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학적 반응

Search Result 67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Long-term monitoring on change in hydro-geomorphology and vegetation landscape along the Naeseong stream (내성천의 수문지형과 식생 경관 변화에 관한 장기모니터링)

  • Lee, Chan-Joo;Kim, Dong-Gu;Hwang,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7-67
    • /
    • 2019
  • 내성천은 경북 북부지역을 흐르는 모래하천으로 계절적 변동이 큰 수문학적 특성에 반응하여 발달하는 모래 하상의 역동성과 이른바 '화이트리버'라고 하는 경관상 고유성이 대표적인 하천이다. 하지만, 2010년부터 영주댐이 건설되기 시작하였고, 2015년 전후로 식생이 광범위하게 활착하는 등 하천 변화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영주댐 하류내성천을 대상으로 장기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이 논문은 2012~2018년 기간에 대해 기상 수문 수질, 하도 형태, 하천 지형 및 식생 등 다각적인 측면의 조사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 방법으로는 자료 수집, 수위계 운영, 드론/지상 사진 촬영, LiDAR 항공측량, 현장 조사 등을 포함되었다. 장기 모니터링을 통해 발견한 주요한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2015년은 1982년 다음으로 심한 가뭄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여름철 첨두유량은 50년래 최저를 기록하였다. 내성천 하도의 식생 활착은 1987년부터 시작되었으며, 2013년 이전에는 하류 구간에서, 그 이후로는 전체 구간에서 식생 활착이 발생하였다. 그 중 일부 지점은 홍수로 인해 재나지화 되었으나 여러구간은 목본이 활착하였고, 퇴적으로 인해 하도의 형태 변화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내성천은 모래 하상의 본질적 특성을 유지해 왔지만, 최근 약간의 조립화 경향이 나타났으며, 조사 단면에서 최심하상의 저하가 관찰되었다.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내성천에 나타난 변화는 주로 가뭄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영주댐이 하도 변화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Cytotoxic Effects of Prevotella nigrescens on Cultured Cells (Prevotella nigrescens가 배양된 세포에 미치는 영향)

  • Han, Jin-Soon;Kim, Eun-Sook;Lee, Su-Jong;You, Yong-Ouk;Han, Kyung-Soo;Im, Mi-Kyu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7 no.2
    • /
    • pp.183-195
    • /
    • 2002
  • 흑색 색소를 형성하는 그람음성 혐기성 세균은 급성 임상 증상을 가진 환자의 근관에서 자주 발견되는 세균으로서 세균 및 세균의 성분과 산물이 치근단 병소의 생성과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흑색 색소를 형성하는 그람음성 혐기성 세균 중 가장 발현율이 높은 Prevotella nigrescens가 배양된 세포에 미치는 세포 독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두 가지 세포주 및 사람의 치은섬유모세포를 일차배양하여 사용하였으며, 세포주에 따른 독성 발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P. nigrescens ATCC 33563 표준 균주 및 임상 균주로는 환자의 감염된 근관으로부터 165 rRNA primer를 사용한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P. nigrescens 6 균주를 동정하여 사용하였다. 세균배양액, 세균의 초음파 추출단백질 및 lipopolysaccharide (LPS)를 MC3T3-El 조골세포, NIH3T3 섬유모세포 및 치은섬유모세포에 첨가한 후 MTT분석법으로 세포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도립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세균배양액을 100$\mu\textrm{l}$ 첨가한 경우는 세가지 세포주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세포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세균의 초음파 추출단백질 12.5$\mu\textrm{g}$/ml 와 25$\mu\textrm{g}$/ml 는 NIH3T3세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세포독성을 보였다. 세 가지 세포주에 대한 LPS의 세포 독성 효과는 첨가된 LPS의 농도 및 균주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심하게 손상된 세포는 세포의 단일층이 수축되고 세포가 응집되었으며 세포가 배양용기의 바닥에서 떨어지는 양상이 도립 현미경하에서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P. nigrescens가 숙주 반응을 조절하여 치수 및 치근단 병소의 유발 및 악화에 기여하는 세균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조직과 함께 제거하고 포르말린에서 48시간 고정시킨 후 파라핀에 포매한 다음에 micro-tome을 사용하여 6$\mu\textrm{m}$로 serial section을 시행하였다. 정중선 부위의 시편에 Hematoxylin-Eosin staining을 시행한 후 Olsson, Orstavik 그리고 Mjor 등의 방법에 따라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한 후 slight(1), moderate(2), severe inflammation(3)의 단계로 분류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Jandel사의 Sigmastat을 이용하여 Kruskal Wallis Test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결과 : (Table omitted) 결론 : 1) Pulp Canal Sealer를 제외한 모든 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성 있게 염증이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p<0.05). 2) Pulp Canal Sealer는 1주, 2주, 12주에서 강한 염증반응을 보였다. 3) AH 26과 AH Plus에서는 1주, 2주에서 강한 염증반응을 보였으나 12주에서는 염증반응이 감소하였다. 4) 새로 개발된 봉함제 Adseal-1,2는 1주, 2주에서는 가장 약한 염증반응을 보이나 4주, 12주 후에는 AH Plus와 비슷한 수준의 염증 반응을 보였다. 5) Pulp Canal Sealer를 제외한 모든 군에서 인정할 만한 생체친화성을 보였다. 6) Adseal-2가 Adseal-1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염증반응을 보였다. 7) 각 군간 결과의 차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mmunity. Then, a hierarchical language is to defeat its own purpose.중 행정부가 북한에 대해 실시한 포용정책이 어떠한 성과를 거두고 어떠한 문제점을 간과하고 있는가에 대해 논의하고, 대북 정책의 새로운 지평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 포용 정책은 세계의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쇠고기 야채 쌀죽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

  • 이용욱;금준석;은종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67.2-168
    • /
    • 2003
  • 현대 사회는 서구적인 식생활의 변화로 인해 조리가 간편하고 조리 시간이 짧은 즉석식품과 영양 기호식품을 동시에 충족시켜주는 음식에 대한 소비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미곡의 공급량에 비해서 소비량이 해마다 감소하여 재고미의 증가를 볼 때, 쌀의 새로운 이용방법 모색이 절실히 요망된다. 따라서 쌀의 소비촉진과 현대사회의 소비형태를 접목시켜서 쇠고기와 야채를 이용한 즉석쌀죽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쇠고기, 야채 및 쌀가루를 이용한 soup mix의 최적 배합비를 설정하기 위하여 제조조건에 따라 다르게 제조한 쇠고기 야채 쌀죽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때 야채의 배합비에 따른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모니터링 하고자 반응표면분석법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이용하였다. 요인변수(Xn)를 쌀의 양에 대한 버섯의 비율 (X$_1$), 당근의 비율 (X$_2$), 대파의 비율 (X$_3$)로 하여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17실험구로 구분하여 조리실험을 실시하였고, 반응변수(Yn)는 soup mix를 이용하여 제조한 쇠고기 야채 쌀죽의 이화학적 특성인 색도의 L*값 (Y$_1$), a*값 (Y$_2$), b*값 (Y$_3$), 점도(Y$_4$), 퍼짐성 (Y$_{5}$), 고형분 함량(Y$_{6}$), PH (Y$_{7}$)으로 하였으며 관능적 특성인 색 (Y$_{8}$), 향 (Y$_{9}$), 점성 (Y$_{10}$), 맛 (Y$_{11}$), 전체적인 기호도 (Y$_{12}$)를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에 이용하였다. 회귀분석에 의한 모델식의 예측에는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3차원 반응표면 분석법으로 해석하였다. 야채의 배합비에 따라 제조한 쇠고기 야채 쌀죽의 물리적 특성인 색도의 L*, a*, b* 값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은 각각 0.6098(p> 0.05), 0.8803 (p <0.05), 0.6781(p> 0.05)로서 b값에 있어서 그 유의성이 5%수준에서 인정되어 b값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값은 63-68사이로, a*값은 0.13에서 -0.89사이를 b*값은 2-5값 사이에서 변화하여 제조한 죽의 색이 옅은 황색임을 알 수 있었다. 고형분 함량, 퍼짐성과 pH에 대한 $R^2$은 각각 0.4280, 0.5433과 0.2406임을 볼 때 버섯, 당근, 대파의 비율에 따라 제조한 쇠고기 야채 쌀죽의 고형분 함량, 퍼짐성과 pH는 설정된 범위내에서 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과 향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은 각각0.6000과 0.7825이고 P-value는 각각 0.4290과 0.0942로서 5%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맛과 점성에 대한 $R^2$은 0.8717과 0.8068이고 P-value는 각각 0.0195 (p <0.05)와 0.0612로서 야채의 배합비에 따라 맛에 있어서 유의확률 5%수준에서 그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한 유의성은 $R^2$이 0.8463이고 P-value는 0.0344 (p <0.05)임을 볼 때, 설정된 범위내에서 야채의 배합비에 따라 제조한 쇠고기 야채 쌀죽의 맛과 기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최대 임계점이 버섯의 첨가량은 0.99%, 당근의 첨가량은 0.97%, 대파의 첨가량은 0.59%에서 최적 반응표면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야채의 배합비에 따른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그 유의성이 5%수준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oup mix 제조시 쌀가루 양에 대한 야채의 최적 배합비는 버섯, 당근, 대파에 있어서 각각 0.99, 0.97과 0.59%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Histochemical Detection of Ionic Zinc in the Rat Olfactory Mucosa: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hy ($ZnSe^{AMG}$) (랫드 후각점막내 Zinc 이온의 조직화학적 동정)

  • Nam, Dong-Woo;Sun, Yuan-Jie;Kim, Sung-Joo;Kim, Yong-Kuk;Kim, Soo-Jin;Yu, Yun-Cho;Jeong, Young-Gil;Jo, Seung-Mook
    • Applied Microscopy
    • /
    • v.33 no.2
    • /
    • pp.145-154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monstrate ionic zinc in the rat nasal mucosa by means of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hy ($ZnSe^{AMG}$). Rats were given sodium selenide either intraperitoneally (i.p) or intranasally (i.n). Prior to the i.n. administration the rats were anesthetized with pentobarbital sodium (30 mg/kg, i.p.). A thin plastic tube coupled to a Hamilton syringe was then inserted into the right nostril and $10{\mu}l$ of the solution was instilled. For the i.p. administration non-anesthetized rats were given $100{\mu}l$ of the sodium selenide solution (10 mg/kg). Control rats were instilled with saline. After 2 hrs survival, the rats were anaesthetized and transcardially perfused with 3% glutaraldehyde. The olfactory area was removed and put into same fixative. The nose was then sectioned ($30{\mu}m$) horizontally, autometallography (AMG) was performed according to Danscher et al. (1997). After silver enhancement, fine AMG grains were scattered in the whole length of the olfactory epithelium containing olfactory receptor neurons, sustentacular and basal cells. However, much higher concentration of the AMG grains occupied near the surface and in the basal region of the olfactory epithelium. Both groups of i.p. and i.n. administration showed almost same level in the concentration of the AMG grains. In i.n. group, few AMG grains were also found in olfactory nerves of the lamina propria, suggesting zinc transport into the olfactory bulb via olfactory axons. At the electron microscopic level, the AMG grains were most entirely found in the supporting cells of the olfactory epithelium, and they were mostly localized in lysosome-like organelles. The i.n. group showed various signs of tissue damage of the olfactory mucosa, where dense concentration of AMG grains were localized at crystalloid structure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dense population of ionic zinc in the rat olfactory epithelium. zinc may play a role in the olfactory functioin and in the pathogenesis of the neurodegerative disorders affecting nose.

Spectroscopic Analysis on Michael Addition Reaction of Secondary Amino Groups on Silica Surface with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 (2차 아미노기가 결합된 실리카 나노 입자 표면에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의 마이클 부가 반응에 대한 분광학적 분석)

  • Lee, Sangmi;Ha, Ki Ryong
    • Polymer(Korea)
    • /
    • v.38 no.2
    • /
    • pp.257-264
    • /
    • 2014
  • In this study, we modified silica nanoparticles with bis[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BTPED) silane coupling agent, which has two secondary amino groups in a molecule, to introduce amino groups on the silica surface. After modification of silica, we used acrylate group containing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 (AHM) to introduce polymerizable methacrylate groups by Michael addition reaction. We use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elemental analysis (EA) and liquid and solid state cross polarization magic angle spinning (CP/MAS)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NMR) to understand the reactions between N-H groups of BTPED modified silica surface and acrylate groups of AHM monomer. We confirmed Michael addition reaction between BTPED modified silica and AHM completed in 2 hr reaction time. We also found increased methacrylate group introduction with increase of mol ratio of the acrylate group of AHM to N-H group of BTPED modified silica by increase of C=O peak area of measured FTIR spectra. These results were also supported by EA and solid state $^{13}C$ and $^{29}Si$ NMR result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Exo-xylanase Producing Microorganism (Exo-xylanase 생산균의 분리 및 동정)

  • 하재석;이영남;임재윤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20 no.1
    • /
    • pp.14-19
    • /
    • 1992
  • The xylanase producing microorganisms occurring on rotten woods were selectively isolated on the modified Czapek-Dox medium supplemented with 0.5% xylan as a sole carbon source. Among more than three-hundred isolates of xylanase producing microorganisms, only two bacterial isolates were turned out to be more potent xylanase producer than the reference strain of xylanase producer, Aureobaszdium pullulans NRRL Y-2311. The exo-xylanase producer, bacterial isolate No. 33 was identified as a strain of Pseudomonas sp.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s as well as cellular fatty acid composition. Optima of pH and of temperature for enzyme reactions of xylanase were 5.5 and $50^{\circ}C$ respectively. The enzyme was stable in a range of pH 5.0~7.0 and below $45^{\circ}C$. Among the number of carbohydrate substrates, xylose was turned out to be a potent inducer of Pseudomonas sp. No.33 exo-xylanase. Among the raw materials tested, rice straw was the best material for xylanase production by Pseudomonas sp. strain No. 33.

  • PDF

Antioxidant effect of Aspalatone on KA-induced neurodegeneration in rat. (카인산 유발 신경세포 변성 모델에 대한 Aspalatone의 항산화 작용.)

  • Kim, Jin;Nam, Sung-Won;Gu, Chang-Hwi;Kim, Hyung-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5.04a
    • /
    • pp.95-95
    • /
    • 1995
  • 뇌신경 변성 / 퇴행과 관련된 중요한 병인론 중의 하나는 변성 과정에서 형성된 유리기(free radical)로 인한 항산화계의 평형 소실로 알려져 있다. Aspalatone (APT)의 예상되는 항산화 효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Kainic acid (KA) 유발 뇌변성 모델을 적용하였다. KA 모델은 변연계의 간질성 경련과 신경세포 변성에 대하여 재현성 있는 병변 모델을 제공해 주며, 이와 같은 신경세포의 병독 기전에 산소 유리기가 관여함이 강력히 시사되고 있기 때문이다. KA 투여로 인하여 지속적이고도 전형적인 간질성 경련이 관찰되고 1일 이내에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나 APT으로 인하여 그 간질성 경련 행위와 비율이 억제되고 KA 유발 치사율도 억제되었다. 최종 KA 투여 3일 후에 얻어진 흰쥐 해마 및 대뇌 피질에서 항산화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및 과산화지질의 지표인 Malondialdehyde (MDA)를 검정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KA는 뇌조직의 SOD-1을 유도하였으나, Cat.와 GSH-PX의 활성은 현저히 유도되지 않았고, 반면에 MDA 치는 현저히 증가하였다. 즉, Cat., GSH-PX와 같은 $H_2O$$_2$중화제가 동반 유도하지 않는 SOD의 유도는 세포내 축적되는 $H_2O$$_2$로 인하여 Fenton/Haber-Weiss 반응을 가속화하여 과산화지질화를 촉진함을 시사한다. APT 병용 투여로 SOD는 현저히 유도되지 않았으나 특히 Cat.가 현저히 유도되어지고 MDA는 억제되었다. 이와 같은 생화학적인 결과는 다음의 형태학적인 소견과 일치한다. Fos 관련 항원 (FRA)와 SOD-1을 면역세포화학 (Immunocytochemistry)적 방법으로 이중 표식 (double-labelling) 하였다. FRA는 KA로 인한 신경세포의 자극에 대한 지표로 응용하였고, SOD-1은 퇴행성 뇌질환에서 산화적 손상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KA 투여로 해마의 dentate gyrus (DG) 내에 강한 면역환성 (immunoreactivity)이 나타났고 pyramidal cell layer (PCL)와 glia에 SOD-1이 강하게 염색되었다. APT 병용 투여로 상당수의 경련이 일어나지 않은 흰쥐는 해마의 DG에 FRA가 경미하게 염색되었고, PCL에 SOD-1도 경미하게 나타났으나, 경련이 나타난 쥐에서는 KA만을 투여한 흰쥐와 구별되지 않았다. 이상의 APT의 항산화 효과는 KA로 인한 뇌세포 변성 개선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되나, 보다 명확한 APT의 기전을 검색하고 직접 임상에 응응하기 위하여는 보다 다양한 실험 조건이 보완되어야 찰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 of Random Interesterifica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Blends of Corn Germ Oil and Fully Hydrogenated Soybean Oil (옥수수기름과 극도경화대두 혼합유의 이화학적 성질에 대한 무작위 에스테르 교환의 영향)

  • Shin, Hyo-Sun;Chung, Kwang-Hyun;Chun, Je-Hyu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3 no.3
    • /
    • pp.360-365
    • /
    • 1991
  • Effect of random interesterifica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blends of corn germ oil and fully hydrogenated soybean oil was studied. Interesterification by using 0.4% sodium methoxide at $80^{\circ}C$ was completed in 35 minutes as determined by HPLC analysis for triglyceride composition. Changes of melting point, solid fat content, crystal form, fatty acid and triglyceride composition was investigated. After the interesterification, melting point and solid fat content were decreased, and coarse and large crystals were modified to fine and uniform. Fatty acid composition was not altered but triglyceride composition was largely altered. Interesterified blends of corn germ oil and fully hydrogenated soybean oil made with 80%, 20% and 75%. 25%, respectively, had desirable characteristics of the margarine for home use.

  • PDF

Synthesis of New 2-Quinazolylacetonitrile Derivatives (새로운 2-Quinazolylacetonitrile 유도체들의 합성)

  • Kim, Jung Hwan;Min, Kyung Su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5 no.6
    • /
    • pp.532-537
    • /
    • 2001
  • 2-Quinazolylacetonitrile derivatives containing H-chelate have been synthesized from 2-cyanomethylquinazoline using electrophiles such as 4-chloroquinazoline, 4-chloro-2-phenylquinazoline, 4,6-dichloropyrimidine, 4,6-dichloro-2-phenylpyrimidine, 4,6-dichloro-5-phenylpyrimidine, 2-chloroquinoxaline, 1,3-dichloroisoquinoline, 2,6-dichloropyrazine, 2-chloropyrazine and 4,6-dichloro-2,5-diphenylpyrimidine. These H-chelates may serve as a polymethine chromophore system. Structures of the target molecules were identified by spectral methods.

  • PDF

Analysis of Ammonia Gas Using Ion Chromatography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기체상 암모니아의 분석법 확립)

  • Lee, Jong-Hae;Min, Byung-Hun;Jeon, Ryong;Kim, Jin-Seok;Kim, Yong-Du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66-367
    • /
    • 2003
  • 암모니아 가스는 무색의 기체이지만 자극성이 크면서 부식성이 있고 수용액이 알칼리성인 대표적인 악취물질이다. 보통의 경우는 굴뚝 등에서 배출가스의 형태로 대량 방출되기도 하지만 자연상태에서도 여러 가지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반응 등을 통하여 생성되므로, 일상적인 생활 공간에서도 쉽게 검출될 수 있는 물질이다. 대기 중 암모니아의 농도는 기체상 시료를 직접 분석하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와 시료를 액체상으로 변환시킨 후 암모늄 양이온의 농도를 분광광도법이나 중화적정법으로 측정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