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 구축

Search Result 2,35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Building-up and Feasibility Study of Image Dataset of Field Construction Equipments for AI Training (인공지능 학습용 토공 건설장비 영상 데이터셋 구축 및 타당성 검토)

  • Na, Jong Ho;Shin, Hyu Soun;Lee, Jae Kang;Yun, Il D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1
    • /
    • pp.99-107
    • /
    • 2023
  • Recently, the rate of death and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is the highest among all kinds of industries. In order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construction sites, it is essential to secure a dataset which can be used as a basic training data. In this paper, a number of imag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ctual construction site, for which major construction equipment objects mainly operated in civil engineering sites were defined. The optimal training dataset construction was completed by annotation process of about 90,000 image dataset. Reliability of the dataset was verified with the mAP of over 90 % in use of YOLO, a representative model in the field of object detection. The construction equipment training dataset built in this study has been released which is currently available on the public data portal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is dataset is expected to be freely used for any application of object detection technology on construction sites especially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safety in the future.

한국천문연구원-제38호

  • 한국천문연구원
    • KASI NEWSLETTER
    • /
    • s.38
    • /
    • pp.1-4
    • /
    • 2003
  • 연구회 현장평가 실시/KAO Vision21 최종 총괄위원회 개최/제11회 천체사진공모전 개최/ 2003 별의 축제 개최/김종수 박사,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수상/천문우주정보센터 DB 색인 1단계 구축 완료/PC 클러스터 32대 구축 완료/한국가상천문대 구축 현황/식목행사 실시/학회동정/인사발령/승진발령/브레인풀 임용/직원동정/콜로키움/호주 Mount Stromlo 천문대의 화재

  • PDF

Design of Network Architecture in Underground Structure Field Information Based on VI-GNSS (VI-GNSS 지하구조물 현장정보 네트워크 아키텍쳐 설계)

  • Jeon, Heung-Soo;Jang, Yong-Gu;Oh, Chang-Kyun;Kim, Min-Ko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8 no.1
    • /
    • pp.64-73
    • /
    • 2015
  • Recently, the integrated utilization of technology with IT is in demand for the effectiveness of field management together with the prevention and prompt action on safety accident at construction site.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construction site support system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securing of worker's safety, smooth work instruction, efficiency in construction, and others. Data standardization and network architecture were designed regarding data and sound information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systems and management. These were to construct USFSS based on integrated VI-GNSS technology in this research. In the stability test of data for each system constructed through it, around 98% stability was secured between workers and for transfer vehicle system within underground structure and field server system in regards to the data transmission stability, around 100% stability was secured between field server system and control system, respectively. Also, in the sound transmission stability test, around 99% reliability could be secured with 1km distance as its standard in case of sound transmission from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site to field office near the field through wireless FRS system.

Position Tracking Method in Construction field using IT Technology (IT기술을 이용한 건설현장 내 위치관제 기법)

  • Kim, Hyun-soo;Do, Seoung-bok;Choi, Hyun-young;Jang, Young-gu;Jeon, Heu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475-478
    • /
    • 2014
  • This paper proposed the position tracking and recognition method of workers and cars in construction field. The reason why the position of workers and cars has to be tracked is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emergency rescue, and theft of building materials by unauthorized people and car, etc. To realize the tracking, it needs to adopt the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to the construction field as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continuous positioning tracking algorithm for workers and moving cars using the select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we proposed the virtual gateway method to detect the entrance status of moving workers and cars. All of these proposed methods are evaluated in real construction field using the prototype of support system made by ourselves.

  • PDF

Method for determining flood risk in construction sit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iques (인공 신경망 기법을 활용한 건설 현장 침수 위험 판정 방법)

  • Im Jang Hyuk;Cho Hye R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4-344
    • /
    • 2023
  •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극한 강우로 전 세계적으로 국지적 홍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극한 강우 발생시 다양한 건설 현장의 상황에 따라 침수 취약성이 나타나 인적 물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시공에 따른 현장 지형 변화에 대해 실시간으로 침수 예측이 불가하여 위험 판단이 어려운 실정이며, 극한 강우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강우 정보 획득 및 분석을 효율화하여 강우예측 정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설 현장의 침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침수 위험을 판정하고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침수 위험 판정 방법은 건설 현장에서 실시간 지형변화 정보 확보와 침수 위험 판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침수심 분석에 인공 신경망 기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침수판정 알고리즘은 지형, 강우 분석 모듈과 침수판정 모듈로 구성하였다. 지형 분석 모듈은 건설 현장이 시공진행에 따른 지형 데이터의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 실시간 영상 정보의 객체 탐지를 구분하는 인공 신경망 기법을 적용해 지형 분석 모듈을 구축하였다. 강우 분석 모듈은 다양한 강우 정보를 취합할 수 있는 서버를 구축하여 강우 임베딩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도록 고안하여 정확도를 높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강우-유출해석에 의한 침수심 값과 실측값, 침수 지표를 활용하여 인공 신경망 기법으로 침수 위험을 판정하도록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건설 현장에서 지형 상태의 지속적인 변화와 강우데이터의 정확도 향상에 대응할 수 있는 침수 위험 판정이 가능하고 인적 물적 피해 최소화를 기대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은 건설 현장에서 분석 시스템과 실측 모니터링에 의해 검증되어야 할 것이며, 건설 현장 외에도 스마트 도시 및 지하 공간에서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icient Construction of Open Source-based Sewage Facility Database (오픈소스 기반의 하수 시설물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 구축)

  • Ko, Jeongsang;Xu, Chunxu;Yun, Heech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40 no.5
    • /
    • pp.393-402
    • /
    • 2022
  • Effective data manage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human life. For this, input of up-to-date and high-accuracy data should be preced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an efficient data input method. In this study, by developing a sewage facility site survey program using open source software, paper drawings could be replaced with tablet PCs. By using a tablet PC, figures and property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field are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a database server. PostGIS query is developed to automate structured editing to minimize manual work in constructing a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base for sewage facilities. did. In addition, the database was built using the sewage facility GIS database building program.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isting sewage facility database construction, work process, and work time, the work process was simplified and work time was shortened. In addition, through simple customization of open source software, it will be able to be used for field surveys and database construction in other fields.

Construction of Flood Risk Assessment Model on Changkyeong palace in Seoul, Korea (서울 창경궁 지역의 홍수 위험도 평가 모형 구축)

  • Kim, Ji-Sung;Lee, Hy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2-702
    • /
    • 2012
  • 이상기후로 인하여 최근 급증하는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가 요구되며, 2010년 광화문 침수 및 2011년 서울 강남지역의 침수 등과 같이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기존의 치수대비 개념으로 접근하여 인명 및 재산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건축문화재에 대한 대비는 충분하게 고려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문화재의 홍수 위험도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서울의 대표적인 건축문화재인 창경궁의 홍수 위험도 평가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모형 구축을 위해 현장 실측 유량 자료와 서울 기상청(종로구 송월동)의 강우자료(2011년 6월-8월의 8개 사상) 활용을 통해 홍수 위험도 평가 모형(HEC-HMS)의 매개변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구축된 창경궁 지역의 평가 모형 검증을 위해 2011년 7월 26-28일까지 모의한 홍수량을 지형정보시스템(GIS)에 적용하여 침수 지도를 작성하였으며, 작성된 침수 지도를 현장에서 조사한 침수 흔적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침수 면적이 약 10%의 오차를 보였으며, 수행한 모의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구축한 홍수 위험도 평가 모형이 대상유역에 적합하며, 향후 홍수 위험도 평가를 위해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a Web-EOC Based Real-Time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in Steep Slopes (Web-EOC 기반 경사지 실시간 계측관리시스템 구축 및 적용)

  • LEE, Jin-Duk;CHANG, Ki-T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2
    • /
    • pp.107-119
    • /
    • 2018
  • The slope monitoring systems which have been operating at home and abroad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real-time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for evacuating inhabitants based on Web-EOC(Emergency Operating Center) was constructed. We tried to analyze realistically and precisely the situation by changing from the existing field-centered management to sensor-centered management that measures coordinates and provides in real-time data of measuring/monitoring sensors installed at a field site and developing related viewer programs. In addition, the 3D based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which has alarm functions in case of emergency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evacuation place, was constructed on the base that is able to expand to nationwide fields by using Vworld 3D map. Ten steep slope monitoring sites were registered on Web-EOC slope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constructed in the research and then application instances were suggested.

Mobile GIS Application for Managing Flood Disaster in River Basin (하천유역 홍수재해관리를 위한 Mobile GIS 기술 적용)

  • Seo, Young-Min;Kim, Sung-Bum;Jang, Kwang-Jin;Jee, Hong-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112-1115
    • /
    • 2006
  • 모바일 GIS를 홍수재해관리 시스템에 도입하기 위한 목적은 홍수에 대비한 신속한 상황대처 통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있다. 모바일 GIS 시스템 구축의 기본 방향은 하천유역에 대한 행정업무 및 정보화 업무의 효율성을 높여 현장업무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수문정보 및 지형정보에 대한 다양한 컨텐츠를 주민들이 쉽게 접근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현장 실무자가 하천 수위 및 유량을 관리하는 데 있어 즉각적인 조치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이동 클라이언트와 홍수재해관리시스템 서버간의 무선통신채널은 AP(Access Point)를 통한 WLAN이나 CDMA망의 모바일 네트워크 또는 차세대 휴대인터넷 망을 대상으로 하였다. 홍수재해관리시스템은 ArcIMS, HTML, Java Script를 이용하여 구축하고 웹 서비스를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IIS(Internet Information System) 사용하며, ArcIMS의 정상적인 구동을 위해 JRE(Java Runtime Environment)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주요 GIS 기능은 줌인, 줌아웃, 팬, 속성정보 검색, 거리측정, 버퍼링 기능 등이고 Layer는 침수위험건물, 대피건물, 침수지역 건물용도, 건물, 도로, 수계, 침수예상지역(100, 200년 빈도), 위성영상, DEM, 행정경계 등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시스템 구축에 사용될 데이터는 수리수문학적 데이터(유출량, 강우강도, 대상지역의 면적, Manning 계수 등)와 대상지역의 수치지도, DEM, 고해상 위성영상,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하도록 하였으며, 수리수문학적 데이터와 DEM 데이터를 바탕으로 침수지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얻은 속성정보와 디지털 지도인 공간정보를 연결하기 위해 디지털 지도에서 건물 Layer, 도로 Layer, 등고선 Layer, 수계 Layer를 추출하여 ArcGIS에서 Coverage로 변환하여 위상관계를 설정한 후 다시 Shape 파일로 변환하여 속성정보와 연결시키도록 데이터베이스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홍수재해 관리시스템에서 모바일 GIS를 적용하기 위하여 Pocket PC를 탑재한 이동 클라이언트인 PDA에 GPS 모듈을 확장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GIS 서버간에 XML 기술을 이용하여 수문정보 및 지형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System for water supply in the Agricultural Purpose of Bank-high Reservoir (농업용 둑높임저수지 운영시스템 개발)

  • Kim, Hae-Do;Lee, Kwang-Ya;Joo, Jin-Hun;Lim, Hyung-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88-188
    • /
    • 2012
  • 기존 농업용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이라는 단일한 목적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운영되어왔다. 그러나 둑높이기사업 후 기존 농업용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하천유지용수를 연중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경험적 물관리로는 갈수기간 동안의 물관리 및 홍수기 동안의 저수율 조정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기왕의 경험적 용수공급에서 탈피하고 가이드라인에 의한 공급이 이루어져야 용수목적별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물수지 분석 등 기술적으로 분석해야하는 과정을 종합하여 관리자가 쉽게 운영할 수 있도록 의사지원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둑높임저수지 운영데이터를 구축하고 저수지 운영곡선을 프로그램화 하여 현장 계측데이터를 연계한 물관리 의사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지리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운영물수지 프로그램이 모듈로 구축되어 농업용수와 하천유지용수 등 용수목적별로 월별 공급량을 계획하여 운영자 및 유관기관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기존 설계용량산정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운영에 필요한 운영 물수지분석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둑높임저수지의 일부 사업지구에 대한 운영곡선을 프로그램화 하였다. 시스템 개발은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DB화하고, 이를 활용한 운영물수지분석, 운영곡선 모의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축되었다. 물관리 센터-현장을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는 의사지원 모듈 즉, 센터에서 운영기준과 운영계획량을 수립(모의)하고, 이에 따라 조견표, 개도율로 현장을 운영할 수 있도록 단순화하였다. 추가적으로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홍수기 업무지원이 가능토록 기능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가이드라인에 의한 농업용저수지 운영관리라는 관점에서 유일한 시스템으로 유역별 환경변화 인자와 현장운영 경험치를 적용한 첫 번째 사례이다. 또한 관행적 물관리에서 탈피하여 과학적 수자원 관리로 국가 물관리 정책수립에 필요한 의사결정지원에 활용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