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흡재활프로그램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초

만성폐쇄성폐질환 외래환자에서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Self-Efficacy Promoting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n Out-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장희정;김정엽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6호
    • /
    • pp.533-546
    • /
    • 2006
  • 배 경: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여러 가지 호흡재활프로그램 중에서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호흡재활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국외 보고는 있으나 국내에서는 연구가 시도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만성폐쇄성폐질환자에서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은 호흡기내과 외래에서 진료 받는 만성폐쇄성폐질환자 중 GOLD분류에 의한 II,III 병기 환자로 하였으며, 치료군 18명, 대조군 18명으로 선정, 비교하였다. 연구는 무작위할당 대조군 전-후연구로 이루어졌다. 저자들이 개발한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을 8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치료군은 실시 전, 4주, 8주째는 1:1의 교육과 상담이 이루어졌고 전화상담은 매주 1~2회 이루어졌다. 교육과 상담으로 대리경험, 성취경험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매일 가정에서 운동훈련과 이완요법을 수행하도록 하여 성취경험과 정서적 이완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대조군은 프로그램 실시 전에 1:1의 교육과 상담만 제공하였다. 평가는 자기효능감, 평소 호흡곤란, 운동유발호흡곤란, 운동내구성은 6분 걷기 거리로, 폐기능, 삶의 질 등을 양 군에서 측정 비교하였다. 결 과: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은 대조군보다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평상 시 호흡곤란, 운동 시 호흡곤란, 6분 걷기 거리도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폐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은 치료군에서 삶의 질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 론: 만성폐쇄성폐질환자에서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 운동내구성, 삶의 질을 증가시키고 운동유발 호흡곤란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은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호흡재활치료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겠다.

하모니카를 활용한 호흡재활 훈련이 척수손상환자의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piratory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a Harmonica for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ies)

  • 김혁건;김민서;임한밀;정소;신욱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5권2호
    • /
    • pp.23-39
    • /
    • 2018
  • 본 논문은 척수손상환자의 호흡재활을 위한 하모니카 활용 프로그램이 호흡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시행한 연구이다. 평균 연령 37세의 복식호흡이 불가능한 척수손상환자 8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3개월 동안 1회 60분씩 총 10회의 프로그램이 실시되었고, 호흡재활 전후 호흡량을 측정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신체적 움직임, 특히 목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환자 특성을 고려하여 길이가 짧은 10홀로 구성된 다이아토닉 하모니카를 사용하였고, 척수손상 정도에 따라 손 움직임에 제약이 있는 목걸이 거치대를 사용하였다. 또한 하모니카 연주를 위해 과거 음악경험과 상관없이 쉽게 배울 수 있는 기초적인 악곡을 선정하였고, 음정을 내기 위해 복식호흡을 유도하여 긴 음정과 강한 호흡이 필요한 지점들을 훈련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 호흡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호흡 기능과 관련된 어지럼증과 가래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이 증가하고 우울감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이 척수손상환자의 호흡재활을 위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경학적 손상 환자에 개입하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계속 증가하는 것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척수손상환자의 호흡 기능에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한 데 그 의의가 있다.

입원 호흡재활 프로그램이 만성 폐질환자의 호흡곤란, 운동능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Inpatient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on Dyspnea, Exercise Capac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 이창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43-35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patient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on dyspnea, exercise capac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in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Method: This quasi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time series. Twenty three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nineteen to the control group. The inpatient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wa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extremity exercise, breathing retraining, inspiratory muscle training, education, relaxation and telephone contacts. This program consisted of 4 sessions with inpatients and 4 weeks at home after discharge. The control group was given a home 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at the time of discharge. The outcomes were measured by the Borg score, 6MWD and the Chronic Respiratory Disease Questionnaire(CRQ).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yspnea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ut not among time sequence, or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ime sequence. Als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xercise capac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were found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s: An Inpatient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may be a useful intervention to reduce dyspnea, and increase exercise capac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for chronic lung disease patients.

취주악기를 사용한 음악치료가 경수손상환자의 호흡, 구강운동 및 조음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The Effect of Wind-instrument Centered Music Therapy on Respiration, Oral Motor and Articulation for Patients with Cervical Cord Injury - Case Study -)

  • 김태연;박신애;이용석
    • 재활복지
    • /
    • 제21권1호
    • /
    • pp.233-252
    • /
    • 2017
  • 본 연구는 호흡근의 지속적 훈련이 필요한 경수손상 환자에게 취주악기를 사용한 음악치료가 호흡, 구강 운동 및 조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행되었던 프로그램의 참여자 중 경수 손상환자 군에 해당하는 3명의 결과를 선별하여 사후 데이터 분석 하였다. 프로그램에 사용할 취주악기로 호기와 흡기를 모두 활용하는 하모니카를 선택하였다. 기간은 총 6주간 주 1회 30 ~ 40분씩 시행하였고, 소그룹으로 진행 후 개별적으로 연습을 유지하도록 당일 진행내용이 자료로 제공되었다. 평가는 호흡관련 요소인 최대 호기량과 취주악기의 특징을 반영한 구강운동 그리고 조음검사로 시행하였고, 이에 대해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최대 호기량이 사전보다 평균 25ml 증가하였으며, 조음은 3.16점 증가하였다. 구강운동은 사전보다 사후에서 11.67점 움직임이 증가하였고, 세부항목 비교 시 입을 제외한 턱과 혀에 대한 점수에서 구강운동기능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취주악기를 사용한 음악치료가 경수손상 환자의 호흡재활 분야에 실천적이고 효과적 중재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호흡 조절식 연장기법을 이용한 말더듬치료 장치개발 및 적용사례 연구 (The Development of Stuttering Therapy Device and Clinical Application Cases Using Breathing Control Prolonged Speech Method)

  • 이근민;권상남;정효재
    • 재활복지
    • /
    • 제15권2호
    • /
    • pp.147-17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호흡 조절식 연장기법을 활용한 말더듬 치료 장치를 개발하여 임상적용을 통해 개발된 말더듬 치료 장치가 실제로 말더듬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말더듬 연장기법을 분석하여 이것을 바탕으로 한 말더듬 치료 장치를 설계하였다. 둘째, 연장기법을 활용하기 위해 시각적 피드백, 발성 상태 유지, 충분한 흡기, 한글화, 일상생활 전이 및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말더듬 치료 장치를 개발하였다. 셋째, 임상적용을 통해 개발된 말더듬 치료 장치가 실제로 말더듬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개발된 호흡 조절식 연장기법을 활용한 말더듬 치료 장치를 피험자 A, B, C, D를 통해 3개월 동안 적용하여 말더듬 평가 프로그램 SI-B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피험자 A는 사전평가 3.20 SW/M에서 사후평가는 0.5 SW/M으로 말더듬 빈도수가 줄었고, 피험자 B는 사전평가 1.90 SW/M에서 사후평가는 0.7 SW/M으로 말더듬 빈도수가 줄었고, 피험자 C는 사전평가 3.37 SW/M에서 사후평가는 0.34 SW/M으로 말더듬 빈도수가 줄었고, 피험자 D는 사전평가 0.51 SW/M에서 사후평가는 0 SW/M으로 말더듬 빈도수가 줄었다. 이상과 같이 호흡 조절식 연장기법 말더듬 치료 장치를 이용한 말더듬 치료프로그램이 말더듬인의 말더듬 빈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만성 폐색성 폐질환자를 위한 호흡재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s of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Program for COPD Patients)

  • 김애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7-267
    • /
    • 2001
  • It is known that a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mproves dyspnea and exercise tolerenc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However, it is also known that although it does not improve pulmonary func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 4 week pulmonary rehabilitation on pulmonary function, gas exchange, and exercise toler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s included breathing exercises, such as pursed-lip breathing and diaphragmatic breathing, upper-limb exercises, and inspiratory muscle training. These activities were performed for 4 weeks in twenty one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re and post-rehabilitation pulmonary function and exercise capacities were compared after the 4 week period. Results are as follows: 1) Before the rehabilitation, the predicted value of FVC and FEV1 of the patients were 70.3$\pm$16.7% and 41.1$\pm$11.9% respectively. These pulmonary functions did not change after pulmonary rehabilitation. 2) Aloility of walking a 6 minute distance (325.29$\pm$122.24 vs 363.03$\pm$120.01 p=.01) and dyspnea (p=.00)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rehabilitation. Thus showing that pulmonary rehabilitation for 4 weeks can improve exercise performance and dyspnea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PDF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호흡재활 프로그램 관련 논문분석 (Analysis of Research about Pulmonary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COPD)

  • 박경민;장희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12-322
    • /
    • 2003
  • Purpose: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on pulmonary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f pulmonary rehabilitation of COPD. Method: A total of 39 studies published from 1991 to 2002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year of publication, type of journ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rehabilitation program, research design, and instruments and research findings. Results: 1) The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pulmonary rehabilitation of COPD patients has rapidly increased since 1996's (87.18%) 2) There were 10 studies published in the chest. There were 6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and 33 studies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s. 3) The samples in the studies were mostly outpatients whose lung function was moderate. 4) The total period of the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shown in the literature was 5 to 12 weeks. The programs included exercise interventions, educational interventions and psychosocial interventions. 5) The outcomes of the pulmonary rehabilitation were measured with lung function, 6-minute walk test, dyspnea, and chronic respiratory disease questionnaire. Research findings were found to be effective on 6-minute walk test, dyspnea, and chronic respiratory disease questionnaire but not on lung func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pulmonary rehabilitation should be further emphasized, and standardized protocols and community 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s need to be provided. More qualitative research should also be conducted in the future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the pulmonary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COPD.

  • PDF

만성폐질환자를 위한 가정 호흡재활 단기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Short-term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n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 오의금;김순희;박희옥;방소연;이춘화;김소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70-579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 the effects of a short-term pulmonary program on lung function, exercise tolerance,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lung patients. Method: Randomized controlled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outcome measures were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 predicted), 6 min walking distance (6MWD), Borg score after 6MWD, and Chronic Respiratory Disease Questionnaire (CRDQ).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4-week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composed of inspiratory muscle training, upper and lower extremity exercise, relaxation, and telephone visit. Patients in control group were only given education about self-management strategies. Thirty four patients with moderate-to-severe respiratory impairment were recruited, and 28 patients (19 in experiments, 15 in control) completed the study. Result: Significant improvements in lung function, exercise toleranc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were found only in the experiment group. Conclusion: This study yielded evidence for the potential and beneficial effects of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n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chronic lung disease. The program could be adequately utilized for improvement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chronic lung patients.

가정 호흡재활 프로그램 관련 연구 논문 분석 (The Analysis of Research on the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 오의금;김소희;김순희;박희옥;이춘화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68-377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on the use of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Method: Using Medline and CINAHL search engine, experiemental research, titled as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and 'chronic lung disease', statistics were collected. The total 29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between 1981 to 2000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ATS guidelines. Result: 1) The study samples in research were mostly of men, whose lung function was moderate to severe. 2) The total period of the intervention program varied from 5 to 12 week. The program included excercise intervention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Psychosocial intervention was minimal. 3) The outcome of the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had been measured mostly by physical aspects. Quality of life and cost were less frequently measured. 4) In terms of effectiveness of the home 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physiologic outcome, such as lung function and hematologic markers, there was more 'no effect' than 'positive effect', whereas there was more 'positive effect' in decreasing dyspnea, improving excercise capacity,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future research on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should be emphasized and provide standardized protocol, including psychosocial intervention, and analyses on cost and quality of life.

  • PDF

호흡패턴교정이 요추불안정성자의 흉·복부 사용률에 미치는 효과 (Changes in Thoracoabdominal Usage Rate after Respiratory Pattern Correction in Patients with Lumbar Instability)

  • 기철;허명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81-587
    • /
    • 2020
  • 많은 요추 불안정성 환자들은 호흡 기능 감소와 호흡 패턴 변화로 인해 몸통 움직임 패턴의 변화를 나타낸다. 본 연구는 요추 불안정성 환자의 호흡 패턴 교정 운동 후 안정 및 노력성 호흡 동안 3개의 흉·복부 둘레 선 (겨드랑이, xiphoid junction, 10번째 갈비뼈)에 대한 사용률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실행하였다. 실험군 15명은 호흡 패턴 교정 운동을, 대조군 15명은 요추 안정화 운동을 실시했다. 중재 전, 두군 모두 안정 호흡과 노력성 호흡 동안 3개의 흉·복부 라인 간의 사용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중재 후, 실험군은 안정 호흡 동안에 3 라인간 사용률 차이가 없는(p>.05) 변화를 나타내었고 노력성 호흡 동안에 두 라인 간 사용률의 변화를 나타내었다(p<.05). 호흡 패턴 교정 운동은 호흡 패턴의 회복을 통해 몸통 운동 패턴을 개선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호흡 패턴 교정이 요추 불안정성 환자를 위한 재활-프로그램의 재교육 및 강화 과정에 적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