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학적 변이

Search Result 54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Quantitative estimation method for morphologic analysis of transitional lung cancer (폐암 변이 형태분석을 위한 정량적 평가방법)

  • 최현주;이병일;황해길;최흥국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33-13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폐암의 변이 형태 분석을 위한 정량적 분석 방법을 연구하였다. 보다 객관적인 분석의 필수적 요인인 정확한 분할을 이해 질감 특징과 통계학적 분류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변이 형태 분석을 위해서 분할된 ROI 로부터 여러 가지 형태학적 특성값과 질감 특성값을 추출하여 변이 형태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폐암의 변이 형태 분석을 위한 방법은 다른 기관으로의 원격전이가 쉬운 종양의 특성평가에 대한 객관적 병리진단의 보조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ystematic Study on Polygonum sect. Tovara (Polgonaceae) : Analysis of Morphological Variation (여뀌속 Tovara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 형태변이 분석)

  • 박종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v.35 no.4
    • /
    • pp.385-392
    • /
    • 1992
  • 여뀌속 Tovara절 식물은 매우 복잡한 양상의 형태변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각 분류군의 한계 및 위치 성정, 계통적 유연관계 해석에 있어 많은 혼란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본 절 분류군에서 나타나는 형태 변이의 양상을 수리분류학적으로 분석하여, 각 분류군의 한계를 명확히 설정하고 그 분류학적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절 분류군의 주요 식별형질에 대한 주성분 분석을 수행한 결과, 본 절은 형태적으로 크게 P. virginianum, P. filiforme, P. neofiliforme의 3분류군으로 구분되며, 이들은 주로 잎의 형태에 의해 식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P. virginianum var. glaberrimum은 그 분류학적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ovara (=Polygonum) virginiana var. kachina는 형태적으로 볼 때 P. neofiliforme의 변종으로 취급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Polygonum virginianum, P. filiforme, P. neofiliforme는 그 flavonoid 조성에 있어서도 명확한 차이를 나타내며,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들은 각각 독립된 종으로 인식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umerical Taxonomy of Cirsium japonicum Complex(Asteraceae) in Korea (한국산 엉겅퀴군(국화과) 식물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 Song, Mi-Jang;Kim, Hyu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6 no.4
    • /
    • pp.279-292
    • /
    • 2006
  • Patterns of morphological variation in Cirsium japonicum complex were examined using numerical analysis, and the delimitation of taxa was evaluate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of taxa using 24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11 leaf characters revealed the presence of two major groups; C. japonicum var. japonicum and C. japonicum var. spinosissimum. Circium japonicum f. nakaianum could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C. japonicum var. japonicum. In conclusion, Korean C. japonicum complex was composed of two varieties and one form, C. Japonicum var. japonicum, C. japonicum var. spinosissimum, and C. japonicum var. spinosissimum f. alba.

Image feature extraction for analysis of transitional lung cancer (폐암 변이 분석을 위한 영상 특성 추출)

  • 황해길;최현주;이병일;최흥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473-475
    • /
    • 2000
  • 폐암의 변이 형태는 크게 침륜형과 팽창형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팽창형은 암의 크기가 크고 성장속도는 느린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침륜형은 암의 크기가 작고 성장 속도는 빠르며 괴사 부분이 많고 경계선이 불규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병리 전문가의 이와 같은 시각적인 진단요소를 폐암 변이 분석을 위한 영상의 특성으로 추출하여, 형태학적 특성과 절감특성으로 분석한 후 의료 영상에 대한 진단을 전문가의 진단 견해와 비교해 보았다. 의료 영상에 대한 진단은 영상의 특성과 함께 전문가의 진단 기준에 대한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는 특성에 의한 것이어야 할 것이다.

  • PDF

The Identity of the Variation Population of Polygonatum cryptanthum H. Lév. & Vaniot (목포용둥굴레 변이 집단의 실체)

  • Se Ryeong Lee;Chang Gee J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50-50
    • /
    • 2022
  • 비짜루과 둥굴레속(Asparagaceae: Polygonatum)은 전 세계적으로 약 9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유럽, 북아메리카, 아시아 등 북반구 온대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국내 둥굴레속 분류군은 총 16분류군이며, 이중 잎이 호생하고, 난형에서 타원형 모양의 엽질성 포를 가지며, 화피통 내부에 털이 없고, 수술대 표면에 돌기가 나있는 분류군들은 용둥굴레열(series. Bracteata)에 속한다. 그러나 이들은 종간 교잡 또는 주요 기관의 형질 변이가 다양하여 중간형질을 보이는 개체군들에 대한 종 식별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경남 창원시에서 채집된 목포용둥굴레(P. cryptanthum) 변이 개체집단는 기존의 목포용둥굴레와 달리 식물체 높이와 화경·소화경이 길며, 포 부착위치의 변이 폭이 넓으며, 포가 타원형이고 밖으로 말리는 습성으로 형태적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명확한 분류학적 실체를 구명하고자 분자생물학적 계통분석(nrDNA ITS + cpDNA matK, trnK-rps16, rps16, rbcL) 연구를 진행중에 있다.

  • PDF

Intraspecific Variations of Rubus oldhami (덩굴딸기(Rubus oldhami)의 종내변이)

  • Kim Mi-Na;Jang Su-Kil;Yoo Ki-Ou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8 no.2
    • /
    • pp.260-269
    • /
    • 2005
  • Taxonomic studies on morphologic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palynological, RAPD and PCR-RELP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traspecific relationships of Rubus oldhami. Three types of Rubus oldhami based on the flower characters such as petal length and number were used in this study. Among the 14 morphological characters, perianth length, calyx lobe length, apical leaflet shape and leaflet length were used to distinguish for each type. The pollen characters such as shape, aperture number, surface sculpture were showed very similar among three types. Eight primers out of 20 arbitrary primers were screened for three types, and were revealed 33 ($60\%$) polymorphic bands. The phonogram by RAPD data showed incongruent with morphological analysis. Even though ten restriction endonucleases produced 20 restriction sites, polymorphic bands were not observed. Based on the results, three types of Rubus oldhami divided well by morphological characters, but pollen and DNA data were not supported. Therefore, type 1 and 2 which different from type 3 by flower characters considered as a temporary hybrid or ecotype because of their similar habitats.

서울의 대표적 도시하천인 중랑천에 우점하는 깔따구속(Chironomus, Chironomidae, Diptera)의 분류

  • 나국본;배연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1a
    • /
    • pp.79-80
    • /
    • 2003
  • 국내의 대부분 도시하천에 우점하여 나타나는 깔따구속(Chironomus)은 국내에 밝혀진 깔따구과(Chironomidae)중에서 가장 다양한 종다양성을 보이며 개체가 상대적으로 크고 사육이 용이하여 생태학, 독성학 및 분자유전학적 재료로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깔따구속 각 종간의 성충 및 유충의 형태적 유사성으로 인하여 많은 분류학적 어려움을 안고 있다. 특히 국내에 분포하는 노랑털깔따구(C. flaviplumus)와 요시마쓰 깔따구(C. yoshimatsui)는 성충과 유충에 있어서 많은 변이가 나타나 여러 문헌에서 혼동되어 쓰이고 있는 실정이므로 그들의 분류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한국의 도시하천인 서울시 중랑천을 대상으로 그곳에 우점하는 장수깔따구(C. plumosus), 구슬등무늬깔따구(C. circumdatus), 등깔따구(C. dorsalis), 안개무늬깔따구(C. kiiensis), 요시마쯔깔따구의 형태적 유사성 및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채집된 요시마쯔깔따구는 배무늬 및 생식기 형태에서 다양한 변이를 보였으며, Wing length 2.77$\pm$0.17mm (2.53-2.94), Leg ratio(L.R.)가 1.60$\pm$0.05, Antenna ratio(A.R.) 2.84土0.10의 값을 나타냈다. 일부 개체는 A.R.이 3.35로 국내산 노랑털깔따구(A.R. 3.50$\pm$0.11, Ree & Kim, 1981)와 혼란될 수 있으나 이는 요시마쯔깔따구 군집내의 변이로 생각된다. 국내에 기록된 요시마쯔깔따구와 노랑털깔따구는 일본산 요시마쯔깔따구와 노랑털깔 따구가 A.R.값이 각각 3.1과 4.0(Sasa, 1978)으로 구별되는 것과 달리 A.R.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배무늬 및 생식기 형태의 변이 폭이 크게 나타나므로 앞으로 전국적인 지역에 분포하는 상기 두 종의 개체군에 대한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 PDF

Subfamily Anadarinae (Bivalvia : Arcidae) of the Russian Far East Coast) (러시아 극동 연안의 꼬막 아과 (이매패 : Arcida))

  • Lutaenko, Konstantin A.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9 no.1
    • /
    • pp.27-32
    • /
    • 1993
  • 러시아의 극동 연안에서는 꼬막 아과 세 종이 출현하고 있다. 이들 중 Anadara inaequivalvis(Bruguiere, 1789)와 Anadara subcrenata(Lischke, 1869)는 신생대에 전멸된 개체군으로 알려져 있다. Anadara속의 형태학적 변이, 분류 및 지리적 분포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 PDF

A taxonomic study of the Ophezia(Gentianaceae) in Korea 1. External morphology and distribution (한국산 용담과 쓴풀속(Ophelia) 식물의 분류 1. 외부형태 및 분포)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2 no.4
    • /
    • pp.324-339
    • /
    • 1999
  • Morphological reinvestigation, external characters and discriminant functional analysis(44 qualitative characters) were examined on 6 taxa of Korean Ophelia, including 5 taxa distributed in south Korea, and one taxon considered to be the variation type of Ophelia wilfordi in order to clarify the limit of intersection and interspecies. And to establish the taxonomic position. One taxon distributed in north Korea was included in the description of species by observation of herbarium specimen of the University of Tokyo in Japan. The two sections were successfully distinguished by internal structure of ovary, morphology of nectary, number of corolla lobe and calyx lobe, and species were also distinguished by morphology of cauline leaf, and color and spot of corolla, respectively. The variation type of Ophelia wilfordi was not distinguished with other species except for absent or present of purple spot in corolla lobe. The results of the discriminal functional analysis indicated that characters of corolla were the most important qualitative characters to distinguish the Ophelia taxa, and morphology of seed and seed coat was useful characters to distinguish taxa higher than species. Therefore the difficult problems of identification of species were successfully solved, and the taxonomic position in intrageneric level was clarified on Korean Ophelia.

  • PDF

Systematic Studies of the Genus Cobitis (Pisces: Cobitidae) in Korea ll. Geographic Variations of Cobitis longicowus (한국산 Cobitis속 어류( Pisces: Cobitidae)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11. 왕종개(Colitis longicowus)의 지리적 변이)

  • 박병상;김재흡김종범양서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4 no.4
    • /
    • pp.585-593
    • /
    • 1991
  • 한국 특산종 C. longicolpus의 지리적 변이를 조사하고자 discriminant function 분석에 의한 형태적 변이 그리고 전기영동법에 의한 유전적 변이를 전국적으로 조사하였다. 11개 집단의 discriminant function분석결과 11개 집단은 형태적으로 뚜렷한 차이 없이 유사하였다. 13개 집단의 유전적 변이를 조사한 결과는 13개 집단 평균 A = 1.37, P = 29.96%, HD = 0.076 및 HG = 0.083으로 일반적인 담수어류의 종내 집단 간 평균 유전적 변이정도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5 : 0.88으로 타 어종의 일반적인 집단 및 유전적 근연정도와 유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