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합수업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4초

유아교원양성과정에서 '영유아 교수·학습방법' 교과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Pre-primary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subject of 'Infa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 권종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423-429
    • /
    • 2022
  • 본 연구는 유아교원양성과정에서 '영유아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예비보육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문헌조사 및 예비유아교사의 '영유아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주제에 대한 워드클라우드 분석 및 질적 사례분석을 활용한 혼합연구이다. '영유아교수·학습방법' 교과목에 대한 생각, 어려움, 배울점, 교사로서 잘할 수 있는 수업 역량 및 수업 전문성을 위한 경험 등을 통해 유아교사로서의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자신들의 효능감을 높힐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하며, 유아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교사의 신념에 따른 수학영재교실의 사회수학적 규범 비교 분석 (Analysis on the Sociomathematical norms in math gifted classroom according to the Teacher's belief)

  • 조유미;송상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3호
    • /
    • pp.373-388
    • /
    • 2013
  • 본 논문은 2명의 수학 영재 지도 교사가 갖고 있는 (1)교육 내용으로서의 수학, (2)교육 방법으로서의 수학 교수 학습, 그리고 (3)영재 교육(대상자, 목표/방향,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신념에 따라 수학영재교실에서의 사회 수학적 규범은 어떠한 양태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충분한 영재지도 경력을 갖고 있으면서 신념의 범주가 다른 두 교사(이하 A교사, B교사라 함)를 선정하여 그들의 수업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학은 '전통', 수학교수는 '혼합', 수학학습은 '전통'적 신념을 가진 A교사는 영재교육에서 수학영재아들을 성취 수준이 높은 자율적 탐구자로 보고 자신은 조력자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수학은 '비전통', 수학교수는 '비전통', 수학학습은 '비전통'적 신념을 가진 B교사는 영재교육에서 수학영재아들을 성취 수준이 높지 않은 자율적 탐구자로 보고 자신은 안내자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A교사의 수업에서는 문제 해결의 다양한 규칙과 답을 중요시하며 어려운 문제의 해결을 가치롭게 여기는 사회수학적 규범이 나타났고, B교사의 수업에서는 일반적인 정답보다는 문제 해결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수학적 설명과 정당화를 가치롭게 여기는 사회수학적 규범이 나타났다. 그리고 그들의 서로 다른 신념에 따른 수업의 양태와 그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반응을 통해 수학영재교육에 주는 몇 가지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 실증사례 연구 -팀 프로젝트와 스마트디바이스 앱 기반 학습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Design Classes using Blended Learning -Focused on Team Project and Smart Device App-based Learning-)

  • 김진희;김혜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71-284
    • /
    • 2021
  • This study presents the educational utility of blended learning by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fter class by blending team project learning and smart device app-based learning methods. Qualitative analysis and surve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m project activities based on task resolution were conducted freely through detailed activities such as sharing roles, planning meetings, and coordinating opinions. Team activities were carried out with respect and consideration, team member bonding,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Second, the smart device app is recognized as a medium for work and communication, and fast feedback has been made, making it highly impactful on classroom activities. Third, in terms of learning satisfaction, most learners showed an interest in the course and were satisfied with the project results. The smart device app was used as a learning and communication medium for personal and team activities and was analyzed as a blended method applicable to classes that conduct practical activities as an efficient tool to further activate project activities.

간호대학 수업에서 혼합학습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설계 및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PBL by Employing Blended Learning on Instruction in a Nursing College)

  • 최은영;이우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6권2호
    • /
    • pp.96-104
    • /
    • 2010
  • Purpose: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n a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with blended learning in a nursing college. Methods: The target students were nursing sophomores in a nursing colleg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a blended learning course and to be subjects in this study for 15 weeks.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by Baek (2003) and Lee (2007) were modified and applied to collect data. Results: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blending learning was the highest in the item "Online community activities were helpful in enhancing knowledg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PBL was the highest in the item "It was helpful to listen my classmates' opinions rather than thinking all by myself." Conclusion: This study is suggestive that blended learning is effective to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by reinforcing practicality of face-to-face study to online learning. Various learning methods based on students' demands and preferences should be applied in nursing education.

TBL을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 생명윤리 프로그램이 간호학과 학생들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도덕적 민감성, 학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Based Bioetics Program on Perceived Ethical Confid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Moral Sensitiv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for the Nursing Students)

  • 이고운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26
    • /
    • 2023
  •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blended-learning based bioethics program on perceived ethical confid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moral sensitiv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nursing students living in S city. Methods: The program was conducted 13 sessions (2 hours/session) and evaluated for perceived ethical confid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moral sensitiv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 using the SAS 9.4 program. Results: The blended learning based bioethic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perceived ethical confidence (t=8.70,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t=8.96, p<.001), moral sensitivity (t=6.43, p<.001), academic self-efficacy (t=20.5, p<.001), and program satisfaction(t=4.92,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blended learning program including TBL has advantages of case-based discussion and active interaction for nursing students' bioethics education.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통계적 변이성 개념의 이해와 그 지도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of the Statistical Variation Concept of Elementary School 5th Graders and Study on its Lesson Plans)

  • 김영미;박영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221-249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이 통계적 변이성 개념과 관련하여 가지고 있는 수학적 지식의 특성과 이것이 수업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이 통계적 변이성 개념과 관련하여 가지고 있는 수학적 지식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결과 드러난 학생들의 수학적 지식의 특성 중 미흡한 측면은 바로 잡고, 잘된 점은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통계적 변이성 수업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변이성수업 후 학생들은 최적 값의 빈도수나 편중성, 평균, 예측 가능한 안정적인 성향 대신 통계적 변이성 개념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표 그래프 그리기 수업을 통해 이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여 표와 그래프가 혼합된 문제를 바르게 해석하였다. 전체적인 분포, 범위가 비슷한 집합을 비교하는 상황에서는 평균을 함께 고려하여 안정적으로 답을 구했다.

  • PDF

과학교육에서 모델과 모델링 관련 국내 과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Trends of Model and Modeling-Related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in Korea)

  • 조혜숙;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39-552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진행되어 온 모델 및 모델링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1989년부터 2016년 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과학교육 분야의 모델과 모델링 관련 연구 문헌들을 85편을 추출하였다. 이를 연구 대상, 연구 분야 및 연구 설계, 연구 방법 및 자료 수집, 메타모델링 지식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분석에서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적었으며, 학생 전체와 비교하여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적었다. 이로부터 교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할 수 있다. 연구 분야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및 과학 분야별 연구 중에서 절반이상이 지구과학과 화학에서 이루어졌다. 과학교육에서 학생들이 모델과 모델링을 쉽게 인식하고 여러 교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특정 교과의 분야가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설계 경향을 분석한 결과는 질적 연구가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혼합연구, 양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을 분석한 결과, 선행연구 등에서 이미 개발된 모델 및 모델링 관련 프로그램이나 전략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한 논문이 가장 높았다. 과학교육에서 성공적인 모델링 실습을 위해서는 특정한 과학 현상이나 개념에 대한 모델과 모델링을 적용한 수업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메타모델링 지식의 요소의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메타모델링 지식의 요소의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모델의 목적에 대해서 분석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모델링 과정을 다룬 연구, 모델의 다양성을 다룬 연구, 모델의 본성을 다룬 연구 순이었다. 학생과 교사 모두의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이해의 향상을 위해서는 메타모델링 지식과 그 구성요소인 모델의 본성, 모델의 다양성, 모델의 목적, 모델링 과정, 모델의 평가 및 수정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이해 및 수업 전략으로써의 활용 측면연구와 과학교사의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방법,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들이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COVID-19시기의 예비간호사 training을 위한 학생주도 팀기반 문제중심학습 시뮬레이션 수업 효과검증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f Student-led Simulation with Team and Problem-Based Learning Class Training during COVID-19)

  • 김하나;심미옥;이지산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27-39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생주도 팀기반 문제중심학습 시뮬레이션 (SSTPBL) 수업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혼합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9월 15일부터 2022년 10월 20일까지 A시 소재 일개 대학 간호학과 4학년 학생 51명에게 설문조사 및 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5.0과 주제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양적연구 결과, 시뮬레이션 경험 만족도(t = 3.51, p < .01), vSim 경험 만족도(t = 3.50, p < .01), 예비 간호사로서의 준비 정도(t = 3.73, p < .01), 학습 자기효능감(t = 3.87, p < .01), 협력적 자기효능감(t = 4.30, p < .01), 문제해결 능력(t = 5.26, p < .01), 교육 만족도(t = 3.54, p < .01), 디지털 헬스 형평성(t = 2.18, p < .05)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질적연구에서 도출된 6개 주제는 '임상실습과 유사함', '몰입에 어려움', '타인을 통해 배워감', '자기반성을 통한 배움', '새로운 경험을 통한 자신감 향상', '새로운 수업방식'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팬데믹 이후 임상실습 제한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주도 팀기반 문제중심학습 시뮬레이션 (SSTPBL) 수업이 예비간호사들의 새로운 훈련 방법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교육패러다임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48-259
    • /
    • 2018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패러다임과 교사의 교수역량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53명이 한 학기 동안 팀 토의 중심 수업으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자료인 토의 보고서는 근거이론 접근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교육은 정보통신기술, 윤리관, 융합교육, 창의성, 인성교육, 협업으로 예비교사는 이와 같은 교육을 위해 융합교육, 지역연계학습, 거꾸로 학습, 혼합학습 등의 학습자 중심 학습과 평가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교사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은 융합적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정보처리 역량, 공감 및 이해 역량, 창의적 교수 및 교수설계 역량, 협업 및 의사소통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예비교사양성을 위한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기독교 대학에서의 하이브리드 교육을 통한 기독교교육 가능성 탐색 (Exploratory Study on Christian Education through Hybrid Education System in Christian Universities)

  • 봉원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513-528
    • /
    • 2014
  • 디지털 정보통신의 발달은 여러 미디어 관련 분야들이 융복합의 형태로 발전하면서 사회의 각 분야에 급속한 변화를 이끌어 온라인 교육의 혁명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것이 교육환경에 영향을 미쳐 기존의 교수자 중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교육으로 바뀌게 했다. 온라인 교육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기본적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는 곳이면 언제 어디서든 수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것은 반복학습 혹은 반복교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유형(learning style)과 학습 성향 (learning orientation)에 맞는 수업을 받을 수 있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맞춤형 학습(customized learning)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온라인 교육의 장점 속에서도 여전히 면대면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바, 이 두 가지 방식을 적절히 혼합하여 상호 보완한 하이브리드 교육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앞으로도 온라인 교육은 계속해서 더욱 발전할 것이므로 기독교 대학은 향후 온라인 교육방식의 미래를 예측하면서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연구를 통해서 다양하게 활용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