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혼합용액

Search Result 1,46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OLIDIFICATION OF AQUEOUS BINARY SOLUTIONS SA TURA TED PACKED BED FROM ABOVE (다공성물질이 충전된 수용성 혼합용액의 동결거동에 관한 실험 연구)

  • 최주열;김병철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6 no.3
    • /
    • pp.42-50
    • /
    • 1992
  • 다공성 물질이 충전된 밀폐용기 내에서 수용성 이원혼합용액($H_2O{+}NaCl$)이 수평한 상부전열면으로 부터 동결될 때 혼합용액의 초기농도, 액체의 과열 및 다공성물질의 입자직경 크기가 온도와 농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으며, 동결이 진행됨에 따라 이동하는 고액상 혼합영역의 계명위치를 측정하였다. 다공성물질은 평균직경이 2.85mm, 6mm인 구형의 유리구슬을 이용하였다. 수용성 혼합용액의 초기농도는 공융농도도 이하로 하였으며 상부 전열면은 공융온도 이하로, 하부전열면은 액상선온도 이상으로 유지하여 동결 실험한 결과 상부 전열면으로 부터 고체 영역, 고액상혼합영역, 액체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액체의 초기농도가 5%인 경우 과냉현상이 관찰되었으나 10%, 15%인 경우 액체온도는 액상선 온도보다 더 높았다. 용액의 초기농도를 감소시킬수록 고체와 고액상혼합영역의 범위는 증대되었으며 고액상혼합영역과 고체영역의 계면은 더욱 강해진 자연대류에 의하여 2차원성이 증가된 형상을 보였다. 용액의 자연대류는 다공성물질의 직경이 클수록 증가되었으며 계면에서의 제융해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After treated the OTS of the gate insulator, the OTFT electric property of active layer Pentacene growth (게이트 절연막에 OTS를 처리한 후 활성층 Pentacene 성장에 따른 OTFT 전기적 특성)

  • Son, Jae-Gu;Oh, Teresa;Kim, H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6a
    • /
    • pp.238-239
    • /
    • 2006
  • 본 논문은 게이트 절연막에 OTS(n-octadecy trichlorosilance)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SAMs(Self-Assembled Monolayers)막을 형성하였다. OTS 혼합용액은 OTS를 0.1w%와 0.5w% 각각을 클로로포름 30w%와 헥산 70w%에 혼합하여 만들었다. 이 혼합용액을 게이트 절연막위에 표면처리하였다. 활성층인 Pentacene이 게이트 절연막 위에 증착될 때, OTS 혼합용액의 비에 따라 누설전류특성을 보았다. OTS를 0.1w% 처리한것이 0.5w%보다 누설전류가 더 작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OTFT의 게이트 절연막의 절열특성은 향상시키는데 OTS 혼합용액의 비가 큰 영향을 준다.

  • PDF

Adsorption Property of Shrimp Shell Chitosan to Water Soluble Proteins (수용성 단백질에 대한 새우껍질 Chitosan의 흡착 특성)

  • 손병일;김경삼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3 no.3
    • /
    • pp.242-248
    • /
    • 2000
  • 수산물 가공시 흘러나오는 폐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단백질을 chitosan에 흡착시키기 위하여 albumin과 hemoglobin, albumin-myoglobin 혼합단백질을 이용하여 chitosan과의 흡착 및 chitosan 제조조건에 따른 흡착효과와 chitosan의 수용성 단백질 흡착에 미치는 인자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Chitosan위 탈아세틸화 조건을 60, 70, 80%로 달리하여, albumin, hemoglobin, albumin-myoglobin 혼합용액에 적용했을때 chitosan의 탈아세틸화도가 높을수록 chitosan과 단백질 사이의 흡착률은 높게 나타났다. 초음파 처리에 의하여 chitosan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chitosan과 단백질 사이의 흡착률은 높게 나타났다. pH변화에 따른 chitosan과 수용성 단백질의 흡착률은 albumin 및 albumin-myoglobin 혼합용액에서는 pH 4.0에서, hemoglobin용액에서는 pH 7.0에서 흡착률이 높게 나타났다 chitosan과 수용성단백질과의 흡착에서 반응시간은 albumin및 albumin-myoglobin 혼합용액에서는 4시간, hemoglobin용액에서는 3시간까지 흡착률이 증가하였고, 그 이후의 시간이 경화하여도 흡착률의 증가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수용성 단백질 용액에 NaCl 농도를 0.1M에서 1.0M로 증가시켜 첨가했을때 염의 농도가 높을수록 chitosan과 단백질 사이의 흡착이 잘 일어나지 않았다.

  • PDF

Fouling Characteristics in the Microfiltration of Mixed Particle Suspensions (혼합입자 용액의 정밀여과막 오염특성)

  • 정건용
    • Membrane Journal
    • /
    • v.11 no.4
    • /
    • pp.161-169
    • /
    • 2001
  • Single and mixed particle suspensions of kaolin, bentonite, starch and PMMA were carried out using a dead-end Amicon fi1tration cell with microfilteration membranes. The experimental data of permeate fluxes were fitted by the constant pressure fi1tration models in order to investigate fouling steps. In 0.1 wt% mixed solution of equal amount of kaolin and starch, the permeation flux was about 30% lower than the average of each particle flux. However, the permeation flux for kaolin/PMMA mixed solution was about 10% higher than the average of each particle flux. In the cases of bentonite and PMMA or starch mired solution, the improvement effect on permeation flux was weaken than that of kaolin mixed solution. Also, the membrane fouling resistance for mixed particle solution of equal amount of kaolin and starch was minimum at 0.05 wt% particle concentration.

  • PDF

Effects of Surfactant Addition in Texturing Solution for Monocrystalline Si Solar Cells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용 텍스쳐링 용액의 계면활성제 첨가 효과)

  • Kang, Byung Jun;Kwon, Soonwoo;Lee, Seung Hun;Chun, Seungju;Yoon, Sewang;Kim, Dong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74.1-74.1
    • /
    • 2010
  •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공정에서 이방성 습식 식각 용액을 이용하여 기판 표면에 피라미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텍스쳐링이라고 한다.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식각하여 요철구조를 만들어줌으로써 셀 내부로 입사되는 광량을 증가시켜 태양전지의 단락 전류 및 효율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인 태양전지 공정에서는 요철구조를 형성할 시 따로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으며, 태양전지 급 웨이퍼를 절삭손상층 식각 한 후, 강염기성 용액과 알코올의 혼합용액에 담가서 이방성 식각을 실시하여 요철 구조를 형성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텍스쳐링 공정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용액인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KOH)과 알코올의 혼합용액과 사메틸수산화암모늄(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MAH)과 알코올의 혼합용액에 Triton X-100 계면활성제를 각각 첨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식각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표면은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통하여 관찰하였고, 분광광도계(UV/VIS/NIR Spectrophotometer)로 반사도 값을 측정하여 기판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Functional Misutkaru Drink Added with Several Medicinal Herbs Extracts (약용식물추출물을 첨가한 건강미숫가루음료 개발)

  • 이가순;이진일;이종국;이종수;박원종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1 no.2
    • /
    • pp.154-159
    • /
    • 2004
  • In order to develop of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s for rice consumption, functional Misutkaru drink was made by adding several medicinal herbs extracts to fundamental Misutkaru based cereal powder(rice, barley and soybean). Fundamental Misutkaru drink was prepared with the ratio of cereal mixed rice(5g), barley(5g) and soybean(5g) on water (100 mL) and several medicinal herbs extracts. Liriopis Tuber(50%), Omija(15%), Ginseng(10%) and Jujube(25%) were mixed to fundamental Misutkaru as functional Misutkaru. And then it was extracted to added water of 10times during 36hrs at 75$^{\circ}C$. For instant Misutkaru drink of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s, mixture of them was made with fundamental Misutkaru drink(80%), extract of several medicinal herbs(20%), and it's sensory score was high. Autoclaved functional Misutkaru drink for long storage period was changed rheological type badly. Overall acceptability and storage period of nonautoclaved functional Misutkaru drink to added extract of several medicinal herbs was higher than fundamental Misutkaru drink.

Soil flushing of Pesticide-Contaminated Soil (Soil flushing 기법을 이용한 농약 오염토양 정화)

  • 전민하;최상일;장윤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9.10a
    • /
    • pp.87-8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Sorfactant/Cosolvent 혼합용액을 적용한 Soil flushing 기법에 의해 농약(Endosulfan(6,7,8,9,10,10-Hexachlor-1,5,5a,6,9,9a-hexahydro-6,9-methane-2,3,4benzo (e)dioxathiepin-3-oxide))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효율을 알아보았으며, 회분식 및 연속식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운전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세척용액의 적정 사용조건을 알아보기 위한 회분식 실험은 Jar tester를 사용하여 진탕비 (토양 중량 : 세척용액 부피), Surfactant(SDS + POE$_{5}$, POE$_{9}$ + POE$_{14}$, POE$_{5}$ + POE$_{14}$, POE$_{14}$)와 보조용매(water, ethanol, methanol, ethanol+methanol)의 혼합비 및 농도 조건을 변화시켜가며 토양세척을 수행하였다. 세척용액은 보조용매에 Surfactant의 농도를 0.5%, 1%로 용해하여 적용하였다. 연속식 실험은 회분식 실험에서 얻어진 최적 세척용액 사용조건 즉, 계면활성제 SDS + POE$_{5}$(1:1, 용액농도 1%), 보조용매 ethanol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세척용액을 오염된 토양이 충진된 유리칼럼에 여러 유량조건에서 1 - 20 pore volume까지 통과시켜 각 통과된 pore volume에서의 토양세척 효율을 알아보았다. 본 실험조건에서 얻어진 세척용액의 최적 통과 속도는 0.31 ㎤$cm^{-2}$$min^{-1}$ 이었으며, 세척온도의 증가에 따른 세척효율의 향상은 2$0^{\circ}C$이상에서 크게 둔화되었다. 또한 보조용매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에탄올을 물로 1:3까지 희석한 결과 세척효율에 큰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Blended Fertilizers as Draw Solution in Forward Osmosis Desalination (유도용액으로 혼합비료를 사용한 정삼투식 해수담수화에서 혼합비료의 성능평가)

  • Kim, Seung-Geon;Lee, Ho-Won
    • Membrane Journal
    • /
    • v.28 no.1
    • /
    • pp.45-54
    • /
    • 2018
  • This study is to find the optimum draw solution in fertilizer-drawn forward osmosis desalination. Considering osmotic pressure, solubility, and pH, 20 blended fertilizers were screened. Their performance were evaluated in terms of pure water permeate flux, reverse solute flux, and specific reverse solute flux for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The pure water permeate flux of blended fertilizers including KCl were relatively higher. The reverse solute flux and specific reverse solute flux for nitrogen of blended fertilizers containing ${NO_3}^-$ ion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the nitrate ion-free draw solution. Those for phosphorus, and potassium of blended fertilizers including $NH_4H_2PO_4$, and $KNO_3$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the phosphorus-free, and potassium-free draw solution, respectively. The blended fertilizer of $NH_4H_2PO_4$ and KCl contains all of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which are essential elements of fertilizer, and has the relatively high water permeation flux and the low reverse solute flux for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Therefore, it is the most effective draw solution for fertilizer-drawn forward osmosis desalination.

Dip-coating법에 있어서 제조공정변수가 $\alpha$-$Fe_2O_3$ 막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강경원;정용선;오근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Crystal Growth Conference
    • /
    • 1997.10a
    • /
    • pp.173-179
    • /
    • 1997
  • 출발원료로 ferric nitrate, ethylene glycol, acethyl acetone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dip-coating된 $\alpha$-Fe$_2$O$_3$막을 제조하였다. coating을 위한 혼합용액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용액내의 가교(polymerization)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서 적외선 분광기(FT-IR)을 사용하였고, 막 형성 시 유기물 분해 및 결정화 시작 온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FT-IR, XRD, DSC 등을 이용하여 분석을 행하였다. 또한 각 조건에서 제조된 막은 X-선 회절 분석을 통해 결정상을 확인 하였으며, SEM을 통하여 막의 두께 변화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 PDF

Enhancement of Au·Ag Leaching by Mechanochemical Activation and Thiourea-Thiocyanate Mixing Solution (기계적-화학적 활성화와 티오요소-티오시안산염 혼합용액에 의한 Au·Ag 용출 향상)

  • You, Don-Sang;Park, Cheo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5 no.6
    • /
    • pp.401-411
    • /
    • 2014
  • In order to enhance the Au Ag leach rate, a mechanochemical activation process and a mixed thiourea-thiocyanate solution has been applied to Au concentrate. To achieve mechanochemical activation, the Au concentrate was mechanically ground using a dry and a wet process. The results of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sis and an XRD analysis, average particle size and crystallite size were much smaller in the dry-sample than in the concentrate sample. As well the size was smaller in the wet-sample than in the dry-sample. In SEM and XRD analysis, the amorphization effect was observed in the wet-sample due to mechanochemical activation. Au Ag leach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a thiourea solution, a thiocyanate solution and a mixed thiourea-thiocyanate solution. The Au Ag leach rate was much greater in the dry-ground-sample than in the concentrate sample, and the leach rate was greater in the wet-ground-sample than in the dry-sample. The Au Ag leach rate was much greater in the thiocyanate solution than in the thiourea solution, and the leaching rate was much greater in the mixed thiourea-thiocyanate solution than in the thiocyanate solution. Up to a 99% leach rate for Au Ag were only achieved in the wet-sample using the mixed thiourea-thiocyanate leaching 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