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 실측

Search Result 52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Uncertainty Analysis in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Using the Field Measurement Data (현장실측에 의한 조도계수 산정의 불확실도 평가)

  • Kim, Ji-Sung;Lee, Chan-Joo;Kim, 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10
    • /
    • pp.801-810
    • /
    • 2007
  • In this study, validity and limitation of the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using the measured field data are investigated and the errors of the calculated roughness coefficient are analyzed. The assumption of uniform flow led to much difference of the computed results in low flow, and this is due to change of the cross-section informations such as flow area and hydraulic radius rather than the difference of velocity head.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estimations of average roughness coefficient in the reach which is relatively long, the calculation using the modified Newton-Raphson method is very efficient and accurate. In the measured roughness coefficient, the errors of measured flow and stage are included and the lower flow is, the larger the magnitude of error of measured roughness coefficient is. But the error of depth and velocity associated with uncertainty of roughness coefficient is less than about 5% in the both of low and high flow, and it shows the validity of measured roughness coefficient.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Total Sediment in the Stream (중소하천에서의 유사특성에 대한 연구)

  • Choi, Gye-Woon;Seo, Jong-Ok;Jang, Y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33-937
    • /
    • 2008
  • 유사(sediment)란 지각의 풍화작용에 의해 생성되어 유수나 바람 등에 의해 침식, 이송, 퇴적된 물질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하천유사(fluvial sediment)를 말한다. 유사의 크기는 작게는 미세한 점토입자부터 크게는 자갈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하천에서의 소류사량과 부유사량을 포함한 총유사량의 추정은 하천유사 문제의 기본이며 하천내의 수리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하천개수 및 하도의 안정, 홍수터 관리, 저수지의 설계 및 운영 등 수자원 개발 및 관리를 위한 하천계획에 필요한 기본적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하천에서의 실측을 통한 유사산정을 위해 대상하천에서 각 유량에 따른 부유사를 채취하여 시료분석을 통한 결과와 대상하천의 수리특성을 분석하여 총유사량의 산정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상하천에 대하여 알맞은 측정조사지점을 선정하여 15회에 걸쳐 현장측정을 시행하였으며, 현장 측정시 유량측정을 위한 수위 및 유속을 측정하였고, 부유사농도 및 부유사입도분석을 위한 시료를 채취하여 실내 실험시 SS분석 및 BW관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하천의 현장실험 측정성과와 수리특성을 기초자료로 하여 각 회차에 걸친 총유사량의 산정을 하였으며, 총유사량의 산정은 총유사량 추정 방법들인 직접 실측에 의한 방법, 간접계산에 의한 방법, '실측+계산'에 의한 방법 중 신뢰도가 높으며 경제성이 높은 '실측+계산'에 의한 방법과 간접계산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는 공식으로 산정하였다. 결과들의 비교와 대상하천의 수리특성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적정공식을 선정하고 공식의 선정 원인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 PDF

Parameter Estimation of Chiu's Two Dimensional Velocity Distribution Equations (제주 산지형 하천의 하상 입경을 이용한 조도계수 산정 연구)

  • Kim, Yongseok;Kang, Meyongsu;Kang, Boseong;Yang, Su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36-436
    • /
    • 2018
  • 하천의 조도계수는 하상 입자들의 크기 및 형상, 식생, 수로의 만곡 등 흐름특성에 영향을 주는 복합적인 경험적 매개변수이므로 그 값을 정확히 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Chow, 1959). 제주도 산지하천은 하상이 매우 불규칙하고 조도계수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정확한 홍수위, 홍수량 산정이 어렵다. 또한 하상경사가 매우 급하여 상류와 사류가 복합적으로 발생하므로 수치모의 시 수위차가 크게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현장실측 기반의 하천 조도계수 산정을 통한 홍수위, 홍수량 산정에 정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 북부지역의 건천(한천, 병문천, 독사천, 산지천)을 대상으로 하상재료를 직접 실측하여 하상 입경을 이용한 조도계수를 산정하였다. 실측 방법은 대상하천의 현장답사 및 현장조사를 사전에 실시하였으며, 하천의 종단 방향으로 1km 간격, 100개 이상의 하상재료를 표본으로 취하고 선격자법을 적용하였다. 대상하천 하류부의 좌안, 우안은 대부분 하천 정비에 의한 제방 구축이 되었으며, 상류부는 경사가 급한 암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상을 중심으로 구성물질의 입경과 조고를 측정하여 상류 흐름의 영향범위를 고려한 조도계수를 산정하였다. 표본 측정시 점 사주, 여울, 웅덩이 등 국부적으로 하상재료의 변화가 심한 구역은 피하고 가급적 해당 구역에서 보편적으로 산재된 하상재료를 선택하였다. 향후 부정류 모형인 HEC-RAS를 이용하여 실측 유량과 수위를 적용한 조도계수를 산정한다면 보다 정밀한 조도계수를 산정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by a field tracer experiment in river (하천내 현장실험을 통한 오염물의 확산 특성)

  • Kim, Ki-Chul;Jung, Sung-Hee;Lee, Jung-Lyul;Suh, Kyu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71-197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 유입된 오염물질의 거동 및 확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하천에서 추적자를 이용한 현장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구간은 경상북도 경주시 에 위치한 하천으로 총 길이 2km, 평균폭 25m로 이루어진 대종천이다. 현장실험에서의 추적자 실험결과를 수치모형과 비교하기 위해 2차원 수심적분 모형인 RMA2, RMA4를 이용하였다. 2차원 동수역학적인 모형인 RMA2를 사용하여 흐름장을 모의한 후 계산결과를 2차원 수질모형인 RMA4에 입력하여 농도자료를 모의하였으며 상 하류단의 경계조건은 현장 실험시 실측한 상류단의 유량과 하류단의 수위를 적용하였다. 실측한 자료를 경계조건으로 모형에 적용하여 시간에 따른 농도값을 계산하였으며, 그 계산값을 추적자의 농도 관측값과 비교하였다. 계산결과는 서로 잘 일치하였다.

  • PDF

A Study for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 Methods with soil Analysis (지질분석에 따른 접지방식별 특성에 관한 연구)

  • Shin, D.H.;Kim, Y.;Jung, Chul-Hee;Cho, Dae-Hoon;Kim, Pil-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c
    • /
    • pp.1347-1350
    • /
    • 1999
  • 접지는 최근까지 대형 변전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분야에서 정확한 현장 분석 없이 단순히 접지저항만을 계산하여 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접지 설계에 필수적인 시공 현장의 대지저항률을 실측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지질특성을 분석한 후, 3가지 방식의 접지시스템을 현장에 맞게 설계 시공하였다. 각각의 접지 시스템의 시공은 동일한 장소에서 이루어 졌으며, 시공된 각각의 접지시스템들의 결과를 실측하여 접지 설계에 따른 시공 성능을 확인하였으며, 접지시스템들의 성능과 특성을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장에 가장 적합한 접지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2-D Numerical Simulation Considering Channel Topographical Features (하도의 지형특성을 고려한 2차원 수치모의)

  • Song, Seung-Won;Lyu, Si-Wan;Kim, Young-Do;Seo, Il-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53-857
    • /
    • 2009
  • 2차원 흐름해석 모형인 SMS(Surface-Water Modeling System)와 RAMS(River Analysis Modeling System)를 이용한 유속장 모의를 통해 Manning 조도계수와 와점성계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흐름특성은 Manning 조도계수에 큰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Manning 조도계수의 변화를 통하여 실측치에 근사한 유속 분포의 모의결과를 도출하고자 현장실측을 통해 취득한 자료를 이용하여 2차원 수치모형의 모의결과와 비교하였다. 국가하천 형산강 본류 중 안강수위관측소에서 부조수위관측소 사이 약 4.3 km 의 구간을 모의구간으로 선정하였으며, $2006{\sim}2007$년에 걸쳐 취득된 현장실측자료를 바탕으로 매개변수 추정 및 모의결과와 비교하였다. 대상구간에 대한 모의결과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하도의 지형특성 등을 고려하여 모의구간을 다수의 구획으로 구분한 후 수심 및 하도 평면선형을 고려한 Manning 조도계수를 차등적으로 할당하여 모의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모의결과의 정확도 제고가 가능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Prediction of Field Permeability Using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현장투수계수 예측)

  • Kim, Young-Su;Jung, Sung-Gwan;Kim, Dae-M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3C
    • /
    • pp.97-104
    • /
    • 2009
  • In this study, artificial neural network was performed using the data of soils characteristic value, standard penetration test, and field permeability test of the 12 embankment that are located in the near Nak-dong and Kum-ho river to estimate the coefficient of field permeability of river embankment. The 89 data of total 108, 82% was used in learning step, and the other 19 data was used in estimation step. Also the results of generally used empirical equation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evaluation of application. As results, all of the coefficient of field permeability by empirical equation showed below 0.4 in terms of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with the measured values, but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of the predicted results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was up 0.8 in the all case. Therefore artificial neural network could predict more the precise field permeability well than the empirical equations.

Method for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by field measurement and its application (현장 실측에 의한 조도계수 산정 방법과 그 적용)

  • Lee, Chan-Joo;Kim, Ji-Sung;Kim, Yong-Jeon;Ki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504-508
    • /
    • 2010
  • 조도계수는 하천의 흐름 저항을 총량적으로 나타내는 변수로서 흐름 계산에 큰 영향을 미치며 그 결과로 하천의 제방고 등 치수 시설물의 설계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조도계수의 산정은 오래 전부터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위와 유량에 대한 현장 실측 자료를 토대로 Manning 식에 의해 조도계수를 산정하는 방법을 개괄하고 이를 실제 하천에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호박돌, 자갈, 모래 하천과 자연 하천과 도시 하천을 포함하는 총 28개의 다양한 지점에 대해 조도계수가 산정되었다. 그리고 각 지점에서 산정된 유량에 따른 조도계수의 변화 특성이 분석되었다. 자갈 및 호박돌이 주된 하상재료인 하천에서는 조도계수가 유량 증가에 따라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모래하천이나 도시 하천의 경우 유량 증가에 따른 조도계수의 변화가 거의 없거나 종종 조도계수가 증가하는 특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자갈 하천의 경우 상대수심과 조도계수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수심이 증가하면서 조도계수가 감소하는 특성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그 경향성은 Limerinos(1970)이 제시한 식과 상당히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국내 하천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된 경험식을 제시하였다.

  • PDF

Evaluation for Lateral Movements of Bridge Abutment on Soft Ground (연약지반상 교대측방이동에 대한 판정)

  • 홍원표;송영석;조용량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4
    • /
    • pp.269-278
    • /
    • 2001
  • 국내 30개의 교대측방이동 사례현장에 대하여 교대기초말뚝의 사면안정효과와 교대의 실측측방변위를 고려한 사면안정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결과 사면안전율은 말뚝의 효과를 무시한 경우 1.5이상, 말뚤의 효과를 고려한 경우 1.8이상 되어야 안전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교대의 실측측방변위와 사면안전율과의 상관관계로부터 교대의 허용측방변위 설계기준은 5cm보다 1.5cm로 함이 더 합리적임을 알 수 있다. 사면안정해석결과와 교대의 실측측방변위를 토대로 기존에 제안된 교대측방이동 판정기준의 국내 적용여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하여 교대의 사면안정해석결과 및 실측측방변위와 교대측방이동 관련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다. 그 결과 실측된 교대의 측방변위와 이를 고려한 사면안전율은 교대의 측방유동지수, 측방이동판정지수 및 지반의 안정계수와 무관한 경우도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국 이들 경험적인 지수만으로 교대측방이동을 판정하는 것은 불충분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대측방이동을 판정할 경우에는 반드시 교대의 측방변위를 고려한 사면안정해석이 실시되어야 한다.

  • PDF

Analysis of Mold Transformer Vibration in Field Test (현장실측에 의한 몰드변압기 진동 분석)

  • Kim, Chong-Min;Shong, Kil-Mok;Bang, Sun-Bae;Kim, Young-Seok;Choi, Myeong-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136-213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몰드변압기의 다양한 진단방법 연구를 위해 몰드변압기의 진동을 측정 분석하였다. 현장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3상 몰드변압기를 용량별로 진동수를 측정하고 FFT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장실측을 통해 몰드변압기의 상태진단을 진동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진동주파수만을 측정하여 판단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단, 삼상변압기의 각 상에 대한 비교평가는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