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합 치열기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1초

아동의 부착치은 폭경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IN CHILDREN)

  • 유인아;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2-134
    • /
    • 2000
  • 각화치은, 부착치은의 폭경, 치은열구의 깊이에 대해 성인에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아동에서의 연구는 드물었기 때문에, 유치열기, 혼합치열기 및 영구치열기의 모든 치아에 대하여 아동의 협측 각화치은 및 부착치은의 폭경과 치은열구 깊이에 대한 정상치를 구하고, 악골의 발육 및 치아의 맹출과의 관련성을 고찰하며, 점막치은 문제의 발현빈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유치열의 부착치은 폭경은 상악 유측절치 및 유견치에서 각각 3.50mm, 3.55mm로 최대값을, 하악 제1유구치에서 1.34mm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영구치열의 경우에는 상악 측절치에서 3.00mm로 최대값을, 하악 제1소구치에서 0.55mm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상하악 동명치아 비교시 상악 치아가 하악 치아보다 더 큰 값을 나타내었고, 남녀간 차이에는 특별한 규칙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2. 연령증가에 따른 부착치은 폭경의 변화 양상은 유치열의 경우 유견치, 제1유구치, 제2유구치에서 6세부터 증가하였다. 영구치의 경우 남자에서는 하악 중절치와 상악 제 1대구치의 측정값만이 연령에 따른 증가 추세를 나타냈으나(p<0.05), 여자에서는 상하악 중절치 측절치 및 상악 제1대구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각화치은 폭경의 증가 추세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5). 3. 치아교대기에서 부착치은 폭경의 차이는 남자 상악 중절치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유치에서의 측정값이 영구치에서의 측정값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6제부터 12세까지는 각화치은의 폭경과 치은열구의 깊이는 대부분 유치 초기값보다 그 계승영구치 최종값이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p<0.05), 부착치은의 폭경에서는 유치 초기와 그 계승영구치 최종값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점막치은 문제 발현 빈도는 남녀에 상관없이 유치열은 상하악 제 1유구치가, 영구치열은 상하악 모두 제 1소구치가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유치에서보다 그 대응 계승영구치에서 그 빈도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연령증가에 따라 점막치은 문제의 발현 빈도는 유치열, 영구치열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하악 제1유구치, 하악 영구 견치, 제1, 제2소구치의 경우 연령의 증가와 상관없이 비슷하게 유지되거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급속 구개확장을 이용한 상악 견치의 이소맹출 치료: 증례보고 (RAPID PALATAL EXPANSION FOR THE TREATMENT OF AN ECTOPICALLY ERUPTING MAXILLARY CANINE: CASE REPORTS)

  • 장수영;김지연;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73-481
    • /
    • 2010
  • 상악 견치 매복은 소아 청소년기 환자들에게서 흔하게 발견되는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구개측 매복이 순측 매복 보다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서양에서는 오히려 순측 매복이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보고에서는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상 상악 견치의 순측매복이 의심되는 8-10세의 혼합치열기 아동을 대상으로 급속 구개확장(rapid palatal expansion)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상악 측절치의 근원심 치근각도를 조절하여 매복 가능성이 있는 견치의 정상맹출을 유도할 수 있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건조 두개골에서 상악의 전방 견인후 상악 안면 복합체의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Spatial changes of the maxillofacial complex following maxillary protraction of human dry skull)

  • 전윤식;최장우;최승은;이성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25-434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유년기 건조 두개골에서 상악골 전방 견인 장치로 상악골의 저항중심을 지나는 힘을 가했을 때, 상악 골 복합체의 공간 변화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유치열기 혹은 초기 혼합 치열기로 추정되는 건조 두개골 4구를 사용하여 Delare의 facemask로 modified protraction headgear를 제작하였으며, 각각의 두개골에서 알지네이트 인상을 채득한 후 상악 스플린트를 제작하였다. 전방 견인력을 편측 당 1000gm씩 6시간 가하였다. 전방견인 전과 후 측모 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으며 정확한 중첩이 가능하도록 1.5mm 길이의 $.017\times.025$TMA wire를 사용하여 9개의 reference marker를 두개골 우측에 위치 시켰다. 본 연구를 통해 상악골 전방 견인시 상악골 복합체의 전방 이동과 더불어 수직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protraction headgear의 주된 효과는 상악골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 즉 구개상악부(palatomaxillary region)의 전하방 경사 이동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부분 치수절단술을 이용한 복잡 치관파절의 치료 : 증례보고 (TREATMENT OF COMPLICATED CROWN FRACTURE BY PARTIAL PULPOTOMY : CASE REPORTS)

  • 안병덕;김영재;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김정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24-332
    • /
    • 2008
  • 혼합 치열기 및 초기 영구치열기의 소아, 청소년에서 외상에 의한 치관 파절은 빈번하게 발생한다. 치관파절은 치수의 노출 유무에 따라 단순 치관파절, 복잡 치관파절로 분류된다. 치수가 노출된 복잡 치관파절의 경우 치수에 대한 고려 및 처치가 필수적인데, 초기 영구치열기에는 전치부 치근의 발육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완성된 치근을 가지는 치아보다 치료가 복잡하다. 치료의 목적은 적절한 치수 치료를 통해 치근의 완성을 도모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직접 치수복조술, 부분 치수절단술, 치경부 치수절단술의 방법을 이용한다. 이 중 부분 치수절단술은 성공률도 높으며 치경부 치수를 보존하기 때문에 여러 장점을 지니는 치료방법이다. 복잡 치관파절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부분 치수절단술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매복 구치부 치아의 교정적 이동 : 증례 보고 (ORTHODONTIC TRACTION OF IMPACTED POSTERIOR TEETH : CASE REPORTS)

  • 맹유진;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13-618
    • /
    • 2009
  • 구치부 매복은 1% 이내로 드문 편이지만 저위 교합, 반대 악궁 치아의 정출, 인접치 경사로 인한 공간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구치부 치아는 교합 및 악골 발육에 관여하는 기능적으로 중요한 치아이므로 초기 혼합 치열기부터 지속적인 방사선 사진을 찍어 매복 여부를 관찰해야 한다. 매복의 원인에는 치근 발육의 저하, 과잉치, 낭종, 치아종, 유착 등이 있다. 첫 번째 증례에서는 초진 시 치근 발육이 1/2이하라서 자발적 맹출을 기대하였지만 2/3이상 발육 시에도 맹출 하지 못하여 외과적 노출 및 교정적 견인을 시함하였다. 두 번째 증례는 낭종을 포함하는 매복 구치를 주소로 내원하였고 낭종 크기가 작고 인접 부위에 주요한 해부학적 구조물이 없어 완전한 적출술을 시행 후 교정적 견인을 하였다. 교정적 견인 시 해당 치아에 직접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붙인 후 악하고 지속적인 힘을 적용하는 것이 유착, 외흡수, 치주 부착 소실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고정식 장치를 사용하면 환자의 협조도가 필요 없고 맹출 공간을 확보하면서 호선상에 매복치를 견인 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매복 구치를 외과적 노출 및 교정적 견인을 통해 교합상으로 배열을 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의도적 재식술을 이용한 치관-치근 파절된 미성숙영구치의 치험례 (INTENTIONAL REPLANTATION OF CROWN-ROOT FRACTURED TOOTH WITH OPEN APEX)

  • 류정아;이제호;최병재;손흥규;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67-272
    • /
    • 2004
  • 본 증례에서는 치아외상으로 치관-치근 파절된 미성숙 영구치의 치료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7세 환아의 상악 좌측 중절 치의 치아 파절선이 치은연하로 치아장축을 따라 치아전체의 1/2까지 연장되어 있었다. 수직적 치관-치근 파절된 치아에서 그 예후는 불량하며 발치가 일반적인 처치이나 성장기 아동에서 상악중절치의 발치는 치조골 흡수, 심미적 문제, 발음문제 등 여러 합병증을 초래한다. 치은연하로 치관-치근 파절된 치아의 치료 방법으로 치은연상만 수복하는 방법과 치은판막을 형성하여 수복하여 주는 방법, 교정력을 이용하여 정출시키는 방법과 수술로써 발치하여 정출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치아를 의도적으로 발치한 후 접착용 레진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리된 치아 파절편을 부착한 후 재식하였다. 1년 동안 관찰한 결과 현재 특이한 임상적 증상은 없으며 심미적으로도 만족할 만하다. 접착용 레진 시스템의 개발과 함께 본 술식은 외상을 많이 받는 혼합 치열기 아동에서 치관-치근 파절된 미성숙 영구치의 한 치료법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유치의 이중치와 계승영구치의 발육에 관한 연구 (EFFECT OF PRIMARY DOUBLE TEETH ON THE DEVELOPMENT OF PERMANENT SUCCESSORS)

  • 라지영;김대업;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6-143
    • /
    • 2004
  • 이중치는 유치열에서 흔히 나타나는 발육 이상으로 후속 영구치의 결손, 융합, 형태 이상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 1월부터 9월까지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유치열기 및 혼합치열기 어린이 1,803명을 대상으로 유치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유형의 이중치를 악궁에서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고 그에 따른 영구치의 발육 이상을 평가하였으며 동시에 이중치의 치관 및 치근의 형태 및 융합 정도에 따라 이중치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Tannenbaum과 Ailing의 기준에 따라 이중치를 분류하고 그에 따른 영향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중치는 49명(2.7%)이었고, 이중 5명의 어린이에서 양측성 이중치를 보이고 있었으며, 세 개의 치관 및 치근을 보이는 삼중치를 갖는 경우도 1명에서 나타났다. 2. 이중치는 하악 치열에서 현저히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하악 유중절치와 유측절치가 융합된 경우 및 하악 유측절치와 유견치가 융합된 경우에서 유사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후속 영구치가 결손되는 빈도는 유중절치와 유측절치가 융합된 경우(23.8%)보다 유측절치와 유견치가 융합된 경우(73.9%)에서 훨씬 높게 나타났다. 3. 상악의 경우는 오직 유중절치와 유측절치 부위에서만 이중치가 발견되었는데, 이중 유중 절치와 유측절치가 융합된 경우(75%) 특히 후속 영구치의 결손 빈도가 높았다. 4 이중치의 유형별로는 융합된 두개의 치관 및 치근을 갖는Type IV의 발생율이 가장 높았고(51.9%) 이에 따라 후속 영구치도 높은 빈도로 결손되었다(60.7%). 하지만 영구치 결손 빈도만으로는 큰 치관과 큰 치근을 갖는 Type II에서 가장 높았다(75%).

  • PDF

상악 정중이개 치료시 rubber band의 부적절한 사용 (IMPROPER USE OF RUBBER BANDS TREATING MAXILLARY MEDIAN DIASTEMA : A CASE REPORT)

  • 최원혁;김은정;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25-530
    • /
    • 2005
  • 정중이개란 상악 중절치 사이의 치간이개를 말한다. 이는 혼합 치열기에서 ugly ducking stage에 흔히 관찰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견치가 맹출하면서 자연적으로 소실되므로 꼭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견치 맹출 후에도 정중이개가 2mm이하로 계속 존재하거나 견치 맹출 전이라도 3mm이상의 정중이개가 존재하는 경우에서는 치료의 적응증이 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심미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측절치와 견치의 맹출공간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교정치료가 권장된다. 정중이개 치료시 사용되는 장치물은 finger spring 등을 이용한 가철성 장치물과, 교정용 band, tube, bracket 등을 부착시켜 rubber elastics이나 coil spring 등을 사용하는 고정성 장치물로 나뉘어진다. 그러나 정중이개의 치료를 위해 rubber band를 band, tube, bracket 등과 같은 적절한 부가장치 없이 사용하면 rubber band가 치근은 따라 치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치주 인대를 파괴하며 치근단 부위에 이르러 치아동요, 치아정출 및 탈락 등 치아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본 증례는 정중이개의 치료를 위해 부적절하게 rubber band를 사용하여 외상을 받은 치아를 관찰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혼합치열기의 함치성 낭종 치료 시 영구치의 맹출과 자가치아이식 (ERUPTION AND AUTOTRANSPLANTATION OF A PERMANENT TOOTH RELATED TO DENTIGEROUS CYST IN MIXED DENTITION)

  • 최지욱;최종명;차인호;김형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6호
    • /
    • pp.462-466
    • /
    • 2009
  • Purpose: Dentigerous cyst is the most common intra-osseous lesion of the jaw. Dentigerous cysts can cause delays in eruption of the affected permanent tooth in mixed dentition.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affected permanent tooth could be erupted spontaneously after the dentigerous cyst was enucleated. But in some cases, orthodontic treatment or autotransplantation technique is known to be required. This study reviews previously performed prognoses of affected permanent teeth, which will lead to a more efficient treatment plan. Patients and Methods: With 28 patients who have undergone cyst enucleation and 10 patients who have undergone autotransplantation, the prognosis of permanent teeth was observed. Results: After cyst enucleation, spontaneous eruption of a permanent tooth was observed in 56.3% patients, orthodontic treatment was performed in 25% patients. The success rate of autotransplantation was 60.0%. Discussion: The first choice for treatment of dentigerous cyst in mixed dentition is to guide spontaneous eruption of permanent teeth. For cases without enough eruption space, the orthodontic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Autotransplant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spontaneous eruption is not expecte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rate of successful autotransplantation is decreased on maxilla anterior area.

치관-치근 파절치의 회전을 이용한 의도적 재식술의 치험례 (CLINICAL STUDY OF THE ROTATIONAL INTENTIONAL REPLANTATION FOR THE TREATMENT OF INTRA-ALVEOLAR CROWN-ROOT FRACTURE : CASE REPORT)

  • 서영주;이난영;이상호;이창섭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65-470
    • /
    • 2003
  • 소아에서 영구 전치부에 강한 외상이 가해지는 경우 단순한 수평파절보다는 비스듬한 수직-수평파절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파절선이 치은연하로 위치되는 경우도 많은데 그러한 경우 최근에 의도적 재식술을 이용한 치료가 많이 시도되고 있다. 파절치를 탈구시킨 후 순설측을 뒤바꿔서 재식할 경우치근의 방향 차이로 인하여 발치와에서 상방으로 위치되면서 치관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파절선을 순측에 위치시켜 시야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치아외상으로 상악 중절치가 치관-치근 파절된 혼합치열기 환아에서 파절치를 $180^{\circ}$ 회전시켜 의도적 재식술을 시행하여 치료한 후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이에 예전의 치료방법과 더불어 회전을 이용한 의도적 재식술은 치관-치근 파절치의 또다른 치료 방법이 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