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홍시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37초

중풍치료(中風治療)에서 충류약(蟲類藥)의 활용(活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A Literature Study of the Effect of Hirudo, Lumbricus, Scolopendra, and Scorpio on Apoplexy)

  • 홍시내;신현철;정지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7-122
    • /
    • 1996
  • Apoplexy is a disease of a morbid condition manifested as sudden syncope, unconciousness, distortion of face, hemiplegia and dysphasia, usually seen in the middle-aged. The symptoms and signs before sudden onset are headache, dizziness, numbness of extremities, palpitation, etc.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e causes of disease, therapies and prescriptions by insect medicine through the successive medical literatures, recent chinese medical literatures and chinese medical journ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reatment of apoplexy is divided into stage of attack and sequela. In stage of attack, the principal therapies of apoplexy are calming the liver, suppressed Yang, dissipate phlegm and elimination weatness. In sequela, the principal therapies of apoplexy are invigorating Qi, promote blood circulation and dredge collateral. 2. Insects medicine have more strong effect than herbal medicine, because apoplexy is a kind of critically desease. 3. Insects medicine is effective in a convalscent stage and sequela of apoplexy. The proper dosage for stage of attack is a small dose of insects medicine(about 2-4g), increse gradually. In convalscent stage, about 4g, in sequela, patients need a large dose of insects medicine(about 8g). 4. Hirudo used to remove stagnated blood and to disperse swelling for the treatment of severe cases of blood stasis, such as cerebral infarction, sequela of cerebrovascular accident, contused wounds. Lumbricus used to for the treatment of convulsions due to high fever, and for hemiplegia and hypertension. Scolopendra used to subdue the endogenous win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kinds of tics, convulsions and tetanus, and it's character is strong because it will be effective Sthenia-Syndrome of apoplexy. Scorpio used to subdue the endogenous win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kind of tics, convulsions, tetanus and sequela of cerebrovascular accident.

  • PDF

강원지역의 고등균류기 (I) -수종 미기록종에 대하여- (Notes on the Higher fungi in Kangwon-do (I) - on Some Unrecorded Species -)

  • 김양섭;석순자;성재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153-162
    • /
    • 1998
  • 강원도 지역에 발생하는 버섯류의 유전자원에 대한 종다양성 및 분포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6년 $5{\sim}10$월까지 치악산 주위에서 5회 채집한 버섯과 1996년 이전에 오대산, 가리왕산 등지에서 수집된 건조표본 120점을 합하여 총 454점을 육안 및 현미경에 의한 형태적 특징을 관찰하였고, 최신 분류체계에 따라 종을 동정하였다. 조사결과 195종이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미분류 표본은 다음을 위하여 농과원 표본실에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강원지역에 자생하는 버섯류의 종 다양성 및 분포상에 대해서는 앞으로 $2{\sim}3$년 더 조사한 후 자료를 보충하여 보고하고자 하며, 본 논문에서는 한국미기록 종만 기술하였다. 확인된 버섯류 중 한국미기록 5종 왕주름패랭이버섯(신칭) Gerronema strombodes (Berkeley & Montagne.) Singer; 벽돌깔때기버섯(신칭) Clitocybe sinopica (Fr.: Fr.) Kummer; 홍시애주름버섯(신칭) Mycena acicula (Fr.) Quel. 솔방울버섯속 Baeospora Sing.; 연보라솔방울버섯 (신칭) Baeospora myriadophylla (Peck) Sing.; 여주씨갓버섯(신칭) Lepiota grangei (Eyre)Lge. 등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한 한국명을 신칭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맥류(麥類)에 발생(發生)하는 Ustilago nuda 및 Pyrenophora graminea에 대한 종자(種子) 소독(消毒)에 관한 연구(硏究) (Control of Seed-borne Infection of Ustilago nuda and Pyrenophora graminea on Barley)

  • 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9-94
    • /
    • 1980
  • 맥류(麥類)의 겉깜부기병(라흑종병(裸黑種病))과 줄무늬병(반엽병(班葉病))에 대한 종자(種子) 소독(消毒) 효과(效果)를 보기 위하여 자연이병(自然罹病)된 종자(種子)에 Baytan외(外) 13종(種)의 엽제(葉劑)를 처리(處理)한 다음 포장(圃場)에 파종(播種)하여 발병상황(發病狀況)을 조사(調査)하였다. Sisthane 및 Benlate T는 겉깜부기병과 줄무늬병에 대하여 Vitathiram과 같은 방제효과(防除效果)를 나타냈으며, Baytan U는 겉깜부기병에는 효과적(效果的)이었으나 줄무늬병에는 효과(效果)가 떨어졌다. P242는 줄무늬병에는 좋은 약효(藥效)를 나타냈으나 겉깜부기병의 발생(發生)을 막는데는 효과(效果)가 적었으며, Busan 30은 겉깜부기병과 줄무늬병에 대하여 Vitathiram에 비해서 효과(效果)가 불안정(不安定)하였다. 홍시약제(洪試藥劑)로 처리한 보리 쌀보리 및 밀을 실내(室內)서에 발아상(發芽箱)에 키웠을 때 Sisthane과 Baytan U의 고농도처리구(高濃度處理區)에서는 뿌리뒤틀림 현상으로 생육(生育)의 저해(沮害)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노인 자살의 연구 동향 분석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Elderly Suicide in Korea)

  • 홍시명;강영실;김헌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52-5761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노인자살 관련 연구동향을 비교, 분석하여 노인자살 연구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하였다. 인터넷 학술정보 사이트인 RISS(한국교육학술정보원), KISS(한국학술정보(주)), Nanet(국회도서관)을 이용하여 1996년부터 2013년까지 발표된 논문 287편을 검색하였으며, 이 중 선정기준에 만족하는 국내 논문 184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논문들은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당 변수별 빈도와 백분율로 구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자살 연구들은 주로 사회복지영역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또한, 연구 개념과 키워드는 기존의 국내외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뒷받침 해주는 지표들(자살생각, 우울, 스트레스)이었다. 그러므로 기존 선행연구에서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독거노인, 빈곤노인, 자살시도 고위험군인 남자노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

제조의 혈전(血栓) 용해(溶解) 효소(酵素) 분리(分離) 및 그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ibrinolysis-related enzymes from Holotrichia extract)

  • 홍시내;정지천;김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98-209
    • /
    • 1999
  • A thrombus is a mass formed from the constituents of the blood within the vessels or the heart during life. The process of its formation is known as thrombosis, It has been generally accepted that Holotrichia is an useful medicine for thrombosis. The rate of fibrinolysis of Holotrichia extracts increase as incubation times. Especially 52 days, the effect on the extracts has an maximum increased fibrinolytic activity, Heat-and-pH-stability of the extract on fibrinolysis is relative to temperature, At $37^{\circ}C$, it has activating effect between pH 4 and pH 12. At higher temperature, especially $80^{\circ}C$, an excessive increase in temperature has a deactivating effect on the extracts. Optimal pH of the extract on fibrinolysis is between pH 7.0 and pH 8.5, it is effective within a relatively broad pH range. In experiments of various inhibitors of Holotrichia extracts fibrinolytic activity, there are strong inhibitive effect on SBTI and Aprotinin, and a few inhibitive effect on DFP and t-AMCHA, no effect on PSMB and TLCK. Holotrichia extracts mixing with fibrinogen are observed Electron microscopy. it shows partially erosive-shaped fibrinolytic activity. In a SDS-PAGE of the extract having the fibrinolytic activity, three bands are found, protein 1, 2 and 3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0,000, 45,000 and 60,000 Dalton.

  • PDF

CsI 단결정 섬광체의 열형광특성과 육성조건 (TL Characteristics of CsI Single Crystal Scintillators and their Growth Conditions)

  • 도시홍;이우교;홍시영;방신응;강갑중;김도성;김완;강희동
    • 센서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34-242
    • /
    • 1998
  • Czochralski 방법을 사용하여 격자결함이 적은 CsI 단결정 섬광체를 육성하기 위한 최적육성조건을 구하기 위하여 광투과율의 변화와 열형광특성을 이용하였다. 결정화과정을 반복할수록 불필요한 불순물 분포와 열형광강도 및 glow 피이크의 수가 감소하였다. 결정성장방향은 (110)이었고, 육성한 CsI의 결정구조는 체심입방체이었다. 그리고 격자상수는 $4.568{\AA}$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sI:3rd의 활성화 에너지(trap깊이)는 약 0.45 eV 이었고, 주파수인자는 $5.18{\times}10^5\;sec^{-1}$이었다.

  • PDF

조생종 추석용 단감 '초시' 육성 ('Chosi', Early Maturing Sweet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for 'Chuseok')

  • 마경복;조광식;강삼석;김윤경;황해성;최장전;한점화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24-427
    • /
    • 2019
  • 조생종 추석용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 2000년 '조홍시'에 '서촌조생'을 교배하여 얻은 실생묘를 전라남도 영암군 소재 배연구소 교배육성 포장에 식재하였고 그 중에서 과실 특성이 우수한 '00-10-135' 계통을 1차 선발하여 검토한 결과, 연차간 변이가 적고 특성이 우수하여 최종 선발하여 '초시'로 명명하였다. 과실의 숙기는 9월 19일경으로 조생종이며, 평균 과중은 161 g이고, 당도는 15.3 °Bx이었으며, 과즙이 많고, 과육이 아삭하여 식미가 우수하다. 과형은 편원형이고 과피색은 오렌지색으로 외관이 수려하고, 과정부 열과, 과피미세균열 등 생리장해가 발생하지 않아 재배관리가 쉽다(등록번호: 제7075호).

담수토양(湛水土壤)에서 수종유기물(數種有機物)의 시용(施用)이 타양성(他養性)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Various Carbon Sources on Heterotrophic Acetylene Reducing Activities of Submerged Soil)

  • 이상규;마쯔꾸치 타츠히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86-293
    • /
    • 1983
  • 한국(韓國), 일본(日本) 및 태국(泰國)의 논토양(土壤)을 홍시(洪試)하여 수종유기물(數種有機物)을 첨가(添加)했을 때 지양성(地養性)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고져 실내시험(室內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유기물(有機物) 첨가(添加)에 의(依)한 타양성(他養性) 질소고정(窒素固定) 미생물(微生物)의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Glucose > 볏짚 > 퇴비(堆肥)의 순으로 높고 3개토양간(個土壤間)에 현저(顯著)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2. 탄소(炭素) 1g당(當)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토양(土壤)에 따라 상이(相異)하나 담수(湛水)30일간(日間) 췌동(萃東)(한국(韓國)) 2.20mg, 홍소(鴻巢)(일본(日本)) 0.80mg, 그리고 Ratchaburi 토양(土壤)(태국(泰國))이 0.85mg/100g이였다. 3. 논토양(土壤)의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근래(近來) 수년간(數年間) 유기물(有機物) 및 화학비료(化學肥料)를 전혀 시용(施用)하지 않은 토양(土壤)(Ratchabur) 및 화학비료(化學肥料)만을 시용(施用)한 토양(土壤)(홍소(鴻巢))에 비(比)하여 볏짚을 운용(運用)한 토양(土壤)(췌동통(萃東統))에서 현저(顯著)히 높았음. 4. 논토양(土壤) 질소고정미생물(窒素固定微生物)에 의(依)한 전질소(全窒素) 고정력(固定力)은 사질토양(砂質土壤)보다 식질토양(殖質土壤)에서 높으나 광합성(光合成) 질소고정(窒素固定) 미생물(微生物)에 의(依)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반대(反對)로 식질(殖質)보다 사질토양(砂質土壤)에서 높았다.

  • PDF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기반한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예측모형 (Prediction Model of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Men Living Alone Based on Ecological System Theory)

  • 홍시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2권2호
    • /
    • pp.57-68
    • /
    • 2017
  • 본 연구는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실제 자료간의 적합도를 검증함으로써,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켜주는 노인자살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chi}^2/df$, RMR, GFI, AGFI CFI, IFI, RMSEA 기준을 만족하여 가설적 모형을 수정없이 최종모형으로 확정하였다.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자아존중감이였으며, 요인에 대한 설명력이 55%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의 최종 결과변인으로 검정된 우울, 사회적 고립감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 가족결속력, 사회활동 참여,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맞춤형 노인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우선, 본 연구는 가정, 경로당, 종합복지회관을 이용하는 남자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장소에서 남자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확대 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설문의 내용이 민감하여 제대로 답변을 못하는 경우도 있어 심도있게 향후 질적연구를 제언하며, 본 연구에서 규명된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영향변인들을 근거로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한 맞춤형 노인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세균독소로 자극시킨 사람 섬유아 세포에서의 Interleukin-6와 Interleukin-8의 생성 (PRODUCTION OF IL-6 AND IL-8 IN HUMAN FIBROBLASTS STIMULATED WITH BACTERIAL TOXINS)

  • 홍시영;김욱규;김종렬;정인교;양동규;이성근;김광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4호
    • /
    • pp.332-344
    • /
    • 1999
  • Cytokines are hormone-like proteins which mediate and regulate inflammatory and immune responses. Interleukin-6 (IL-6) is involved in the final differentiation of B cells into antibody-producing cells. Interleukin-8 (IL-8) is a neutrophil chemotactic factor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cruitment of neutrophil to inflammatory loci. Inflammatory mediators by cells in the gingiva have been implicated in the initiation and progression of periodontitis and oral inf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popolysaccharide (LPS), staphylococcus enterotoxin B (SEB) on production of IL-6 and IL-8 by human gingival and facial dermal fibroblasts. Primary cultured human gingival and facial dermal fibroblasts were incubated with LPS (0.01, 0.1, $1.0{\mu}g/ml$), SEB (0.01, 0.1, $1.0{\mu}g/ml$) or LPS $(0.1{\mu}g/ml)$ plus SEB $(0.1{\mu}g/ml)$. Culture supernatants were collected at 24, 48, and 72 hrs and assessed for IL-6 and IL-8 production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IL-6 production in gingival fibroblasts stimulated with LPS was higher than that with SEB. IL-6 production by double exposure with LPS plus SEB was amplified in comparison with single exposure of LPS or SEB. IL-6 production in facial dermal fibroblasts was increased only by stimulation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LPS $(1.0{\mu}g/ml)$. Its production in facial dermal fibroblasts by exposure with SEB was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nontreated cells. Therefore, gingival fibroblasts showed higher sensitivity than facial dermal fibroblasts in response to low concentration of LPS. Also, IL-6 production by double exposure with LPS plus SEB was amplified in comparison with single exposure of LPS or SEB. IL-8 production in gingival fibroblasts was enhanced greatly only by stimulation of high concentration of LPS $(1.0{\mu}g/ml)$. That by exposure with SEB was increased only in 24 hrs cultivation. IL-8 production by double exposure with LPS plus SEB was amplified in comparison with single exposure of LPS or SEB. IL-8 production in facial dermal fibroblasts was decreased by LPS and increased only in 48 hrs cultivation by SEB. IL-8 production by double exposure with LPS plus SEB was enhanced only in 48 hrs cultivation in comparison with single exposure of LPS or SEB. therefore, IL-6 and IL-8 production were released at various quantities according to bacterial toxin applied and site of fibroblast harves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gival fibroblasts may be concerned with IL-6 and IL-8 related inflammatory response more than facial dermal fibroblas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