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홍수 유량

Search Result 1,29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Hydrologic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an Infiltration Planter for Roof Runoff Use (지붕 빗물이용을 위하여 개발된 침투화분의 환경·수문학적 평가)

  • Moon, So-Yeon;Choi, Ji-Yeon;Hong, Jung-Sun;Yu, Gi-Gyung;Jeon, Je-Chan;Flores, Precious Eureka D.;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7 no.4
    • /
    • pp.325-331
    • /
    • 2015
  • Due to urbanization and increase in impervious area, changes in natural water circulation system have become a cause of groundwater recharge reduction, streamflow depletion and other hydrological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the infiltration planter techniques applied in an LID facility treating roof stormwater runoff such as, performance of small decentralized retention and infiltration through the reproduction of natural water circulation system and use of landscape for cleaning water. Assessment of an infiltration planter was performed through rainfall monitoring to analyze the water balance and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Hydrologic assessment of an infiltration planter, showed a delay in time of effluent for roof runoff for about 3 hours and on average, 79% of facilities had a runoff reduction through retention and infiltration. Based on the analysis,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generated in the catchment area showed an average of 97% for the particulate matter, 94% for the organic matter and 86-96% and 92-93% for the nutrients and heavy metals were treated, respectively. Comparative results with other LID facilities were made. For this study, facilities compared the SA/CA to high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for the determination to of the effectiveness of the facility when applied in an urban area.

Assessment of Depth-averaged Velocity Conversion Factors in a Natural River with Measured Velocities (자연하천의 유속측정에 의한 수심평균유속환산계수의 산정)

  • Kim, Young-Sung;Lee, Hyun-Seok;Yang, Jae-Rheen;Lee, Y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97-1901
    • /
    • 2010
  • 이동식 전자파표면유속계를 이용한 홍수유량의 산정을 위해서 임의의 유량측정지점에서 측정한 표면유속 값에 수심평균유속환산계수 0.85를 적용하여 그 지점의 평균유속을 계산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각 지점에서 흐름조건 및 기상학적으로 요인으로 인한 이 계수의 변동성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로 유량을 산정하게 되어 각 흐름조건을 고려한 유량산정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하천 현장에서 표면유속과 수심별유속의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흐름조건에 따른 표면유속과 평균유속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용담 수자원시험유역의 동향지점에서 하천을 횡단하며 바닥에서 수표면까지 수심방향으로 0.05~0.10 m의 간격으로 프로펠러 유속계를 이용하여 정밀법으로 각 수심에서의 유속을 측정하였다. 정밀측정된 수심별 유속을 이용하여 평균유속을 산정하고 이를 수체 (water column)의 가장 최상층에서 측정한 유속을 표면유속으로 가정한후 이로부터 수심평균유속환산계수를 산정하여 흐름조건에 따른 계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하천 현장에서 흐름조건의 변화에 따른 표면유속과 수심별유속의 정밀측정을 통한 이들 깊이별 유속의 변화여부를 용담수자원시험유역의 동향지점에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당시 풍속이 느려서 (1.5~3.1 m/s) 바람으로 인한 유속에 미치는 영향이 수심별 유속분포상으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양안에서 평균유속과 표면유속이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는데 이는 벽면 마찰에 바닥마찰의 영향이 추가됨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수심별 유속측정 결과를 전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환산계수가 0.632~1.352로 넓게 분포하고 있다. 환산계수가 1.0 이상인 경우는 양안에 인접한 두 지점인데, 이들 두 경우는 유속분포가 이론적인 유속분포와는 상반된 유속이 측정 - 표면유속이 수심평균유속보다 느림 - 되었다. 환산계수가 0.6~0.8 사이에서 형성된 경우는 표면유속이 평균유속보다 25~55% 정도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전제 측정결과를 검토해보면, 전반적으로 양안에 인접한 측선에서 표면유속이 평균유속보다 느려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유속이 1.0 m/s 이상인 경우에 0.677~0.790의 환산계수 값을 보이는데 이 경우 수심이 50 cm 이하여서 바닥마찰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흐름조건별 표면유속과 수심별유속의 측정을 할 수 있는 현장여건 - 유속, 수위 등의 동일흐름 조건에 대해서 -에 많은 부분이 제약되어 이의 정밀분석이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현장측정시의 제약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흐름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정밀제어가 가능한 실내실험장치를 이용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 PDF

Baseflow Comparison using the WHAT system and Flow Rate Measurements in the Dry and Rainy Seasons (건기 및 우기 때의 WHAT system과 유량측정에 의한 기저유출량 비교)

  • Nam, Koung-Hoon;Kim, Gyoo-Bum;Jeong, Gyo-Cheol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3 no.2
    • /
    • pp.117-125
    • /
    • 2013
  • Flooding of riparian groundwater caused by changes in rainfall patterns has become a critical problem in areas of agricultural and arable land. Therefore, quantitative analysis of direct runoff and baseflow,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flow rate of a river, is required to clarify the flooding mechanisms of riparian groundwater. In this study, baseflow obtained using the WHAT system of hydrograph analysis based on Web GIS, and baseflow measured from direct runoff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Baseflow during the rainy season was 0.489 $m^3/s$ on 17 July 2012, 0.260 $m^3/s$ on 18 July 2012, and 0.279 $m^3/s$ on 19 July 2012, while that during the dry season was 0.006 $m^3/s$ on 6 March 2013 and 0.009 $m^3/s$ on 30 March 2013. The results show that an increase in baseflow occurred during the rainy season in the alluvial area of a riparian zone, and that the measurement error was less during the dry season than during the rainy season.

Development of Three-Dimensional Cohesive Sediment Transport Model and Diffusion of Suspended Sediment at Suyoung Bay (3차원 점성토(粘性土) 운송(運送) 모델의 개발(開發)과 수영만(水營灣)의 부유물질 확산)

  • Kim, Cha Kyum;Lee, Jong Sup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3 no.1
    • /
    • pp.179-192
    • /
    • 1993
  • Three-dimensional cohesive sediment transport model, COSETM-3, is develpoed using a finite difference method. The mode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physical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relative concentration with time at the mid-depth of the recirculating flume and are found to be in good agreement. This model is applied to Suyoung Bay in Pusan of Korea to verify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model and to investigate on the SS (suspended solids) diffusion phenomena at the bay. Behaviors of discharging SS from Suyoung River at normal river flow and flood river flow are predicted. The numerical results appear to be reasonable and qualitative agreement with field data. The influence of settling velocity on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SS is also investigated. In case of not considering settling velocity, SS concentration at surface layer is higher than that at lower layer, but in case of considering settling velocity, SS concentration at lower layer is higher than that at surface layer. The fluctuation of SS concentration at surface layer is large due to the strong mixing, but the fluctuation of the concentration at lower layer is small due to the weak mixing. SS diffusion patterns at flood river flow are similar to those at normal river flow, while the concentration at that flow is so much higher than that at this flow. SS concentration increases with time until the peak discharge occurs, but the concentration decreases with time with decreasing river flow after the peak discharge.

  • PDF

Simulation of Operation Effects of Stormwater Retention Facility (우수저류시설의 운영효과 모의)

  • Lee, Kil-Seong;Chung, Eun-Sung;Shin, Mu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809-813
    • /
    • 2006
  • 현재 대도시 인근지역의 농업용 저수지는 도시화로 인해 농경지가 많이 줄어들어 존재의의를 잃어가고 있으며 관리주체 또한 운영과 관리를 적극적으로 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저수지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경우 도시화로 인한 건기의 유지용수 부족을 해결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양천 중상류 유역에 대해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우수저류시설에 대한 운영효과를 분석하였다. 현존하는 오전 $(57,000m^3)$, 백운$(160,000m^3)$, 삼성$(40,000m^3)$ 저수지에 대해 존재하지 않을 경우와 존재할 경우의 유황곡선을 비교하여 저류시설로 인한 수문현황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오전저수지의 경우 오전천 하류 기준으로 갈수량이 0.00002 CMS에서 0.00052 CMS로, 저수량은 0.00369 CMS에서 0.00419 CMS로 증가하였으며, 백운저수지의 경우 학의천 하류기준으로 갈수량이 0.057 CMS에서 0.060 CMS로, 저수량은 0.102 CMS에서 0.105 CMS로 증가하였으며, 삼성저수지의 경우 삼성천 하류기준으로 갈수량이 0 CMS에서 0.001 CMS로, 저수량은 0 CMS에서 0.003 CMS로 증가하였다. 또한 각각의 저수지에 대해 건기의 유지용수를 위해 일정량 방류를 할 경우 어떻게 변화하는지 비교하였다. 운영을 개선할 경우 오전 저수지의 경우 갈수량이 0.00052 CMS에서 0.01002 CMS, 백운저수지의 경우 0.060 CMS에서 0.160 CMS, 삼성저수지의 경우 0.001 CMS에서 0.007 CMS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하천의 유지유량 확보를 위해 저수지를 신설하거나 기존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용량 확장 및 수문설치 등 재개발을 할 경우 유역의 갈수 시 물순환이 보다 향상될 것이다.>에서 $0.0190m^3/s$로, 갈수량$(Q_{355})$$0.0176m^3/s$에서 $0.0189m^3/s$로 약 7%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로부터 침투 트렌치는 저수량 및 갈수량을 증가시키는 보조수단이 될 수 있다.해 보았다.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역의 물순환 과정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으로 추정되었다.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식시

  • PDF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of polynomial regression equation for Huff's quartile method of design rainfall (설계강우량의 Huff 4분위 방법 다항회귀식에 대한 유의성 검정)

  • Park, Jinhee;Lee, Jaejoon;Lee, Sung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3
    • /
    • pp.263-272
    • /
    • 2018
  • For the design of hydraulic structures, the design flood discharg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frequency is generally used by using the design storm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ainfall-runoff relationship. In the past, empirical equations such as rational equations were used to calculate the peak flow rate. However, as the duration of rainfall is prolonged, the outflow patterns are different from the actual events, so the accuracy of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the probability rainfall becomes important. In the present work, Huff's quartile method is used for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rainfall, and the third quartile is generally used. The regression equation for Huff's quadratic curve applies a sixth order polynomial equation because of its high accuracy throughout the duration of rainfall. However, in statistical modeling, the regression equation needs to be concis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simplicity, and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regression coefficient based 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for regression equation for temporal distribution of the Huff's quartile method, which is used as the temporal distribution method of design rainfall, is conducted for 69 rainfall observation station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regression equation of the Huff's quartile method can be considered only up to the 4th order polynomial equation, as the regression coefficient is significant in most of the 69 rainfall observation stations.

Flood Simulation using Vflo and Radar Rainfall Adjustment Data by Statistical Objective Analysis (통계적 객관 분석법에 의한 레이더강우 보정 및 Vflo를 이용한 홍수모의)

  • Noh, Hui Seong;Kang, Na Rae;Kim, Byung Sik;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2
    • /
    • pp.243-254
    • /
    • 2012
  • Recently, the use of radar rainfall data that can help tracking of the development and movement of rainfall's spatial distribution is drawing much attention in hydrology. The reliability of existing radar rainfall compared to gauge rainfall data on the ground has not yet been confirmed and so we have difficulties to apply the radar rainfall in hydrology. The radar rainfall for the applications in hydrology are adjusted merging method derived from gage. This study uses the Mean-Field Bias (MFB) and Statistical Objective Analysis (SOA) as correction methods to create adjusted grid-based radar rainfall data which can represent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This study used a storm event occurred in August 2010 for the adjustment of radar rainfall. In addition, the grid-based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Vflo), which enables more detailed examinations of spatial flux changes in the basin rather than the lumped hydrological models, has been applied to Gamcheon river basin which is a tributary of Nakdong River located in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and the basin area is $1005km^2$. The simulated runoff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runoff in an attempt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radar rainfall data and the reliability of the correction methods. The error range of peak discharge using each correction method was within 20 percent and the efficiency of the model was between 60 and 80 percent. In particular, the SOA method showed better results than MFB method. Therefore, the SOA method could be used for the adjustment of grid-based radar rainfall and the adjusted radar rainfall can be used as an input data of rainfall-runoff models.

Estimation or Threshold Runoff on Han River Watershed (한강유역 한강유출량 산정)

  • Kim, Jin-Hoon;Bae, Deg-Hy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2 s.163
    • /
    • pp.151-160
    • /
    • 2006
  • In this study, threshold runoff which is a hydrologic component of flash flood guidance(FFG) is estimated by using Manning's bankfull flow and Geomorphoclimat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GcIUH) methods on Han River watersh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and 3' Digital Elevation Model database have been used to prepare the basin parameters of a very fine drainage area($1.02\~56.41km^2$), stream length and stream slope for threshold runoff computation. Also, cross-sectional data of basin and stream channel are collect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of regional regression relationships and then those are used to estimate the stream parameters. The estimated threshold runoff values are ranged from 2 mm/h to 14 mm/6hr on Han River headwater basin with the 1-hour duration values are$97\%$ up to 8mm and the 6-hour values are $98\%$ up to 14mm. The sensitivity analysis shows that threshold runoff is more variative to the stream channel cross-sectional factors such as a stream slope, top width and friction slope than the drainage area. In comparisons between the computed threshold runoffs on this study area and the three other regions in the United States, the computed results on Han River watershed are reasonable.

Flow Characteristic Analysis in Meandering Channels by the Numerical Analysis (수치해석에 의한 사행하천에서의 흐름특성 해석)

  • Son, Ah-Long;Han, Kun-Yeun;Huh, Yun-Hyoung;Ryu,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48-252
    • /
    • 2010
  • 홍수기 호우로 인한 피해는 대부분 하천구역에서 발생되며, 이러한 피해는 인간에게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자연 상태의 하천형상은 대부분 호우로 인한 홍수로 인해 자연스럽게 만들어지게 되며, 대부분 사행하천의 형태를 띠게 된다. 사행하천에서의 흐름의 기하학적 특성은 성장이나 사멸, 또는 두 가지 모두의 형태를 보인다. 사행하천에서의 흐름 및 유속 분포는 하천제방 보호, 주운, 취수, 그리고 유사 이동 및 퇴적 패턴과 관련하여 실용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여야 하는 하천수리학에서는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그리고 사행하천은 특히 만곡부가 교호적으로 나타나는 곳에서의 흐름구조가 매우 복잡하다. 이러한 사행하천에서는 회전방향이 교호적으로 바뀌는 나선형의 흐름(2차류)이 3차원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행하천이 많은 국내 하천특성을 고려하여, 하천 만곡부에서의 흐름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2차원 CCHE2D 와 3차원 FLOW3D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가상 하도에 대하여 수리모형 실험의 실측치와 비교하여 모형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남강댐 하류에 대하여 만곡부의 흐름특성(유속 분포 및 최대유속경로, 수위분포, 2차류 거동, 편수위, 전단응력 분포 등)을 분석함으로써, 하천 만곡부에서의 수리적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모의 분석결과 동일 하도에 대하여 유량을 변동시킬 경우, 유량이 증가할수록 만곡부에서의 수리영향이 더욱 뚜렷해짐을 알 수 있었고 2차원 모형보다 3차원모형의 결과의 정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곡률반경이 1,300~1,600 정도인 실제하천에 적용한 결과, 수위의 경우 2차원 결과가 3차원 결과보다 최대 3%정도 수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상관계수가 평균 0.91의 값을 보이고 있어 2차원모형과 3차원모형의 결과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흐름 분석을 통해서 만곡부에서의 최대유속은 최정점(apex)에서 보다는 오히려 최정점 이전 하도의 내측에서 발생하였으며, 정점에서의 종단유속은 감소하지만 횡단유속은 오히려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하천설계시 사행하천의 제방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종단유속 뿐만 아니라 횡단유속 또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남강댐 하류 만곡부에서의 내측 및 외측의 수위를 분석한 결과, 제방 외측의 수위가 평균수위에 비해 최대 약 37cm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만곡부에 대한 하천제방설계시 좌, 우안의 여유고를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보다는 만곡에 따른 흐름특성을 분석하여 설계에 적용하여야 안정성 및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Distortion Correction Technique in Tilted Image for River Surface Velocity Measurement (하천 표면영상유속 측정을 위한 경사영상 왜곡 보정 기술 개발)

  • Kim, Hee Joung;Lee, Jun Hyeong;Yoon, Byung Man;Kim, Seo J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8 no.2
    • /
    • pp.88-96
    • /
    • 2021
  • In surface image velocimetry, a wide area of a river is photographed at an angle to measure its velocity, inevitably causing image distortion. Although a distorted image can be corrected into an orthogonal image by using 2D projective coordinate transformation and considering reference points on the same plane as the water surface, this method is limited by the uncertainty of changes in the water level in the event of a flood.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tilt image correction technique that corrects distortions in oblique images without resetting the reference points while coping with changes in the water level using the geometric relationship between the coordinates of the reference points set at a high position the camera, and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water surface and the camera. Furthermore, we developed a distortion correction method to verify the corrected image, wherein we conducted a full-scale river experiment to verify the reference point transformation equation and measure the surface velocity.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s, the proposed tilt image correction method was found to be over 97% accurate, whereas the experiment result of the surface velocity differed by approximately 4% as compared to the results calculated using the proposed method, thereby indicating high accuracy. Application of the proposed method to an image-based fixed automatic discharge measurement system can improve the accuracy of discharge measurement in the event of a flood when the water level changes rapi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