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관벽 재형성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협착이 발생된 관상동맥의 보상적 재형성에 따른 혈류역학적 응력변화 (Hemodynamic Stress Changes due to Compensatory Remodelling of Stenosed Coronary Artery)

  • 조민태;서상호;이병권;권혁문;유상신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529-532
    • /
    • 2001
  •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investigate hemodynamic characteristics and to define shear-sensitive remodeling in the stenosed coronary models. Two models for the compensatory remodelling used for this research are a pre-stenotic dilation and a post-stenotic dilation models for the computer simulation. The peak wall shear stress on the post-stenotic model is higher than that of the pre-stenotic model. Two recirculation zones are generated in the pre-stenotic model, and the zones in the pre-stenotic model are smaller than those in the post-stenotic model. Variation of the wall shear stress in the pre-stenotic model is lower than that in the post-stenotic model. In computer simulation with the post-stenotic model, higher temporal and spatial shear fluctuation and stress suggested shear-sensitive remodeling. Shear-sensitive remodeling may be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risk of plaque rupture, the underlying cause of acute coronary syndromes, and sudden cardiac death.

  • PDF

관동맥성형술 후의 혈관 재협착 및 재형성 (Restenosis and Remodeling)

  • 채제건
    • 대한핵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핵의학회 1999년도 제38차 춘계학술대회
    • /
    • pp.205-208
    • /
    • 1999
  • 재협착에 관여하는 인자는 매우 다양하다. 평활근 세포의 증식, ECM의 형성, 혈관벽의 초기 혈전형성, 그리고 혈관 재형성 등이 모든 것들이 재협착의 병인에 기여하고 있다. 환자마다 이런 요소들의 기여정도가 다르며 동일 환자에서도 병변에 따른 기여정도가 또한 다르리라 여긴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는 외막섬유모세포의 역할, 내피세포의 재생, 증식세포의 계획된 죽음 등 재협착의 기전을 불완전하게 이해하고 있고 따라서 보다 완전한 이해를 통해 효과적인 재협착 예방치료가 시행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Monocrotaline으로 유발한 백서 폐동맥 고혈압에서 Endothelin 수용체 차단제 투여의 효과 (Effect of endothelin receptor blockade on monocrotaline-induced pulmonary hypertension in rats)

  • 임경아;심정연;조상호;김관창;한재진;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6호
    • /
    • pp.689-695
    • /
    • 2009
  • 목 적 : 폐동맥 고혈압은 지속적인 폐혈관 저항의 증가로 우심실 부전에 이르게 되는 질병 상태를 일컫는다. 폐동맥 고혈압의 기전으로 폐혈관의 내피세포로부터 endothelin 분비가 증가되어 세포 증식 촉진, 세포 자멸 억제, 혈관 수축, 염증 반응을 통해 폐혈관의 재형성에 관여함이 제시되었다. Bosentan은 endothelin 수용체에 결합하여 효과를 차단시키는 약물로 개발되었다. 이에 monocrotaline으로 폐고혈압을 유발시킨 동물에서 non-selective endothelin receptor blocker인 bosentan을 투여하였을 때 폐동맥 고혈압 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체중 250 g 내외의 4주령 가량 된 자성 Sprague-Dawley 백서를 대조군, monocrotaline군, bosentan군으로 나누었다. Monocrotaline군과 bosentan군에는 monocrotaline 수용액 60 mg/kg를 배부에 1회 피하 주사하고 대조군에는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주사하였다. Bosentan군에는 bosentan ($20mg{\cdot}kg^{-1}{\cdot}day^{-1}$)을 monocrotaline 투여 직후부터 매일 1일 2회 위관 영양법으로 투여하였다. 7일, 14일, 28일에 각각 동물을 희생시켜 심장의 무게를 우심실벽, 좌심실벽, 심실간벽으로 나누어 기관의 무게를 측정하고 조직 검사를 위해 양측 폐를 포르말린 수용액에 고정하였다. 결 과 : 7일, 14일, 28일째 평균 체중은 대조군에 비해 monocrotaline군과 bosentan군이 유의하게 적었다. 우심실/(좌심실+심실간벽)의 무게 비율은 28일째 monocrotaline군($0.71{\pm}0.10mg/g$)에 비해 bosentan군($0.49{\pm}0.09mg/g$)이 유의하게 적었다(P<0.05). 폐세동맥의 조직형태학적 분석 결과 실험 28일째 monocrotaline투여에 의해 유발된 중막 비후 소견이 bosentan 투여에 의해 현저하게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monocrotaline군 $49.94{\pm}10.06$ vs bosentan군 $47.09{\pm}10.48$, P<0.05). 또한 호흡성 세기관지 이하의 폐포에 분포하는 근육성 폐세동맥의 숫자도 monocrotaline 투여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14, 28일째 bosentan군에서는 현저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Monocrotaline으로 유도한 백서의 폐고혈압에서 bosentan을 투여하고 초기 경과를 관찰한 결과, 2주째부터 우심실 비대가 억제되었고 4주 이내 사망률도 낮아 endothelin receptor에 대한 길항 작용의 효과로 해석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