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홍수심도

Search Result 43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Flood Level Variability Assessment by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Storm Sewers (우수관로 수리특성에 따른 홍수위 변동성 평가)

  • Park, Jongpyo;Sim, Inkyeong;Yun, Hye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6-426
    • /
    • 2021
  • 우수관로의 수리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매개변수 중 조도계수 변화에 따른 첨두 수위 변동성을 SWMM으로 분석하고 수위 관측자료와 비교 검증하였다. 모형 적용 조도계수의 범위는 0.015 ~ 0.120이며 0.003 단위로 증가시키며 총 12개 CASE에 대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검토 대상지점은 서울시 방배1, 봉천1, 길동, 신림4, 방배2, 오류1, 천호 배수분구이다. 조도계수 증가에 따른 관내 수위 변동성 검토결과. 방배1 배수분구 22-0001 지점의 경우 조도계수가 0.015에서 0.120으로 증가하면 첨두 수위는 최대 70.3% 높아졌으며 길동 배수분구 25-0003 지점의 경우 103.3%, 신림4 배수분구 21-0002 지점의 경우 78.8% 수위가 상승하였다. 즉, 물리적으로 관로의 조도계수가 증가하면 유속이 감소되고 수위가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상류 인접관로에 만관으로 인한 침수가 발생하는 경우 조도계수가 증가하여도 수위가 상승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봉천1 배수분구 21-0004 지점의 경우 조도계수가 0.045를 초과할 때 상류관에서 만관 발생으로 압력관이 형성되며 이러한 영향으로 수위가 상승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배2 배수분구의 22-0003 지점, 천호 배수분구의 25-0002 지점의 경우 상류관 침수발생으로 첨두 수위의 역전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관로 내 조도계수 증가는 첨두 수위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며 최대 2배까지 수위가 상승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조도계수 상승에 따른 인접관(상류관) 만관 및 침수 발생의 원인으로 일부구간의 경우 수위가 감소하는 경우도 있다. 향후, 유역의 특성, 우수관로의 경사, 규모 등을 고려한 우수관로 수리특성에 따른 수위변동성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analysis of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for urban sewer system in Seoul (서울시 하수관로 방재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Hosoung;Sim, Jea Bum;Ahn, Joo Young;Yoo, Mi N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4-424
    • /
    • 2021
  • 서울시 전역의 하수관로는 4개의 처리구역, 16개의 배수구역, 163개의 배수분구, 748개의 소구역으로 분할하여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지선관로와 간선관로가 상이한 설계빈도로 계획되어 가장 작은 관리단위인 소구역에서도 일정한 방재성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구역을 동일한 토출구를 갖는 유역으로 재정의하여 서울시 전역을 799개의 소구역으로 재분할한 후, 소구역 단위로 하수관로 방재성능을 분석하였다. 서울시 하수관로 방재성능 분석을 위해 도시유출모형은 SWMM, 도시침수모형은 2DIS를 활용하였다. 도시유출모형에서는 113,286개의 관로와 106,097개의 맨홀을 적용하였으며, 수리시설물은 서울시 관내에 위치한 31개의 모든 빗물저류조와 121개의 빗물펌프장 중 가용 가능한 117개의 빗물펌프장을 적용하였다. 하수관로의 외수위 경계조건은 하천기본계획에서 제시한 방류하천의 기점홍수위를 반영하였다. 도시침수모형에서는 5m 단위의 고해상도 지형자료와 토지피복도를 적용하여 2차원 침수모의를 수행하였으며, 799개의 소구역에 대한 방재성능 분석을 수행하여 이를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서울시 하수관로 방재성능 분석 시스템에서는 799개의 소구역을 대상으로 소구역 정보, 하수관로 정보, 수방시설물 정보, 방재성능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소구역 정보는 해당 소구역에 대한 기본 정보 및 해당 소구역에 위치한 수리시설물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한다. 하수관로 정보에서는 관로 및 맨홀을 선택하여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수방시설물 정보에서는 빗물펌프장, 빗물저류조, 강우관측소, 하천수위관측소, 관로수위관측소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방재성능 정보에서는 시나리오별 침수결과를 제공하며, 포인트 단위 침수취약지역을 표출한다. 서울시 하수관로 방재성능 분석 시스템은 하수도 정책 입안과 하수도 관련 사업 추진 시 데이터 기반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 업무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Bivari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using copula function (Copula 함수 기반의 이변량 가뭄빈도 해석)

  • Lee, Jeong Ju;Kim, Ha Yung;Kwon, Moon Hyuck;Kwon, Hyun 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09-309
    • /
    • 2022
  • 특정 극치사상 자료에 대한 특성 분석 시 수문자료에 대한 빈도해석은 일반적으로 단일 확률 변수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단변량 해석 방법이 활용된다. 그러나 두 가지 이상의 변량이 서로 상관성을 가지는 경우 다변량 빈도해석이 요구되며, 이를 단변량으로 해석하는 경우 재현기간의 과소추정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변량 빈도해석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Kwon and Lall, 2016; Vaziri et al., 2018). 특히, 가뭄의 경우, 강도(intensity)뿐만 아니라 지속기간, 심도도 매우 중요한 인자로 고려되고 있다. 특히, 가뭄지속기간과 심도의 경우 두 인자 간의 상관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단변량(univariate) 가뭄빈도해석 보다 다변량으로(multivariate) 가뭄빈도해석을 수행하는 것이 가뭄위험도 평가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Shiau and Shen, 2001; Kim et al., 2017). 따라서 이 둘을 결합한 빈도 해석을 위해 Copula Function을 이용한 다변량 빈도 해석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홍수의 경우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수량 계열을 이용한 빈도해석 과정이 지침으로 정립되어 수자원 설계 실무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가뭄은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침 및 분석 도구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환경부와 국가가뭄정보분석센터에서는 '20년도에 단변량 가뭄빈도 해석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작·배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의 특성을 대변하는 상관도 높은 두 인자인 가뭄 심도(severity)와 가뭄 지속기간(duration)이라는 두 가지 특성을 함께 고려해 이변량(bivariate) 가뭄 빈도를 해석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확률분포형을 이용한 최적 주변 확률분포형 선정과 최신 Copula Function들을 이용한 최적 결합확률분포 추정을 통해 신뢰도 높은 2변량 가뭄빈도 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였으며, 테스트 버전 배포 등을 거쳐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예정이다.

  • PDF

Prediction of water level in sewer pipes using LSTM algorithm (LSTM 알고리즘을 활용한 하수관로 수위 예측)

  • Lim, Heesung;An, Hyunuk;Lee, Hyojin;Song, Inhyeok;Lee, Yo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17-117
    • /
    • 2022
  • 범지구적인 기후변화로 인하여 도시유역의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기상이변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시지역의 침수 등의 자연재해 증가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수도의 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면 문제가 없지만 이상기후로 인한 기록적인 폭우에 의해 침수가 발생하고 있다. 홍수 및 집중호우와 같은 극치사상의 발생빈도가 증가됨에 따라 강우사상의 변동에 따른 하수관로의 수위를 예측하고 침수에 대해 대처하기 위해 과거 수위에 따른 수위 예측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에서 제공하는 서울시 하수관로 수위 현황 자료를 활용하여 하수관로 수위 예측을 확인해 보았다. 대상자료는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위치한 하수관로 수위 자료로,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에서 제공하고 있는 2012년 ~ 2020년 25개 구 데이터 중 가장 누락데이터가 적은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수관로 수위 예측에는 딥러닝 알고리즘RNN-LSTM 알고리즘을 활용하였으며, RNN-LSTM 알고리즘은 하천의 수위 예측에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 바 있다. 하수관로 수위 예측에 앞서 1분 단위로 수집된 수위 데이터를 5분 평균, 5분 스킵자료, 10분 평균, 10분 스킵 등 비교를 위해 데이터를 구분하여 학습에 활용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을 위해 하수관로 수위값 변동이 심한 1주일을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는Google에서 개발한 딥러닝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인 텐서플로우를 활용하였으며, 하수관로 수위 고유번호 25-0001을 대상으로 예측을 하였다. 학습에는 2012년 ~ 2018년의 하수관로 수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모형의 검증을 위해 결정계수(R square)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ewer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Seoul (서울시 하수관로 성능관리시스템 개발)

  • Shim, Jea Bum;Gang, Tae Hun;Ahn, Joo Young;Lee, Byo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01-301
    • /
    • 2022
  • 최근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국지성 집중호우 발생빈도와 총강우량이 증가하고 있다. 서울시와 같이 대부분의 지역이 도심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하천범람으로 인한 홍수피해 뿐만 아니라 하수관로의 성능부족으로 인해 침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서울시에서는 피해를 최소화하고 대응수준 향상을 위해 침수지역 및 통수능 부족 관로 예측이 가능한 서울시 하수관로 성능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서울시 하수관로 성능관리시스템에서는 유역특성과 방류구를 기준으로 결정한 603개 소유역 단위로 하수관로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시스템은 소유역, 하수관로, 수방시설물, 방재성능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소유역 메뉴에서는 603개 소유역별 제원정보, 하수관로 및 수방시설물 개수, 관측소 개수 등의 정보를 제공하며, 하수관로 메뉴에서는 소유역 내 600mm 이상의 관로 및 맨홀에 대한 제원정보를 제공하고, 수방시설물 메뉴에서는 소유역 내 빗물펌프장, 빗물저류조, 관측소에 대한 제원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방재성능 메뉴에서는 총강우량, 기점수위, 빗물받이효율을 반영한 40개 시나리오 기반의 관로 단위 통수능 정보와 소유역 단위 침수 정보를 제공한다. 방재성능 및 침수정보 제공을 위해 분석모델은 1차원 관망해석에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과 2차원 침수해석에 2DIS(2Dimension Inundation Solution)를 활용하였다. 적용자료는 서울시 내 600mm 이상의 우수관로체계, 빗물펌프장, 빗물저류조 등 수방시설물고, 5m 단위 고해상도 지형자료를 적용하였다. 서울시 하수관로 성능관리시스템은 현재 서울시 현업에서 활용 중에 있으며, 지속적인 운영과 개선을 통해 추후에는 하수관로 운영 및 관리의 효율성 증대와 데이터에 근거한 하수관로 정책입안과 하수관로 관련사업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Human Impact on Sedimentary Environment of Estuarine Coastal Salt Marches, Southern Coastal Region of Korea Peninsula (인위적 환경변화에 따른 해안지역 퇴적환경의 변화)

  • 박의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6 no.2
    • /
    • pp.111-125
    • /
    • 2001
  • An estuary is semi-inclosed inlets, located between terrestrial and marine environment. Since many estuaries along south-western coasts of Korean peninsula were affected by human settlements and activities, significant changes in sedimentation environments have been observed. The research area is divided into three distinct morpho-stratigraphic units: fluvial dominated area(Area1), mixed area(Area 2), tide-dominated area(Area3). The landform of this area has been changed by reclamation and river channel change. Temporal variations affected by dam construction, periodic freshet was iterrupted. Sediments began to continuously accmulate on estuary banks by tide. Meanwhile, because of the continuous but reduced discharge of fresh water, the salinity of estuarine sediments was declined. That processes made vegetated area( Phregmites lonivalvis and Suaeda japonica) to be expanded. It indicates that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geomorphic processes has been significantly changed.

  • PDF

The Research of Storage Capacity & Sedimentation of Reservoirs in HONAM Province (호남지방에 저수지의 매몰상황과 저수량에 관한 조사연구(농학계))

  • 이창구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13 no.2
    • /
    • pp.2262-2275
    • /
    • 1971
  • Fourteenes rervoirs maintained by the local land improvement associations in the province of Chullabuk-Do and 20 reservoir maintained by thos in the province of Chullanam-Do, were surveyed in connection with a correction between storage capacity and sediment deposit. In addition to this survey, 3,347 of small reservoir, that lie scattered around in the above-mentioned two provinc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existing two provinc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existing records pertaining to storage capacity in the office of City and country, respectively. According to this investigation the following comclusions are derived. 1. A sediment deposition rate is high, being about $10.63m^3/ha$ of drainage area, and resulting in the average decreasc of storage capaity by 27.5%. This high rate of deposition coule be mainly attributed to the serve denudation of forests due to disorderly cuttings of trees. Easpecially, in small reservoir, an original average design storage depth of 197mm in irrigation water depth is decreased to about 140mm. 2. An average unit storage depth of 325.6mm as the time of initial construction is decreased to 226mm at present. This phenomena causes a greater shortage irrigation water, since it was assumed that original storage quantity was already in short. 3. Generally speaking, seepage rates through dam abutment intakepipe, etc, are high due to insuffici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reservoir. 4. It is recommended that sediment deposit should be dredged when a reservoir is dry in drought. 5. Farmers usually waste excessive irrigation water. 6. Water saving methods should be practiced by applying only necessary water for growing stage of rice. 7. In are as where water defficiency for irrigation is severe, a soil moisture content should be kept at about 70% by applying water once in several days. 8. Tube wells should be provided so as to exploit ground water and subsurface current below stream bed as much as possible. 9. If an intake weir was constructed, a water collection well should be built for the use in drought. 10. Water conservation should be forced by converting devastated forests contained in the drainage area of reservoir to protected forests so as to take priority of yrefor estation, gully control, the prohibition of disorderly cutting of trees, etc. 11. Collective rice nurseries should be adopted, and it should be recommended that irrigation water for rice nurseries is supplied by farmer themselves. 12. Sediment desposit in reservoir should be thoroughly dreged so as to secure a original design storage capacity. 13. The structure of overflow weir should be automatic so as to freely control flood level and not to increase dam height.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2-dimensional land surface flood analysis model using uniform square grid (정형 사각 격자 기반의 2차원 지표면 침수해석 모형 개발 및 평가)

  • Choi, Yun-Seok;Kim, Joo-Hun;Choi, Cheon-Kyu;Kim, Kyung-Ta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5
    • /
    • pp.361-37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wo-dimensional land surface flood analysis model based on uniform square grid using the governing equations except for the convective acceleration term in the momentum equation. Finite volume method and implicit method were applied to spatial and temporal discretization. In order to reduce the execution time of the model, parallel computation techniques using CPU were applied. To verify the developed model, the model was compared with the analytical solution and the behavior of the model was evaluated through numerical experiments in the virtual domain. In addition, inundation analyzes were performed at different spatial resolutions for the domestic Janghowon area and the Sebou river area in Morocco,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nalysis results using the CAESER-LISFLOOD (CLF) model. In model verification, simulation results were well matched with the analytical solution, and the flow analyses in the virtual domain were also evaluated to be reasonable. The results of inundation simulations in the Janghowon and the Sebou river area by this study and CLF model were similar with each other and for Janghowon area, the simulation result was also similar to the flooding area of flood hazard map. The different parts in the simulation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CLF model were compared and evaluated for each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an simulate the flooding well in the floodplain. However, in case of flood analysis using th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model by domain composition method, governing equation and numerical method should be fully considered.

Flow Characteristics and Riverbed Change Simulation on Bridge-intensive Section (교량밀집 구간의 흐름특성과 하상변동 모의)

  • Cho, Hong Je;Jeon, Woo Yeo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6B
    • /
    • pp.589-598
    • /
    • 2010
  • When the hydraulic structures, such as bridge and weir, are consecutively installed to a short section of a river with complicated cross section, analyzing the flow characteristics and the riverbed change modality of the river is very important. In the 250 m section of the Taehwa river near the Samho-bridge, which passes through Ulsan city, three bridges has been installed, and the tributary water is flowing into both up and downstream of the section. Due to these factors, when the flood occurs, the cross section of the river changes vastly by the water level change and scour. Even so, due to the fact that the Samho-bridge divides the section into two parts, the national river and the regional river, each part is being analyzed separately by the onedimensional model. In this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s due to the bridge concentration and the tributary water inflow were jointly analyzed for both up and downstream by using the one-dimensional HEC-RAS model and the two-dimensional SMS model, such as RMA2. The riverbed change modality of the section was also investigated by using the SED2D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ater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HEC-RAS and RMA2 was 0.87 m when applied to the three consecutive bridges. The riverbed change simulation using SED2D showed that the maximum scour was 0.231 m and it occurred at the Samho-bridge, which located in the middle and has short pier distance. In conclusion, when planning the river maintenance for the regions with concentrated bridges or the sections with severe changes in cross-section and flow, estimating the flood elevation by two-dimensional model and establishing countermeasures for the scouring of the bridge are required. In addition, an integrated analysis on both the national river and the regional river is necessary.

Pain and Factors Influencing Its Management in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말기 암환자의 통증 및 통증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Yun, Young-Ho;Heo, Dae-Seog;Kim, Hong-Soo;Ou, Sang-Woo;Yoo, Tai-Woo;Kim, You-Young;Huh, Bong-Yul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 no.1
    • /
    • pp.23-29
    • /
    • 1998
  • Purpose : Validity of WHO guideline of cancer pain management has been proven and many trials were done for resolution of inadequate management of cancer pain. We assessed the severity of pai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patient's characteristics influencing inadequate pain management. Methods : This study was done on 100 patients who was confirmed as terminal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lune 1997 to November. For getting the informations about dermographic and med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erformance and metastasis, and drug-adjusted pain severity the patient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interview the patients. we assessed the adequacy of prescribed analgesics with WHO guidelines of pain management, and patient's characteristics influencing on adequacy of pain management. Results : 85.0 percent of cancer patient had pain when diagnosed as terminal cancer and 68% of patient had pain above moderate severity. 38.0 percent of those were given inadequate pain management and the greater pain severity, the less adequate(P<0.001). Sex, age, primary site of cancer, metastasis,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and performance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 Despite guidelines for pain management, many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received inadequate pan management. Their is a need for education about evaluation of pain and guidelines of pain manag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