 열편 길이가 너비보다 2배 이상 긴 특징으로 구분된다. 국명은 최초 발견지 지역명을 고려하여 '영암풀'로 명명하였으며, 주요 형질에 대한 도해와 기재,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행사 - 2015 북엑스포아메리카 성료

  • 임남숙
    • 프린팅코리아
    • /
    • 제14권7호
    • /
    • pp.66-68
    • /
    • 2015
  • 대한인쇄문화협회(회장 조정석)는 지난 5월 27일부터 29일까지 미국의 뉴욕 자비츠센터에서 열린 2015 뉴욕국제도서전(2015 BEA)에 한국인쇄문화관을 설치하고 인쇄물 수출 지원 및 2016년 세계인쇄회의 홍보활동을 적극 전개했다.

  • PDF

한국산 용담과 쓴풀속(Ophelia) 식물의 분류 2. 해부학적형질 및 미세구조 (A Taxonomic study of the Ophelia D. Don(Gentianaceae) in Korea -Anatomical and ultrastructure-)

  • 백원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6-79
    • /
    • 2000
  • 한국산 쓴풀속(용담과) 식물 중 남한에 분포하는 5분류군과 변이체라 생각되는 1분류군, 총 6분류군에 대하여 줄기, 잎, 자방, 악, 자방의 횡단면, 주두, 잎표피, 주맥표면, 화관열편 표면, 밀선, 종피와 화분의 해부학적 형질과 미세구조를 조사하여 절과 종간의 한계를 분명히 하여 종 동정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분류학적 위치를 설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북한에 분포하는 1분류군은 동경대학의 소장품을 관찰하여 분류군의 기재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방의 내부구조, 밀선의 형태, 화관열편 표면의 미세구조 그리고 화분 표면의 무의 등에 의해 2개의 절로 구분되었고 밀선과 종피의 미세구조에 의해 종간의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이 형질들은 쓴풀속의 분류군들을 구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형질로 밝혀졌다. 변이체라고 생각되었던 큰잎쓴풀(화관 열편에 자색 점무늬를 갖는 분류군)A형은 자색 점 이외의 형질들에서는 전혀 차이를 찾아볼 수 없어 모종의 변이 폭에 넣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 PDF

화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Whakwan)

  • 홍나영
    • 복식
    • /
    • 제50권3호
    • /
    • pp.31-42
    • /
    • 200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istory of whakwan (crown, 화관(花冠)) and classified the types of whakwan accordint to its structure. Whakwan seemed to originate from the custome of sticking flowers in the hair which was the reflection of human desire of pursuing the beauty . The whakwan fist appeared in the Oriental painting during the Tang period and became fashionable is Song. It is not clear when whakwan was introduced into Korea, but is assumed to be greatly influenced by the Song whakwan. The Korean record on whakwan showed on whakwan showed fro the fist time in the reign of Kimg Sejong and whakwan was used for the costume of a dancing boy. Through the present type of whakwan appeared only one in the painting of the reign of King Seonjo, there are a number of whakwans in the lattern part of the Chosun dynasty, Now there exist three types of whakwan in Korea. The first type is similar to that of Chokduri in decoration . But it was made of paper, had the double structures of inner and outer part and was decorated by Yangkwan's vertical lines of gilt paper. The second type is the whakwan made of artifical flowers with various color cords and was widely used in Geesung and Pyungyang regions. Finally, though the third type is similar to Sabangkwan, its outside was decorated gaudilly iby Dangchae (colorful painting ) and it was assumed that dancing bodys put it on their head for various banquets. Out of these three types, the first is most representative , Black was the popularly used color for the first type and this type was used either for brides on wedding ceremonies or for shamans or palace dancers. The second type was widely used in Gaesung and Pyungyang regions. But the differences in the shape of whakwan of the two regions show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stumes in Korea. The third type was most likely to be used in the dance for palace banquets, but it is necessary to further investigate whether shamans actually wore this type of whakw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