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흡율

검색결과 584건 처리시간 0.027초

양식참굴의 PAHs 노출에 대한 생리적 적응

  • 서종환;조상만;정우건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46-146
    • /
    • 2003
  • 해양환경의 대표적 오염물질인 PAHs가 양식굴의 생리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서로 다른 PAHs 농도에 노출된 굴의 여수율, 호흡율, 배설율 및 동화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부착생물을 깨끗하게 제거한 굴을 실험실로 옮겨 3일정도 순치시키고, 이후 각각의 0, 50, 100, 200ppb의 농도별로 약 10일간 미리 노출시켰다. 이후 각 개체별로 2L 들이 2$0^{\circ}C$항온수조에서 0.2$\mu\textrm{m}$ 여과해수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여수율은 Chaetoceros simplex를 지표생물로 하여 수조내 시간당 감소율을 구하여 Kim(1995)의 식에 의해 구하였다. 호흡율은 유동파라핀으로 외부와의 공기접촉을 단절시키고, 수조내 단위시간당 DO meter로 산소변화를 측정하여 Widdows and Johnson(1988)의 식을 변형하여 계산하였다. 배설율은 단위시간동안 수조내 NH$_4$-N 농도 증가량으로 조사하였고, NH$_4$-N은 HACH Inc.에서 제공하는 측정법을 따랐다. 여수율은 500ppb에서 다소 영향을 받아 증가하였다. 호흡율과 배설율은 노출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50ppb와 100ppb에서는 다소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양식굴이 PAHs와 같은 오염물질에 노출되었을 경우, 초기에는 여수율의 변화는 없고 배설율과 호흡율이 상승하여 체내 에너지 요구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토양수분조건에 따른 대두의 발아반응에 관한 연구 제3보 침종시간에 따른 대두종자의 호흡율 변이 (Responses of Soybeans to Water Stress During Germination III. Respiration of Soybean Seeds During Imbibition)

  • 김용욱;해리 마이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7-173
    • /
    • 1981
  • 본 시험은 대두 종자의 호흡율의 품종간 차 및 종자 부위별 (자엽, 배축, 배꼽) 차를 검토하고, 이러한 호흡율의 차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서 효율적인 고발아성 종자의 초기 선발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저 수행되었다. 1. 1시간 침종후 대두 종자의 흡수율은 종자부입별 및 품종간 차를 인정할 수 있었으나, 종자부위와 품종간 상호작용은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므로 종자부위와 품종은 대두 종자의 호흡에 독립적으로 작용하였다. 2. 자엽의 호흡율은 다른 부위, 즉 배축이나 배꼽에 비해 크게 높았으며 그 평균값은 자엽이 35.7, 배축이 28.0, 그리고 배꼽이 $23.9{\mu}hr^{-1}$ seed$^{-1}$이었다. 그러므로 대두 종자의 저장기관이 전체적으로 호흡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품종 Bonus는 다른 품종들에 비해 낮은 호흡율을 보였다. 3. 전체 대두 종자의 호흡율에 있어서 침종시간 및 시간과 품종간의 상호작용은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품종간에는 유의적인 차가 없었다. 4시간 침종 동안에 급격한 호흡율의 증가를 보였으며, 평균 호흡율 4시간에 13.6, 8시간에서 16.3, 12시간에서 17.8, 16시간에서 23.2, 그리고 24시간에 $25.3hr^{-1}$ seed$^{-1}$이었다. 4. 품종 Bonus에 있어서 종자 수분함량과 24시간 침종동안의 종자의 호흡률 간에는 유의적인 상관이 인정되었으나, 다른 품종들에 있어서는 상관계수 유의성이 없었다. 이 결과는 품종 Bonus는 다른 품종에 비해 24시간 침종동안 호흡에 보다 많은 수분을 요구한다고 생각한다. 5. 종자무게와 호흡률 간의 상관계수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이 결과는 대두 종자의 호흡률은 종자의 무게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사려된다. 또한 호흡율과 3일간의 초기 초장의 신장간에도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다.

  • PDF

Brucella 면역혈청이 균생존과 호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mune Serum on the survival and Respiration of Brucella)

  • 안태휴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39
    • /
    • 1970
  • 정상혈청과 면역혈청의 존재하에 있어서 균의 생존율이 호흡율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Brucella 균을 사용하여 실험해보았다. 혈청의 원액에 균을 $37^{\circ}C$ 3시간 방치했다가 흔히 쓰는 평판주입법에 의하여 생존균수를 측정했고, 균호흡은 Warburg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혈청의 살균작용과 균호흡억제작용 간에는 극히 대조적인 현상을 엿볼 수 있었는데, 그것은 균호흡이 억제되면 될 수록 생존균수는 그만큼 증가되었다는 사실이다. Brucella 면역혈청의 살균계수가 $1.4{\sim}1.6$이었는데 반해 정상혈청은 2.7나 되었으며, 그 차는 무려 $log_{10}$ 일단위 이상이나 되었다. 그러나 면역혈청내에서의 균호흡율은 정상혈청중에서의 호흡율의 반도 안되었다. 면역체가 보체와 더불어 이러한 호흡억제 작용을 나타낸 것 같으며 이렇게 호흡이 억제된 상태에 있는 균은 혈청의 살균인자에 보다 무감각한 것 같다. 즉 in vitro에서 Brucella 면역체는 어느 일정량 이상 존재하면 균호흡을 억제하고 동시에 혈청의 살균인자로부터 균을 보호해 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 PDF

활성슬러지에 미치는 산폐수의 독성도 예측 (Estimation of Acidic Wastewater Toxicity on the Activated Sludge)

  • 최광수;고주형;장원호;김창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2175-2185
    • /
    • 2000
  • 호흡율은 활성미생물의 상태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상태변수로서 활성슬러지 공정을 모사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크게 competitive, noncompetitive, uncompetitive로 분류되는 독성물질은 미생물의 반속도상수와 비성장율을 증가/감소시켜 기질제거능을 떨어뜨린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폭기법으로 운전되는 pilot-scale 활성슬러지 공정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noncompetitive 억제물질인 산성폐수가 유발하는 독성영향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도출하고 호흡율을 중심으로 활성슬러지의 거동을 모사하였다. Noncompetitive 억제 모델을 이용하여 pH 3.9~5.5의 산성폐수 유입시 호흡율의 실측치와 계산치는 상관계수가 0.96 이상으로 매우 근사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COD로 표현된 유출수 기질농도는 독성영향에도 불구하고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유입수중의 생분해성 기질(readily biodegradable substrate) 농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유입수의 기질농도 감소에 의한 호흡율의 감소보다 산성폐수에 의한 호흡율의 감소가 훨씬 크게 나타나 기질농도 감소에 따른 호흡율 기초 독성감지 장치의 오류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최대 호흡율을 이용한 활성슬러지 모델 No.1 보정: 자가영양균 최대비성장율 추정 (Calibration of Activated Sludge Model No. 1 using Maximum Respiration Rate: Maximum Autotrophs Specific Growth Rate)

  • 최은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9-413
    • /
    • 2005
  • 본 논문에는 자가영양균의 최대비성장율 추정법이 제시되었다. 먼저 질산화균의 농도가 질산화 된 암모니아, 슬러지 일령 및 사멸계수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되었고, 다음단계로 과잉암모니아를 공급하여 질산화균의 호흡율을 측정하였다. 자가영양균의 최대비성장율은 ${\mu}_{max,A}\;=\;OUR_{max,A}/Y_A$의 관계를 통해 계산되어질 수 있으며 추정된 최대비성장율은 운전기간에 걸쳐 일정한 값을 가지지 앉고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최대호흡율을 이용한 최대비성장율의 동적 추정법이 수행되었고, 일정한 최대비성장율를 이용한 처리장 운전결과 예측은 처리장 거동을 예측할 수 없으며 활성슬러지공정의 성능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동적 추정된 매개변수의 사용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Oxyfluorfen 및 Bensulfuron-Methyl 내성수도품종의 광합성 및 호흡저해 반응 (Differential Response in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of Rice Cultivars as Affected by Oxyfluorfen and Bensulfuron-methyl)

  • 구자옥;이영만;김영진;이도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70-374
    • /
    • 1988
  • Clark type의 산소전극장치를 이용하여 기 선발된 oxyfluorfen 및 bensulfuron-methyl 에의 내성 및, 감수성 수도품종에 대한 광합성 및 호흡반응차이를 비교한 목적으로 본 시험이 수행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Oxyfluorfen 농도증가로 $O_2$ 발생율은 저하하는 반면에 호흡율은 상승하였다. 벼 풍종간에는 $10^{-3}$M에서 감수성이었던 Mushakdanti 의 광합성율이 무처리의 43%까지 떨어졌으나 내성이었던 Aichiasahi 는 56%까지로서 상대적으로 덜 떨어졌으며 호흡에서의 품종차이는 거의 없었다. Bensulfuron-methyl 농도증가에 따라서 $O_2$ 발생율은 저하(감수성인 IR 1846은 광합성에서 무처리의 55%까지, 내성인 Chinsurah Boro II 는 77%까지만 저하) 하였고 호흡율은 상승(품종간에 140~149% 내외의 차이)하는 양상으로서 역시 내성품종이 광합성에서 덜 떨어지는 반면 호흡에선 품종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는 경향이있다.

  • PDF

벼 도열병균에 감염된 친화 및 비친화 조합 벼에서의 균생장, 호흡 및 산화효소 활성 (Fungal Development, Respiration and Activity of Oxidative Enzymes in Rice Plants Inoculated with Pyricularia oryzae in Both Compatible and Incompatible Combinations)

  • 정봉구;정후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13-122
    • /
    • 1982
  • 병 잎위에서 도열병균 부착기형성은 고도저항성인 통일과 감수성인 농림 6호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감수성인 농림 6호에는 직접 기동세포에 침입 신전되었으나 고도저항성인 통일품종에서는 그와 반대로 균계가 신전되지 않았다. 고도저항성인 통일은 생리형에 관계없이 감수성인 진여, 농림 6호보다 급속히 기생세포가 변질되는 동시에 그 비율도 높았다. 호흡율을 산소흡수율로 보면 건전조직보다 병반조직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저항성품종인 수원 180호에서 건전조직과 호흡율에 차이가 없었으나 감수성인 진여의 경우에는 건전조직보다 호흡율이 훨씽 높았다. 그리고 품종간에도 건전부위의 호흡율의 차이가 심하였다. 호흡율은 병반이 최초로 형성되는 시기에 저항성 및 감수성을 막론하고 상승하였는데 감수성조직은 건전조직에 비하여 급속히 증가하는 반면 저항성병반에 있어서는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퍼옥시다제의 활성은 건전조직에 비하여 감수성조직에서 증가하였고 생리형과 품종간에 비친화성인 저항성병반에 있어서 그 활성이 감수성병반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고도저항성인 반응에 있어서는 건전 및 이병조직간에 퍼옥시다제의 활성차이가 거의 없었다. 아스코빅산, 하이드로퀴논 및 카테콜 산화효소 활성도 퍼옥시다제와 같은 경향이었다. 반대로 카탈라제의 활성은 친화성인 병반조직에서 오히려 감소하였다.

  • PDF

벼 배양약에서 약의 활력 연구 I. 품종 및 저온 전처리에 따른 호흡활성의 변화 (Studies on the Viability of Cultured Anther in Rice Anther Culture I. Changes of Respiratory Activity by Genotype and Cold-pretreatment)

  • Seung Yeob, Lee;Seon Yong, Lee;Jang Soo, Cho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48-253
    • /
    • 1988
  • 벼 약배양에 있어서 배양약의 viability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밀양 2003, 대청벼, 치악벼를 재료로 품종 및 저온전처리, 약의 갈변에 따른 호흡율의 변화를 2~3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화분의 발육시기에 따른 배양전 약의 호흡활성은 개화직전에 가장 높았으며, 배양적기인 stage 3~4에서의 호흡율은 12.46 $O_2$ n mode/ml/h/another이었다. 배양약의 호흡활성의 변화는 3~9일경에 1차 정점을, 9~11일경에 2차 정점을 나타냈으며, Callus 형성능이 높은 대청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저온전처리는 배양 초기의 호흡활성을 저하시켰으나 15일경부터는 무처리구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또한 저온전처리는 약의 갈변을 촉진하였으며, 갈변약에서 호흡활성이 높았다.

  • PDF

벼의 압력손실 및 호흡 모델과 자동통풍에 관한 연구 (PRESSURE DROP, RESPIRATION MODELS AND AUTOMATIC AERATION OF ROUGH RICE)

  • 정종훈;라리 알 버어마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6권3호
    • /
    • pp.298-311
    • /
    • 1991
  • 빈 시스템에서 적정 팬을 선정하기 위해서, 빈에서 벼를 건조 혹은 통풍시킬 때 벼의 저항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압력손실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벼의 건물 손실을 예측하기 위하여 벼의 호흡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온도 및 습도 센서들을 이용한 자동계측 시스템을 사용하여 저장된 벼의 상태를 연속적으로 측정, 분석함으로써 벼의 통풍기준을 결정하고 이를 근거로 빈의 자동통풍 시스템을 개발하여 평가하였다. 공기의 정압 손실은 공기의 속도 및 벼의 함수율의 함수로서 나타내어졌으며, 일정 곡물 깊이에서 벼의 함수율이 낮을수록 그 정압손실은 증가하였다. 벼의 호흡에 의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저장온도, 벼의 함수율, 저장 기간의 함수로서 나타낼 수 있었다. 벼의 안전 저장을 위해 곡물의 온도 및 함수율, 평형상대습도, 벼의 품질저하지수(deterioration index)에 대한 자동통풍 기준을 결정하였으며 이들을 이용해서 퍼스널 컴퓨터로 팬, 제습기 등의 통풍 장치들을 자동제어하는 자동통풍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곡물의 상태를 예측, 제어함으로써 14% 이하의 함수율과 4이하의 품질저하지수, 그리고 어떤 균류도 생성시키지 않음으로써 벼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었다.

  • PDF

일사량, 온도, 탄산가스 농도 및 엽중 질소농도가 양액재배 오이엽의 광합성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tosynthetic rate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Plants as Affected by Light Intensity, Temperature, Carbon Dioxide and Leaf Nitrogen Content)

  • 임준택;김학진;정순주;이범선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87-191
    • /
    • 1999
  • 식물의 호흡에 영향하는 환경요인은 총 광합성율에 영향하는 모든 요인을 들 수 있으며 뿌리의 호흡에는 근권환경요인 및 질소 흡수량과 같은 영양요인도 들 수 있다.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식물의 생장 및 수량을 예측하는 식물생장모형의 개발은 식물의 생장이 광합성과 호흡에 의해 좌우되므로 환경요화의 변이에 따른 생육모형개발이 우선적이라 할 수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