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형성

Search Result 4,97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3D Model Construction from Image Scanning without Iteration or SVD (2차원 영상 템플릿으로부터 3차원 모델 템플릿 형성 - SVD가 필요 없는 선형 방법)

  • Han, Youngm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11
    • /
    • pp.165-170
    • /
    • 2013
  • When we build up a 3D model from the given 2D images, linear algorithms are often used to reduce computational cost or for initialization of nonlinear algorithms. However, contemporary linear algorithms have apparently linear structures, but virtually they are implemented using SVD. The SVD is also implemented using numerical analysis algorithms that need initialization. Moreover, solutions using SVD are more difficult to analyze than closed-form solutions. To avoid from such inconvenient numerical analysis algorithms of the contemporary methods and for convenient analysis of solutions, this paper proposes a convenient linear method that produces a closed-form solution.

Morphology Evolution of GaAs(100) Surfaces dur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Etching at Biased Potential (유도결합 플라즈마 식각시 bias에 의한 GaAs(100) 표면의 형태 변화)

  • Lee, Sang-Ho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6 no.4
    • /
    • pp.250-261
    • /
    • 2007
  • We present the morphological evolution at different source powers in the ion-enhanced etching of GaAs(100) in $BCl_3-Cl_2$ plasma. With little ion bombardment at floating potential, the surface develops <110> ridges and {111} facets, as it does in purely chemical etching. Higher source power (900 W) produces well developed crystallographic surfaces while lower source power (100 W) produces poorly developed crystallographic surfaces. This is attributed to the availability of excited reactive species (chlorine atoms) depending on source powers. With more concentration of the reactive species at higher source powers, the surface of GaAs(100) would be a surface that is expected from thermodynamics while the surface morphology would be determined by sputtering in the lack of reactive specie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faces, based on scaling theory, revealed two spatial exponents: one (smaller than one) is formed by atomic scale mechanisms, the other (larger than one) is formed by larger scale mechanisms which is believed to develop facets. When samples are biased, the surfaces experienced bombardment resulting in suppression of ridge formation at high source power and islands formation at low source power.

Investigation on Formation of Nanotube Titanium Oxide Film by Anodizing on Titanium in NaF Electrolytes (NaF 전해용액을 이용한 양극산화에 의한 타이타늄 표면의 나노튜브구조의 형성에 관한 연구)

  • Lim, Hyun-Pil;Park, Nam-Soon;Park, Sang-Won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5 no.2
    • /
    • pp.183-190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dition of forming the favorable nanotubes by anodizing with NaF and $H_3PO_4$. Machined Ti discs were used for anode, and Platinum net was used for cathode. For electrolyte, $H_3PO_4$ and NaF solution were mixed. We controlled voltage, electrolyte concentration, anodizing time and formed nanotubes on Ti discs. After that, these were washed with distilled water for 24 hours and dried in the $40^{\circ}C$ oven for 24 hours. The surface structure of specimen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At 0.5 wt % NaF, according as increasing voltage and anodizing time, early state of nucleating pores were generated. At 1.0 wt % NaF, 20 V, 20 & 25 min, well-formed nanotubes were observed. At 1.0 wt % NaF, 30 V, structure of nanotube became bigger and interconnected. At 2.0 wt % NaF, no nanotubes were formed and it was unrelated with voltage and time. At 1.0 wt % NaF, 20 V, 20 - 25 min, well-ordered nanotubes were generated on Ti discs. For the formation of favorable nanotubes, it is considered that proper parameters such as electrolyte concentration, voltage, anodizing time are necessary according to the kind of electrolytes.

Bearing Ambiguity Solution of Towed Array Sensor System By Nonlinear Array MUSIC Beamforming (비선형 배열 MUSIC 빔형성에 의한 선배열 센서 시스템의 표적 좌우 분리 기법)

  • 김윤수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151-154
    • /
    • 1998
  • 이 논문에서 비선형 배열 MUSIC 빔형성 기법을 이용하여 예인형 선배열 센서 시스템의 표적 좌우 방위 분리 방법을 기술하였다. 이 기법은 배열 운동모델 Water-Pully 모델과 방향센서의 정보를 이용하는 칼만필터를 설계하여 예인함 기동에 따른 배열형상을 추정하고 표적의 좌우방위를 분리하기 위하여 추정된 배열형상에서 MUSIC 빔형성 기법으로 신호처리를 수행하였다. 또한 예인주기와 예인진폭과 같은 예인함 기동형태의 전형적인 빔형성 기법과 MUSIC 빔형성 기법으로 표적의 좌우 방위 분리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Self-Assembly Monolayers 처리 공정이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나노패턴 제조에 미치는 영향

  • Hwang, Yeong-Hyeon;Gwon, Sun-Muk;Kim, Yeong-Hwan;Jo, Won-Ju;Kim,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339-339
    • /
    • 2011
  • 기존의 광학리소그래피방법으로는 나노크기의 패턴을 형성하는데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있으며, 사실상 수십나노크기의 패턴을 형성하는데에는 전자빔리소그래피등 새로운 패턴형성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나노 패턴은 서로 다른 화학적 구조를 가지는 고분자들이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분자구조를 이용하여, 하나의 분자 내에 서로 다른 블록들이 상분리를 일으키려는 것과 동시에 이들의 공유결합으로 인해 그 정도가 제한되는 것을 이용하여 라멜라, 실린더, 구 등의 주기적으로 배열된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패터닝 기술이다.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나노크기의 패턴 형성은 열역학적으로 안정적인 구조이며, 대면적으로 구현 할 수 있어서 차세대 소자제작을 위한 제작기술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한 나노패턴 기술은 선행적으로 나노구조체를 결함이 없고, 원하는 형태로 제작 할 수 있는 공정의 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을 이용한 나노패턴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폴리스틸렌과 실리콘 산화물 박막과의 표면반응을 막기 위한 Self-Assembly Monolayers (SAMs) 처리 공정이 패턴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MPTS의 농도 및 처리시간을 변화시켰다. 나노패턴을 분석, 확인하기 위하여 Atomic Force Microscopic (AFM)과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을 이용하였다.

  • PDF

Study on Mies' office projects in Germany through an analysis of Formal Types (형태 유형 분석을 통해 본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독일시대 사무소 건축에 관한 연구)

  • Kim, Chul-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0
    • /
    • pp.6372-6378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l types and public space of Mies van der Rohe's office designs in German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l types,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pace and formal types, and the composition of public space were analyzed by hierarchy with perspective drawings and plan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Mies used the formal types, such as U shape and I shape in his early days. Later, he adopted the curved shape and tried to fragment the forms by combining the curved shape with an I shape. Mies designed the entry space in front of the simple formal types. The curved shape was used to create various hierarchical courtyards and rear gardens. The results suggest that Mies developed his own ideas on the formal types and public space utilizing a variety of methods.

The study of external comparison for spark traces on the VFF (비닐평형코드(VFF)에서의 단락흔 외형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Kim, Youn-Hoi
    • Congress of the korean instutite of fire investigation
    • /
    • 2010.12a
    • /
    • pp.80-90
    • /
    • 2010
  • 대부분의 전기화재는 전기제품의 전원코드나 확장형 콘센트 등 저압 배선에서 주로 발생한다. 최초발화에 기인한 단락흔(1차 단락흔)의 외형적 판단기준을 제시하고자 발화원인이 규명된 전기화재의 감정사례로부터 비닐평형코드에 형성된 단락흔의 형태학적 비교분석결과 단락흔 자체 형태만으로 1차단락으로 판정하기는 용이하지 않지만 1차 단락흔은 2차 단락흔과 달리 용융방울이 미세하게 형성되고, 흑색으로 착색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절연피복의 손상을 줄 수 있는 선행된 원인이 있는 곳에서 만 특징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rmal Spray Coating

  • 김종영
    • 전기의세계
    • /
    • v.42 no.1
    • /
    • pp.5-11
    • /
    • 1993
  • 금속이나 세라믹 입자를 용사하여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기술은 화염을 사용하는 방법에서 시작했으며 용사재료는 분말, 선, 봉의 형태로 공급되었다. 1960년대에 상업적인 plasma 용사장비가 개발되었으며 여기서 사용된 D.C.plasma jet를 이용하여 분말형태의 용사재료를 용융하고 고속으로 피용사테에 용융입자를 분사하여 피용사체면에 충돌시켜 다층의 얇은 피막을 형성한다. 최근(1985년)에는 R.F.(Radio Frequency) Plasma를 이용하여 열전도도가 작은 재료나 산소와 반응성이 큰 재료를 용사하는 방법도 개발되고 있다. 용사피복법은 현재 여러가지 방법이 실용되고 있으며 재료를 용융하는 열원에 따라 분류하면 표1과 같다. 즉 산소와 연료 가스의 혼합에 의한 연소나 폭발에너지를 이용하는 가스식 용사법과 Arc, Plasma등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식 용사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 PDF

Anisotropic wet etching by IPA-KOH solutions (IPA-KOH 혼합액에 의한 습식 이방성식각 연구)

  • 천인호;조남인;김창교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0.10a
    • /
    • pp.185-193
    • /
    • 2000
  • 이방성 습식 식각을 이용하여 멤브레인을 제작하기 위하여 KOH-IPA의 식각액을 사용하여 단결정 실리콘 기판을 이방성으로 식각을 하고, 각 용액에 대한 식각 특성을 관찰하였다. 식각률은 식각액의 온도와 농도에 의존하며, 패턴 형성 방향과 식각액의 농도에 따라 식각 형태가 다르게 나타났다. 패턴은 Primary Flat에 45°로 기울여 형성되었으며 20wt·% KOH 80℃ 이상에서는 U-groove, 그 이하의 온도와 농도에서는 V-groove 식각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각 면에 대한 식각률 차이에 의해서 생기는 Hillock은 온도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줄어들었고, 재식각을 퉁하여 현저하게 줄어듦을 알 수 있었다.

Mesh slide for preventing fall(building, APT etc.) (추락방지 매쉬형 슬라이드)

  • Yang, Seung_gyu;Kwon, Young_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70-271
    • /
    • 2015
  • 본 논문은 추락 방지장치가 형성된 창문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형태의 공동주택 여닫이 창문은 사각틀 형태로 된 창틀의 내 창문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창문을 개방 시, 창틀에 해충방지용 방충망이 설치되어 있지만, 종래의 방충망은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하여 찢어지거나 휘면서 창틀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쉽게 추락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기술을 적용한 창문 설치 시, 개방했을 경우에만 체인 안전망이 형성되고, 창문을 닫았을 경우에는 체인 안전망이 창틀 또는 창문틀에 수용되어 보이지 않게 되어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추락 사고를 방지하여 안정성을 보장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