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호소 수질

Search Result 29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Water Trophic States and Biological Indicators of Phytoplankton at Six Reservoirs in Gyeonggi-do (경기도 6개 호소의 수질 영양단계 및 지표종에 관한 연구)

  • Lim, An-Suk;Lee, Ok-Min
    • ALGAE
    • /
    • v.22 no.2
    • /
    • pp.69-85
    • /
    • 2007
  • From six reservoirs in Gyeonggi-do, we have collected the distribution and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since Nov. 2005 through Sep. 2006. As a result, the phytoplankton appeared totally 340 taxa belong to 7 classes, 15 orders, 5 suborders, 32 families, 4 subfamilies, 84 genera, 283 species, 43 varieties, 9 forms and 5 unidentified species. The standing crop was shown as minimum was 0.3 × 106 cells and maximum was 5,950 × 106. The relation of standing crop with TN, TP and Chl-a showed as positive. Total 12 taxa including 2 taxa of blue-green algae occurred to every seasons at six lakes, and it was thought that they distributed in mesotrophic state. Also, Achnanthes minutissima, Aulacoseira granulata, Eudorina elegans, Gloeocystis ampla, Pandorina morum, Pediastrum simplex var. duodenarium, Scenedesmus ecornis were regarded as the indicators of eutrophic state. From the estimation of LTSI and TSI, it was shown that the rest of lakes except for Idong reservoir of winter were eutrophic states.

Battery of bioassays에 의한 소양호 표층 퇴적물의 환경독성평가

  • 문성환;정진애;류성민;이순애;김재현;정대교;김기영;황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54-155
    • /
    • 2003
  • 호소 퇴적물은 일반 하천에 비해, 입자성물질의 침강속도가 느리고 한번 퇴적된 물질의 교반이 잘 일어나지 않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퇴적토질의 변화는 수질 변화의 추이를 대변해 줄 가능성이 높다. 소양호는 유역면적 2,703$\textrm{km}^2$, 유로연장 166.2km, 만수면적 70$\textrm{km}^2$으로 국내 최대 상수원 인공호이다. 본 연구에서는 담수 퇴적토의 오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생물학적 시험기법들을 활용하여 소양호의 표층 퇴적토질을 평가하였고, 주변잠재오염원의 분포와 비교하였다.

  • PDF

황복을 이용한 연안 지역 생물독성평가 기술 개발

  • 이규태;이정석;김동훈;김진형;한경남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56-157
    • /
    • 2003
  •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해양과 하천, 호소 둥을 포함한 수생환경의 오염을 평가하기 위하여 COD 등 20여 가지의 일반수질항목을 조사하는 이화학적 분석 기술만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이화학적 분석 결과는 중금속이나 유기화합물 등 다양한 유해물질의 생태계에 대한 위해성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데에 많은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생물을 이용하여 환경내 유해물질의 위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생물검정법을 개발하여 널리 이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여러 종류의 생물검정법을 개발하여 오염평가에 이용하고자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진은 다양한 국내산 생물을 이용하여 수생환경내 유해물질의 생물독성 평가기술을 개발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수역 어류인 황복의 독성평가 시험생물로서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이 생물을 이용한 독성평가기술의 표준화를 위하여 다양한 유해 물질에 농도별로 실험 생물을 노출하는 일련의 급성 독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Water Quality Modeling of the Eutrophic Transition Zone in a River-Type Reservoir Paldang (부영양화된 하천형 호소(팔당호) 전이대의 수질모델링)

  • Kong, Do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30 no.4
    • /
    • pp.429-440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in cause of water quality deterioration during the spring season in the transition zone between the South Han River and the river-reservoir Paldang. A water quality model modified from QUAL2E (U.S.EPA) was used, and the model showed that eutrophication and algal production in the low flow season affected about 60% of the organic pollution at the downstream of the South Han River. This result means that phosphorus control is prior to external organic material management to ameliorate the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water body.

산업폐수 재활용에 관한 기술 및 경제성 평가

  • 윤창한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9.04b
    • /
    • pp.53-67
    • /
    • 1999
  • 현대 산업에서의 공장건설은 규모가 대형화되고 상품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므로 공장용수는 대용량과 고품질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생활용수 역시 인구의 증가와 인간의 문화수준 향상으로 수요량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고품질을 요한다. 그러나 공장용수와 생활용수의 공급원은 일반적으로 상수도, 지하수(천정호수 및 심정호수) 및 지표수(하천, 호소 및 강물)등으로 한정이 되어 있으므로 가까운 장래에 물(공업, 농업 및 생활용수)의 부족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며 또한 지표수와 지하수의 수질은 공장폐수와 생활오수로 인해 계속 나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자료는 반도체 생산공장, 타이어 생산공장, 자동차 생산공장, 음료수 Can 생산공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폐수재사용 Process들의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폐수재사용관련 설비를 설치하고자 하는 업체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되로록 작성하였다.

  • PDF

Effect Analysis of Reservoir Water Quality Improvement with Floating Islands (인공식물섬의 호소 수질개선 효과분석(지역환경 \circled2))

  • 박병흔;권순국;윤경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0.10a
    • /
    • pp.550-556
    • /
    • 2000
  • Three floating islands were constructed on the surface of the reservoir, each consisting of 10 16-㎡ (4${\times}$4 m) segments, made of wood frames and floats. Three species of aquatic macrophytes were planted in each island on June, 1998. Phragmites australis was considered as the suitable aquatic macrophyte for the floating islands since it maintained the most efficient root and shoot balance among the macrophytes. The net primary productivity of P. Australis was 3,604 g/㎡ based on dry weight in 1999, with uptake rates of nitrogen and phosphorus estimated at 77.4 g/㎡/yr and 5.7 g/㎡/yr, respectively. The result of water quality simulation for the floating islands showed that, through adsorption of nutrients and light screening, they could reduce the amount of phytoplankton, thereby decreasing COD concentration.

  • PDF

Calculation and Analysis of Pollutant Loading by Climate Change in Geum River Basin (기후변화에 따른 금강 유역의 오염 부하량 산정 및 분석)

  • Park, Jongtae;Jang, Yujin;Koo, Youngmin;Seo,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75-279
    • /
    • 2016
  •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변화와 기온변화에 의한 영향이 수질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하천, 호소 등 취수원의 상수도 질적 저하, 나아가 잠재적인 공중보건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IPCC 에서 발표한 지구기후모형 GCMs의 시나리오 자료를 바탕으로 기상청이 운영하는 기후변화센터의 RCP 시나리오 4.5, 8.5의 데이터 중 금강유역에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하여 GWLF 모형을 사용하여 금강 유역의 갑천 및 논산천, 대청댐 등 소유역의 2000년부터 2100년까지의 미래 오염 부하량을 모의 하였으며, 연구 결과 RCP 4.5의 경우 오염 부하량이 2100년 까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RCP 8.5의 경우 2100년까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 PDF

A Plot Scale Experiment to Assess the NPS Reduction for Non-irrigated Cropland (밭 비점오염 저감효과 평가를 위한 포장실험 연구)

  • Park, Tae-Yang;Kim, Sung-Jae;Jang, Jeong-Ryeol;Choi, Kang-Won;Kim, Sa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3-313
    • /
    • 2011
  • 오염물질은 배출원의 형태에 따라 점오염물질과 비점오염물질로 구분하고 있고 점오염물질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환경기초시설 방류수 등으로 발생원이 명확하고 수집하여 처리 및 관리가 용이하나 비점오염물질은 배출위치가 명확하지 않으며, 강우 시 일시적으로 대량 배출되는 특징을 가진 농경지, 도로, 대지, 임야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비점오염은 전체 수질오염의 42~67%(2003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15년에는 전체 수질오염의 65~7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중 농업 비점오염원은 총 수질 오염량의 30%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이를 저감하기 위한 최적관리방법의 효과검증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 중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기법으로 다양한 규모와 형태의 Silt Fence/식생밭두렁/침사구를 설치하여 밭 비점오염에 대한 저감효과를 평가하고 제어대책을 개발하여 최적관리기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매뉴얼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실시하려 한다. Silt Fence는 주로 건설공사현장에서 홍수유출 발생 시 인접한 하천 및 호소 등으로 유사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설치하는 시설로 합성 직물 필터를 나무나 금속 막대로 연결하여 등고선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대상 지역의 토양이 교란되기 전에 그 지역 아래쪽에 설치한다. 식생밭두렁은 밭의 이랑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강우 시 빗물이 하단에 이를 때 늘어난 유량과 빠른 유속으로 토양침식이 가중되는데, 이때 30~35m간격으로 식생밭두렁을 설치하게 되면 상부와 하부의 침식정도가 유사한 경향을 보여 식생밭두렁을 설치하지 않은 지역에 비해 토양의 침식정도가 작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Silt Fence/식생밭두렁/침사구의 밭 비점오염의 저감효과 평가 및 제어대책 개발을 위한 기초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 일대에 시험포장을 조성 하였으며, 시험포장내에 6개의 Plot을 만들어 하단부에 포장에서의 유출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플룸을 설치하였고 실내실험을 통해 플룸의 수위-유량관계 곡선을 작성하였다. 포장의 토양특성을 판별하기 위해 Plot별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특성을 분석 한 결과 6개 Plot모두 모래함량이 많은 점토질 사질토로 분류되었다. 향후 강우 시 시험포장에서 발생하는 유출수의 수질을 분석하고 Silt Fence/식생밭두렁/침사구의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제어대책을 개발하게 되면 농업수자원확보를 위한 관리방안 선정을 위한 정책수립에 활용될 수 있으며 비점오염 배출을 최소화시켜 수질의 개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농업에 적합한 최적영농관리기술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ransition and prospect of quantitative indexes for integrated water management (통합물관리 정량지표의 변천과 전망)

  • Jae Sung Jung;Jin Keun S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41-441
    • /
    • 2023
  • 통합물관리는 2000년 이전부터 필요성이 논의되다가 2019년 물관리기본법이 제정·시행되면서 수량, 수질, 수생태, 방재 등 분야의 물관리 통합이 단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물환경관리 기본계획, 국가물관리기본계획, 4대강별 유역물관리종합계획 등이 수립되거나 수립중에 있다. 2021년 6월에 수립된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서는 통합물관리 정량지표들을 물환경, 물이용, 물안전, 물산업, 거버넌스의 5개 분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4대강 유역물관리종합계획(안)에서는 국가기본계획의 지표들을 근간으로 유역별 특성을 고려한 정량지표를 설정하고 있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부터 유역물관리종합계획까지 통합물관리 정량지표들의 변천 내용과 현황을 검토하였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16~2020)의 전략과 목표는 "①맑은 물 공급: 급수보급율, 관망 복선화율, 댐 부족량 공급기준, 비상급수 피해인구, 스마트시티 음용률, 누수율 저감, 물 기본법 제정, ②홍수안전 기반구축: 하천기본계획, 하천정비, 수해금액, 도시하천 종합치수대책 수립, 국가하천 홍수예보 지점, 홍수예보시간 단축지점 비율, ③친수환경 조성: 하천유지유량, 하천 이용객, 어류종 및 철새종 증가, ④수자원산업 및 기술개발: 일자리, 수자원산업 육성제도, 해외수주액, 외국 MOU, 국제회의, 남북공유하천 협의"이었다. 물환경관리 기본계획(2016~2025)의 전략과 목표는 "①물순환 체계: 불투수면적률 25% 초과지역, ②깨끗한 물 확보: 상수원 수질달성, ③생태계 서비스 증진: 수생태계 건강성 달성, ④물환경 기반 조성: 산업폐수 유해물질 배출저감, 상수원 4대강 보의 총인 농도와 남조류 세포수, ⑤경제·문화적 가치 창출: 국민체감 만족도"이었다.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서는 "①물환경: 하천·호소 목표수질 달성률, 수생태계 건강성 B등급 이상 비율, ②물이용: 수돗물 만족률-직·간접 음용률, 노후 상수관로-하수관로 개량, ③물안전: 가뭄피해 인구, 홍수피해 인구-피해액, 댐안전성 강화율, ④물산업: 물관리 R&D 예산, 수량·수질·수생태 통합측정 중권역 비율, 물산업 매출액의 수출액 비중, 한국 주도 국제협력 의제, ⑤거버넌스: 미정"을 계획지표로 하였다. 유역종합계획에서는 4대강별로 거버넌스를 포함하여, "①물환경: 국가계획지표, 주요 상수원 수질, ②물이용: 노후 상하수관로 개량, 지방상수도 유수율, ③물안전: 한해 인구, 수해 인구-피해액, 하천정비율, ④물산업: 물산업 일자리 창출, ⑤거버넌스: 물포럼, 시민참여활동"을 정량지표로 고려하고 있다.

  • PDF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Stagnant Water using an Upflow Activated Carbon Biofilm Process and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상향류 활성탄 생물막 공정을 이용한 정체 수역 수질 개선 및 공정 내 미생물 군집 해석)

  • Oh, Yu-Mi;Lee, Jae-Ho;Park, Jeung-Jin;Choi, Gi-Choong;Park, Tae-Joo;Lee, Tae-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1
    • /
    • pp.23-32
    • /
    • 2010
  • The capacity of natural purification was limited by the interruption of natural flow and the problems such as eutrophication were occurred by nutritive salts accumulation in stagnant stream. Moreover, the inflow of non-point sources causes non-degradable materials to increase in stagnant stream. In this study, an upflow 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C) biofilm process comprised of anoxic, aerobic 1, and aerobic 2 reactors were introduced for treatment of stagnant stream and SS, $BOD_5$, $COD_{Mn}$, $COD_{Cr}$, TN, and TP were monitored in the upflow BAC biofilm reactors with continuous cycling. In order to simulate stagnant stream, the lake water of amusement park and golf course were stored as influent in a tank of $2m^3$ and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was changed into 6, 4, and 2 hours. At HRT 4hr and the lake water of amusement park as influent, the removal efficiencies of SS, $BOD_5$, $COD_{Mn}$, $COD_{Cr}$, TN, and TP showed the best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were 69.8, 83.0, 91.3, 74.1, 74.7, and 88.9%, respectively. At HRT 4hr and the lake water of golf course as influent, the removal efficiencies of SS, $BOD_5$, $COD_{Mn}$, $COD_{Cr}$, TN and TP were 78.5, 78.0, 80.2, 74.9, 55.6 and 97.5%, respectively. As the results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 denaturing gel gradient electrophoresis (PCR-DGGE), microbial community was different depending on influent typ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showed that nitrifying bacteria was dominant at HRT 4 hr. The biomass amount and microbial activities by INT-DHA test were not decrease even at lower HRT condition. In this study, the upflow BAC biofilm process would be considered to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stagnant st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