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너증후군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4초

폐쇄식 흉강삽관술 후 발생한 호너 증후군 - 치험 1예 - (Horner's Syndrome: A Rare Complication of Tube Thoracostomy - A case report -)

  • 최재웅;김주현;유병수;강창현;김영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816-819
    • /
    • 2010
  • 호너 증후군은 폐쇄식 흉강삽관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드문 합병증으로 이를 치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17세 여자 환자로 2번째 발생한 좌측 기흉으로 폐쇄식 흉강삽관술 시행 후 수술 위해 입원하였다. 입원 후 우측 중이염 발생으로 항생제 치료 중 폐쇄식 흉강삽관술 후 3일째 흉관 삽입한 동측 동공 축동과 눈꺼풀 처짐을 증상으로 하는 호너 증후군이 발생하였고, 즉시 흉관을 2~3 cm 잡아 빼서 흉관의 위치를 교정하였다. 폐쇄식 흉강삽관술 후 5일째 기흉에 대한 낭포 절제술과 기계적 흉막 유착술을 시행하였고, 특별한 문제 없이 수술 후 7일에 퇴원하였다. 수술 후 호너 증후군으로 인한 증상은 점차 호전되었고, 2달만에 완전히 회복하였다.

호너 증후군이 유발된 경부-종격동 지방종 -1예 보고- (Cervico-Mediastinal Lipoma with Horner's Syndrome -A case report-)

  • 김응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6호
    • /
    • pp.448-450
    • /
    • 2003
  • 지방종은 지방조직에 기인하는 경계가 명확한 간엽종양인데 일반적으로 작고, 증상이 없으며, 흔히 경부에 위치한다. 그러나 지방종이 드물게 종격동에서 발견되는데, 지방종이 종격동 안에서 커지게 되면, 간혹 신경혈관구조물을 압박할 수 있다. 신경 압박으로 인한 호너 증후군이 유발된 58세 남자의 경부-종격동 지방종을 보고한다. 환자는 우측 흉곽입구를 관통한 모래시계 형태의 경부-종격동 지방종으로 우측 경부가 부어있고, 우측 안검 하수와 후측부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종괴를 제거한 후 신경 압박으로 유발된 호너 증후군의 증상이 바로 소실되었다.

안명부다한증에 대한 흉강경수술 -3례 보고- (Thoracoscopic Sympathectomy for Facial Hyperhidrosis -Three Cases Report-)

  • 정진용;연성모;박건;곽문섭;윤석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336-338
    • /
    • 1998
  • 다한증은 감염이나 일부 종양 등에서 볼 수 있으나, 원인질환이 없이 원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원발성 다한증의 경우 땀이 많이 나는 부위는 주로 손바닥이며 안면부에서 땀이 과다하게 나는 경우도 있다. 최근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교감신경절제술이 다한증의 외과적 치료로 이용되고 있는데, 안면부다한증의 경우에는 성상신경절의 일부를 절제하기 때문에 호너증후군 등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다. 저자들은 최근 안면부다한증 3례의 환자에서 흉강경을 이용하여 성상신경절의 일부를 포함한 흉부교감신경절제술를 시행하였다. 수술후 모두에서 증상호전이 있었으며 호너증후군 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 PDF

안면부 다한증 환자의 제2흉부 교감신경절단술 (T2 Sympathicotomy for Facial Hyperhidrosis)

  • 성숙환;김태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65-470
    • /
    • 1999
  • 배경: 안면부 다한증 환자들은 수장부, 액와부 다한증 환자들 못지 않게 대인관계에 매우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적절한 치료가 없었으나 최근 교감신경차단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안면부 다한증에 대해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 교감신경절제술은 하부 성상교감신경절을 절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호너증후군과 같은 합병증의 우려 때문에 잘 시행되고 있지 않았다. 본 병원에서는 최근 6년간 수장부, 액와부 다한증 치료 경험에서 안면부 다한증도 제2흉부 교감신경절 절단만으로 충분할 것으로 판단되어 시술을 하였고,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대상 및 방법: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97년 6월부터 1998년 5월까지 연속적으로 38명의 안면부 다한증 환자들에서 2 mm 기구를 이용하여 양측성 제2흉부 교감신경절단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직후 전례에서 안면부 발한이 소실되었다. 합병증으로 수술후 다섯명(13.2%)에서 흉관 삽입이 필요 하였는데, 3명은 불완전한 폐의 재팽창 때문에, 나머지 2명은 심한 폐유착을 박리한후 생긴 혈흉 때문이었다. 예측되는 합병증인 호너증후군, 상완신경총 손상 등은 없었다. 모든 환자가 수술후 평균 1.7$\pm$0.9일에 퇴원하였다. 결론: 안면부 다한증에서 적절한 교감신경 절단 부위는 제2흉부 교감신경절이며, 하부 성상교감신경절을 절단하지 않음으로서 호너 증후군등의 합병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미세한 2 mm 흉강경 기구를 이용한 수술이 가능하며 결과도 매우 좋다.

  • PDF

눈대상포진에 의해 발생한 부분호너증후군 1례 (A Case of Partial Horner's Syndrome caused byHerpes Zoster Ophthalmicus)

  • 이동국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6권2호
    • /
    • pp.103-105
    • /
    • 2004
  • Horner's syndrome may rarely accompany herpes zoster ophthalmicus (HZO). A 78-year-old woman suffered from HZO accompanied ipsilateral ptosis and miosis. Before skin eruption, she was diagnosed as a paratrigeminal syndrome of Raeder. She was treated with intravenous acyclovir and prednisone for 7 days. Ptosis and miosis was not completely improved after 5 months of follow-up.

  • PDF

안면다한증에서의 흉부교감신경 절제술 (Thoracic Sympathectomy for Facial Hyperhidrosis)

  • 김해균;이두연;백효채;조현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0호
    • /
    • pp.1129-1132
    • /
    • 1996
  • 안면다한증은 많은 사람들에게 삶의 질적인 측면에서 심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저자들은 다한증 환자 150명중에서 10명의 안면다한증 환자를 치험하였다. 그중 남자가 9명이었고, 여자가 1명이었으며 연령분포는 20세 에서부터 47세까지, 평균연령은 33.8세이 있다. 한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비디오흉강경수술을 받았으며 나머지 한명만 심한늑막유착으로 인해 개흉술을 받았다. 추적조사기간동안 안면발한의 재발, 호너증후군의 예는 한명도 없었다.

  • PDF

성상신경절 차단후 발생한 반대측 호너 증후군 (Contralateral Horner's Syndrome after Stellate Ganglion Block -A case report-)

  • 송선옥;이덕희;박대팔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8권1호
    • /
    • pp.164-167
    • /
    • 1995
  • 대상포진후 신경통으로 체성신경 차단과 함께 성상신경절 차단을 반복적으로 받아오던 64세 여자환자에서 열세번째 우측 성상신경절 차단후 반대측인 좌측에 호너씨 증후군이 발생되었다. 그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시술 도중 환자머리의 좌측회전으로 인한 해부학적 위치변화와 술자의 부정확한 지표선정 및 주사바늘의 안쪽방향등으로 약제가 중앙선을 넘어 주입된 것으로 추정할수 있다.

  • PDF

성상신경절 차단후 경험한 지속적 호너 증후군 -증례 보고- (Prolonged Horner's Syndrome Following Stellate Ganglion Block)

  • 허금주;주진철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9권1호
    • /
    • pp.248-250
    • /
    • 1996
  • Stellate ganglion block(SGB), cervicothoracic sympathetic block, is the most widely practiced procedure in pain clinics. We experienced a case of 47 year old male patient who had received SGB & developed prolonged complication of Horner's syndrome. The patient was an anesthesiologist at our clinic who's medical history was unremarkable except mild hypertension. He wanted to experience the general effect of SGB an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SGB on blood pressure. After 15 days, he recovered spontaneously from Horner's syndrome. As with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assure patients they will recover from complications within several months, at the longest, without any sequelae.

  • PDF

성상신경절 차단 후 발생한 지속적 호너 증후군 -증례 보고- (Persistent Horner's Syndrome Following Stellate Ganglion Block -Two cases report-)

  • 장병환;김정호;강훈수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8권2호
    • /
    • pp.367-370
    • /
    • 1995
  • We experienced two case of persistent Horner's syndrome which might be side effect of stellate ganglin block(SGB). Case one, a 35 year old male patient with severe pain and hyperesthesia of the right thumb. We performed repeated SGB with 1% mepivacaine 5 ml on the right side daily. After 9 times of SGB, he had continued ptosis, photophobia for one month and miosis for 6 months. Second case, the patients was a 21 year old male. He visited at our pain clinic to be cured of both sudden deafness which had begun two week ago. We performed SGB on both sides alternatively twice a day. About a week later, hearing ability of the left ear was recovered. After then we performed SGB only the right side. 34 SGB was performed in two months after that he got persistent Horner's syndrome.

  • PDF

산모에서 요부 경막외 차단후 발생한 편측 호너 증후군과 상지마비 -증례 보고- (Unilateral Horner's Syndrome and Upper Extremity Paralysis following Lumbar Epidural Block in a Obstetric Patient)

  • 장연;조은정;김정태;박수석;이재희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0권2호
    • /
    • pp.285-290
    • /
    • 1997
  • Horner's syndrome is a well-recognized complication of regional analgesia of neck and shoulder region, and not often a complication of lumbar or low thoracic epidural block. Recently we experienced right Horner's syndrome accompanying paralysis of right upper extremity following lumbar epidural block in for an obstetric patient. Epidurography and MRI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cause of unilateral high epidural block and cervical sympathetic block. Radiologic study demonstrated a loop formation of the epidural catheter and tip of catheter was located in right anterior epidural spaced(L1-2). The initial epidurogram revealed unilateral spreading of dye in the cervical region in right epidural space. A second epidurogram, 10 minutes following, showed dye filling in left epidural space, however spread of dye in left side was limited to lumbar and low thoracic region. We concluded the most probable cause of this unilateral high epidural block was due to misplacement of the catheter into the anterior epidural sp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