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중

검색결과 2,803건 처리시간 0.036초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bile salt deconjugation에 관한 연구

  • 안영태;임광세;백영진;김현욱
    • 한국유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제57회 추계심포지움 - DDA 농업협상에 따른 유가공 업계의 대응
    • /
    • pp.61-74
    • /
    • 2003
  • 담즙산은 cholesterol의 대사산물로 체내에서 cholesterol을 제거하는 주경로로서, 체내 cholesterol 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최근에 복합담즙산 분해활력이 높은 L. acidophilus에 의한 혈중 cholesterol 저하효과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것은 복합담즙산의 분해로 생성되는 유리 담즙산의 분 배출 증가와 장내 cholesterol 흡수에 필요한 복합 micelle 형성의 방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유리 담즙산은 장내에서 복합담즙산보다 용해성이 낮아서 흡수되지 않고 분으로 배출되기 쉬워, 간에서는 분으로 배출된 양만큼의 부족한 복합담즙산을 보충하기 위해 cholesterol을 이용하여 새로운 복합담즙산을 생성하기 때문에 결국은 체내의 혈중cholesterol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담즙으로 분비되는 복합담즙산은 소장내에서 cholesterol의 용해 흡수에 도움을 주지만 유리 담즙산은 cholesterol 용해성이 낮기 때문에, 장내 cholesterol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정천탕의 알러지에 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f Jungchun-tang on Allergies)

  • Chang-Gue Son;In-Chan Seol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5-71
    • /
    • 2003
  • 목적 : 정천탕(定喘湯, JCT)이 IgE/mast cell로 유포되는 천식(喘息)등의 알러지성 질환에 대한 효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IgE의 혈중농도와(in vivo) 분비 량을 측정하였으며(in vitro), 알러지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RT-PCR로 검색하였고, JCT의 수용성 복합 추출물이 compound 48/80로 유발되는 mast cell line(IC-2)의 histamine의 방출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측정하였다(in vitro). 결과 : 정천탕은 ovalbumin으로 유발시킨 마우스의 혈중 IgE량과 IL-4와 CD-40로 유도시킨 spleen B 임파구의 IgE 생성량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INF-r의 발현은 증가시킨 반면, IL-4와 IL-6의 발현과 mast cell의 histamine 방출은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정천탕의 항알러지 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임상적으로는 천식등 알러지성 질환에 사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모체이행항체에 대한 이해

  • 이윤정
    • 월간양계
    • /
    • 제33권10호통권384호
    • /
    • pp.116-118
    • /
    • 2001
  • 선천 면역(Maternal immunity)은 모체에서 유래된 lgG class의 항체(모체이행항체)에 의한 면역이다. 이와 같은 면역은 주로 체액성 면역(혈중항체)과 관계 있으며, 국소면역 또는 세포면역은 관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1일령 병아리의 항체가는 모계군의 혈청역가 보다 약간 낮게 나타난다. 부화 후 처음 4일간은 난황으로부터 흡수를 함으로써 혈중 항체가가 떨어지지 않고 비슷하게 유지되다가 그 이후 항체가는 차츰 감소하게 된다. 항체가가 감소하는 수준은 닭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이것은 생리대사와 성장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항체가가 반으로 감소하기까지의 기간(반감기)은 육계의 경우 3일에서 3.5일, 종계의 경우 4.5일, 산란계의 경우 5.5일로 나타난다. 1일령 때의 항체 역가 수준, 닭의 종류, 항체가를 측정하는 혈청검사의 방법 등에 따라 모체이행 감소 수준이 다르긴 하지만 보통 수주 이내에 완전히 소실되게 된다.

  • PDF

기능성 우유 개발을 위한 키토올리고당의 나노캡슐화

  • 최희정;안정좌;곽해수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33차 춘계 학술대회
    • /
    • pp.337-340
    • /
    • 2004
  • 본 연구는 키토올리고당이 우유에 첨가되었을 때에 색과 점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키토올리고당을 나노캡슐화하여 우유에 첨가하여 그 변화를 연구하였다.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 기능이 있는 키토올리고당은 우유 첨가 시 원래의 특성을 변형시키나 나노캡슐 첨가시에는 88.08%의 높은 수율을 나타내며 0.5% 첨가시 점도와 색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키토올리고당 나노캡슐은 온도에 크게 영향 받지 않으며 저장기간이 동안에(증류수 25일, 우유 15일)캡슐의 감소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 평가시에는 나노캡슐 1.5%의 농도까지 시유와 유의적 차이를 느끼지 못하였다. 실험 결과, 키토올리고당의 우유 적용시 적색화와 점도 저하를 나노캡슐 적용을 통해 해결하고 나노캡슐의 저장에 따른 안정성이 온도에 안정한 물질이라 판단된다. 또한 나노캡슐을 우유에 적용시 관능적으로도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키토올리고당의 나노캡슐화는 우유에 적용이 가능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적인 면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기능성 우유로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지역사회 획득성 폐렴 및 중증 패혈증이 있는 한 환자에게 Linezolid, Moxifloxacin과 Aztreonam을 초회 정맥 주사 후 ALT/AST 수치의 큰 폭 증가 증례 보고 (Drastic Growth of ALT/AST Level after First Doses of Intravenous Injection of Linezolid, Moxifloxacin and Aztreonam for a Patient with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 Severe Sepsis: A Case Report)

  • 윤현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94-399
    • /
    • 2011
  • 이 증례는 알코올 중독증을 앓은 병력을 가졌으나 간 기능에 특이한 증후가 없던 환자가, 지역 사회 획득성 폐렴으로부터 유발된 중증 패혈증 치료를 받기 위해서 linezolid, moxifloxacin 과 함께 aztreonam을 초회 정맥주사 맞은 후, 아주 높은 수치의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혈중 농도가 검출된 경우이다. 후속 치료에서 상기 3가지 항생제 대신 vancomycin과 ceftazidime을 주사했더니, ALT/AST가 빠르게 정상화됨이 관찰되었다. 이 증례 보고는 linzolid, moxifloxacin과 aztreonam을 함께 사용할 경우, 각별한 주의 관찰이 필요하며, 알코올 중독증을 앓은 병력을 가진 환자에게 투여 시 특별한 주의와 함께 AST/ALT혈중 수치를 검사토록 권하기 위한 것이다.

호산구성 폐렴 (Eosinophilic Pneumonia)

  • 손춘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3호
    • /
    • pp.177-186
    • /
    • 2008
  • 호산구성 폐렴은 혈중 호산구가 $1,000/mm^3$ 이상이거나 폐포 내 호산구 분획이 25% 이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폐 질환을 총괄하여 부르는 용어이다. 혈중 호산구증가증은 특발성 급성 호산구 폐렴의 초기나 이미 부신피질호르몬 제제를 투여받은 환자에서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호산구성 폐렴은 무증상의 폐 침윤에서 기계 환기가 필요한 급성 호흡 부전 증후군까지 증상의 중증도도 다양하다. 호산구성 폐렴의 원인으로 약제나 기생충이 있지만 많은 경우 원인을 찾을 수 없다. 폐 외 증상이 동반될 경우 Churg-Strauss 증후군이나 과다호산구증가 증후군의 가능성을 생가해야 되며 이런 경우 심장을 침범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예후가 결정된다. 가능한 원인에 대한 노출을 피하는 것 외에는, 부신피질호르몬 제제 투여가 가장 중요하며 대부분 극적인 호전을 보인다. 하지만 약제의 감량 중이나 치료 종결 후 재발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HES의 골수 증식성 변이형 치료에 imatinib의 효과가 최근 입증 되었다.

혈중요소 및 혈당농도 측정을 위한 휴대용 측정기 개발 (Development of a portable device for the measurement of urea concentration and glucose concentration in blood)

  • 유재택;이동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센서 박막재료 반도체 세라믹
    • /
    • pp.28-32
    • /
    • 2003
  • 본 논문은 시료의 양을 최소화하고 혈중 요소 및 혈당 농도에 대한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최근에 개발된 전기화학형 마이크로 전극형 센서의 간략한 소개 및 전기적인 특성에 관하여 요약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센서로부터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signal conditioning 회로의 설계, microprocessor를 이용한 digital 값으로의 변환 및 data 취득, 취득한 data를 측정된 혈당량 및 요소량으로의 변환 저장 display까지의 휴대용 계측기의 prototype 개발에 관하여 기술한다. 이 계측기는 미량의 혈액채취 한번으로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모드와, 측정된 data를 찾아보기 위한 검색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Microprocessor의 기능을 최대한 사용하여 측정기의 크기를 소형화하였으며 LCD(Liquid crystal display)틀 채택하는 등 저전력 회로로 구현하였다.

  • PDF

육계에서 스테비아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

  • 박재홍;류명선;박성복;김상호;류경선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11-112
    • /
    • 2003
  • 스테비오사이드를 추출하고 폐기되는 스테비아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육계사료에 수준별로 급여하여 육계의 생산성, 혈중 콜레스테롤, 장내 미생물 및 계육의 지방산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사료내 영양소 함량은 사육 전기와 후기에 각각 CP 21.5 %, ME 3,100 kca1/kg와 CP 19 %, ME 3,100 kcal/kg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처리구는 스테비아 부산물 0, 2, 4, 8 % 수준으로 하였고,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6수로 총 256수를 공시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 사육 전기 3주간의 증체량은 스테비아 부산물 8 %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후기 2주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전체 사육기간의 증체량에서도 스테비아 8 % 급여구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총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은 스테비아 부산물 급여구와 대조구 사이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비아 부산물의 급여가 장내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맹장의 Salmonella, E coli는 감소하고 Lactobacillus 및 Yeast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에서도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또한 스테비아 부산물을 급여하여 생산된 가슴육의 지방산 함량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 PDF

백혈구 증가증 환아의 혈장내 G-CSF와 GM-CSF의 농도 및 과립구에서의 이들 수용체의 발현 (Plasma G-CSF and GM-CSF Concentrations and Expression of their Receptors on the Granulocyte in Children with Leukocytosis)

  • 최원석;유경환;김유정;김소영;김현희;이원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3호
    • /
    • pp.271-276
    • /
    • 2003
  • 목 적 : G-CSF와 GM-CSF는 과립구생성에 중요한 사이토카인으로서, 각각의 수용체 G-CSFr과 GM-CSFr에 결합하여 기능을 하게 되며, 이들 수용체들은 미성숙 골수 세포로부터 성숙 된 말초 과립구까지 발현된다. 일반적으로 혈중 G-CSF와 GM-CSF의 농도 및 이들 수용체의 발현은 과립구가 증가하는 감염질환에서 변화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백혈구 증가증에서 과립구수 증가와 관련된 변화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백혈구 증가증 환아와 정상아의 혈중 G-CSF와 GM-CSF의 농도를 측정하고 말초혈액의 과립구 표면에 존재하는 이들의 수용체를 정량분석하였으며, 활동성이 있는 수용체 발현 양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 지를 분석하여 백혈구 증가증 환아의 과립구 수 증가와 G-CSF와 GM-CSF 및 이들 수용체 변화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상 대조군으로서 비감염성 질환으로 입원한 같은 연령대의 아동 중 말초혈액 백혈구 수 및 중성구 수가 정상인 아동 13명과 급성기 초기의 백혈구 증가증 환아 14명, 총 27명의 혈중 G-CSF와 GM-CSF의 농도를 측정하였고 세포표면 G-CSFr와 GM-CSFr의 발현양은 각각 항 G-CSF 수용체 단 클론항체, 항 GM-CSF 수용체 단클론항체와 혼합 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활동성 G-CSFr, GM-CSFr의 양적변화를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백혈구 증가증 환아의 총 백혈구 수는 $24,100{\pm}6960/{\mu}L$로 정상 대조군 $8,680{\pm}378/{\mu}L$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중성구 수는 백혈구 증가증 환아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20,800{\pm}2120/{\mu}L$ vs $3,360{\pm}2,120/{\mu}L$) 단구수는 차이가 없었다. 혈중 G-CSF의 농도 $164.0{\pm}187.5pg/mL$는 정상 대조군 $71.9{\pm}94.1pg/mL$과 감소된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217) 혈중 GM-CSF의 농도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968). 백혈구 증가증 환아의 중성구의 G-CSFr 발현양 $963.6{\pm}575.7$은 정상대조군 $1711.1{\pm}452.6$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012), 백혈구 증가증 환아의 중성구의 GM-CSFr의 발현양 $471.7{\pm}217.0$은 정상 대조군의 $854.8{\pm}383.0$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20). 항 G-CSFr항체는 수용체가 G-CSF와 결합하고 나면 수용체에 결합하지 못하는 epitope에 대한 항체로 보여지며, 수용체를 포화시키기에 충분한 과량의 CSF와 배양시킨 후 포화농도에도 결합하지 않은 수용체의 양을 측정하면 남은 수용체 즉, 활동성 수용체 수는 감소하게 되는데, 백혈구 증가증 환아에서 과량의 G-CSF에 배양한 후 감소된 중성구 G-CSFr의 발현양은 $407.8{\pm}405.1$로 정상 대조군의 $1,012.2{\pm}488.5$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050), 혈중 G-CSF 농도 및 혈중 GM-CSF 농도와 무관하였다(P=0.735, P=0.087). 백혈구 증가증 환아와 정상대조군에서 수용체를 포화시키기에 충분한 과량의 GM-CSF에 배양한 후 중성구의 GM-CSFr의 발현양을 분석한 결과는 발현이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증가된 중성구의 GM-CSFr의 발현 양은 정상아 및 백혈구 증가증 환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828). 결 론 : 백혈구 증가증에서는 중성구 수 증가에 의하여 총 백혈구 수가 증가되고 혈중 G-CSF의 농도는 중성구 증가의 원인으로 생각되며 G-CSFr과 결합하여 백혈구 증가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 GM-CSF 농도 및 GM-CSFr은 백혈구 증가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Diazepam 전투여와 Lidocaine 투여용량이 혈중농도 및 심혈역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docaine Dose and Pretreated Diazepam on Cardiovascular System and Plasma Concentration of Lidocaine in Dogs Ansthetized with Halothane-Nitrous Oxide)

  • 이경숙;김세연;박대팔;김진모;정정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451-474
    • /
    • 1993
  • 전신마취, 부위 또는 국소 마취시, 그리고 향부정맥제로 술중 및 중환자실에서 흔히 쓰이는 lidocaine의 용량과, 국소 마취제로 인한 중추 신경계의 독성을 예방 또는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diazepam의 전투여시 이로 인한 심혈관계 변화 및 lidocaine의 혈중농도를 관찰, 측정하여 환자의 관리 및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본 실험을 하였다. Nitrous oxide, halothane으로 마취된 개에서 근육이완제 사용 후 조절호흡하에서 혈중 이산화탄소를 35-45mmHg로 유지하면서 국소 마취체인 lidocaine의 용량을 100 mcg/kg/min, 200 mcg/kg/min, 300 mcg/kg/min로 각각 30분간 지속적 침제하면서, diazepam 전투여 유무에 따른 심혈 역학치의 변화 및 lidocaine의 혈중농도를 측정하고, 억제된 심혈관계에 $CaCl_2$를 투여하여 회복 정도를 관찰하였던 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Lidocaine의 지속적 침제량이 증가됨에 따라 심혈관계의 억제가 심하게 나타났으며 평균 동맥압, 심장지수, 일회 박출지수, 좌심실 박출 작업지수, 우심실 박출 작업지수 등은 감소하였고 (p<0.05), 폐동맥 쐐기압, 중심 정맥압, 전신혈관 저항지수 등은 증가하였으나 (p<0.05), 심박동수, 평균 폐동맥압, 폐혈관 저항지수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Lidocaine 100 mcg/kg/min 지속적 침제시는 diazepam을 투여한 II군에서만 평균 동맥압의 의의있는 감소를 보였으며 (p<0.05), lidocaine의 혈중농도는 diazepam투여하지 않은 I군에서는 $3.97{\pm}0.22$에서 $4.48{\pm}0.36$ mcg/ml 범위였고 II 군에서는 $3.70{\pm}0.32$에서 $4.10{\pm}0.22$ mcg/ml범위였다. Lidocaine 200 mcg/kg/min의 지속적 침제시는 I군에서는 평균 동맥압의 감소, 중심정액압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p<0.05), II 군에서는 심장지수의 감소, 폐동백 쐐기압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p<0.05), lidocaine의 혈중농도는 I군은 $7.50{\pm}0.66$에서 $7.91{\pm}0.77$ mcg/ml, II군에서는 $7.64{\pm}0.79$에서 $8.23{\pm}1.18$ mcg/ml범위로 증가하였다. Lidocaine 300 mcg/kg/min의 지속적 침제시는 I군에서는 평균동맥압, 일회 박출지수, 좌심실 박출 작업지수의 감소가 있었고 (p<0.05), 폐동맥 쐐기압, 중심 정맥압, 전신혈관 저항지수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p<0.05). II군에서는 심장지수, 일회 박출지수, 좌심실 박출 작업지수의 감소가 있었으며 (p<0.05), 폐동맥 쐐기압, 중심 정맥압, 전신혈관 저항지수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p<0.05). 그러나 심박동수, 폐동맥압의 변화는 거의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이때의 혈중 lidocaine의 농도는 I군에서는 $11.30{\pm}2.11$에서 $11.83{\pm}0.59$ mcg/ml범위 로, II군에서는 $12.95{\pm}0.71$에서 $13.79{\pm}0.82$mcg/ml의 범위로 나타내었다. $CaCl_2$ 투여 후는 억제된 심장지수, 일회 박출지수, 전신혈관 저항지수, 폐혈관 저항지수, 좌심실 박출작업지수 및 우심실 박출 작업지수는 회복시켰으나 (p<0.05), 폐동맥 쐐기압, 중심정맥압 등은 오히려 억제시켰다 (p<0.05). 이상에서 자율신경계에 손상이 없으며 산혈증 및 과탄산증이 없는 개에서는 lidocaine의 높은 혈중 농도치에서도 혈역학에 내성이 있었으며, ljdocaine의 중추신경계 독성의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diazepam의 전투여 시에도 추가적인 심혈관계의 억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자율신경계 이상이 있거나 자율신경계를 억압할 수 있는 약을 사용할 때 또는 산혈증, 과탄산증 및 저산소증이 동반된 환자에 사용할 때에는 세심한 주의가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