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실 맥락

Search Result 26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Designing Structure of Context-aware Information Visualization in AR Interface (공간과 사용자 맥락을 반영한 증강현실 인터페이스 상의 지능적 정보 시각화 방법론 설계)

  • Choi, I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445-447
    • /
    • 2012
  • 현재 증강현실 인터페이스 상의 정보시각화는 공간과 사용자 그리고, 구조를 적절히 반영하여 제공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증강현실이 만들어낸 현실과 가상의 병치된 공간 안에서, 인터페이스는 우리가 생활하는 물리적 공간 그 자체가 된다. 따라서 증강현실을 위한 UI를 구조화 할 때, 기존 인터페이스가 가진 특성을 AR공간안에서 재해석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 상 지능적 정보 시각화에 있어 고려해야 할 요소를 정보디자인의 설계 과정을 토대로 추출하여 AR공간에 특화된 UI구축의 방법론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MIC 대수 부분에 관한 분석: RME 이론의 관점에서

  • Park, Jeong-Suk;Park, Eun-Ju;Jo, Gyeong-Hui;Kim, Ji-Yeong;Gwon, O-Nam;Jeong, Yeong-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163-164
    • /
    • 2003
  • 최근 수학교육에서는 네덜란드의 수학교육이론인 현실적 수학교육(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이하 RME) 이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RME 이론의 관점에서 학생들은 만들어져 있는 수학을 수용하는 사람이 아니라 스스로 모든 종류의 수학적 도구와 통찰을 개발하는 활동적 참여자로서 다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수학 학습은 수학화될 수 있는 풍부한 맥락으로부터 시작해야하며, 이러한 수학화를 실제(reality)에 둘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는 교재로 시작해야 한다. 최근 발간된 'Mathematics In Context(이하 MIC)'는 RME 이론을 반영한 중등학교용 교과서로 맥락 문제가 그 중심이 되고 있으므로 RME 이론의 구체화된 실제를 볼 수 있는 예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Freudenthal의 교육철학을 소개하는 문헌 연구를 비롯하여 RME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교수 학습의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가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중등학교 이상의 수준에서 수행된 RME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RME 이론이 중등학교 이상에서 수행되는 예를 찾기 위해 MIC 대수 교과서 중 'Comparing Quantities(Kindt, Abels, Meyer, & Pligge, 1998)'를 중심으로 Treffers(1991)의 다섯 가지 교수 학습 원리(구성하기와 구체화하기, 여러 가지 수준과 모델, 반성과 특별한 과제, 사회적 맥락과 상호작용, 구조화와 연결성)가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RME의 수학 학습 이론은 학생들이 맥락과 모델을 사용하면서 다양한 수준의 수학화를 통해서 자신의 수학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MIC 교과서는 맥락 문제와 여러 가지 해결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그러한 수학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교재가 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Application of the Image in Post-Internet Art (포스트-인터넷 아트에서의 이미지 특징과 예술적 적용에 관한 연구)

  • Noh, A Young;Lee, Jung E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4
    • /
    • pp.347-357
    • /
    • 2020
  •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nature of image which uses the network as the medium in the context of 'post-internet art' and categorize and analyze the cases of applications within art images. In the post-internet art which embraces the background of Web 2.0 and extended digital and network environment, image is transformed and re-mediated into various formats beyond fixed forms. Hito Steyerl defined the image, copied, downloaded, and reedited digitally in low quality as 'poor image.' Young artists,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capture and re-contextualize the changed network environment and depict it in various images. In this context, the application of image in post-internet art can be categorized and analyzed into the 'Image Collected as Material' produced by collecting and recomposing images found in social media, operating system, and website, 'Image Processed through Work' which is newly processed and re-contextualized by using editing programs, and 'Combined Digital-Reality Image' which represents the section of the digital society as the film and image that combine virtuality and reality.

Metaverse as a future living environment of Homo Culturalis (문화적 인간의 미래 생활환경으로서 메타버스)

  • Lee, Arum;Oh, Min J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2
    • /
    • pp.167-176
    • /
    • 2022
  • In this paper, the metaverse is viewed as a future space for the living environment of Homo Culturalis. Although the metaverse is perceived as a digital 'virtual' space, it should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the real space. A human dreams of a reincarnation in the digital space, but a human has a body that cannot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physical environment. This means that human activities are not disconnected from reality and more specifically the human existence ought to be foun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reality. If the way of life in Metaverse becomes increasingly common, humans should be able to access this metaverse as a reality. Therefore, in this paper, the metaverse that creates the world of creation, play, and empathy, becomes considered as the world of human life of Homo Culturalis, where the realization of human desires and desires in that world are made.

남북과학기술용어 비교사전-분단50년 남북한 과학기술용어 이렇게 달라졌다(완)

  • Bu, Gyeong-Sae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4 s.311
    • /
    • pp.90-92
    • /
    • 1995
  • 북한의 현실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통일후에도 서로를 더 잘 알고 모두가 융화하는데 그 고통이 훨씬 덜하리라 여겨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북한의 농업과 농업과학에 대한 조사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북한의 농업과학전문 학술지들을 중심으로 용어들을 분석해본다

  • PDF

남북과학기술용어 비교사전-분단50년 남북한 과학기술용어 이렇게 달라졌다

  • Bu, Gyeong-Sae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2 s.309
    • /
    • pp.88-92
    • /
    • 1995
  • 북한의 현실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통일후에도 서로를 더 잘 알고 모두가 융화하는데 그 고통이 훨씬 덜하리라 여겨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북한의 농업과 농업과학에 대한 조사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북한의 농업과학전문 학술지들을 중심으로 용어들을 비교 분석해 본다.

  • PDF

남북과학기술용어 비교사전-분단50년 남북한 과학기술용어 이렇게 달라졌다(2)

  • Bu, Gyeong-Sae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3 s.310
    • /
    • pp.86-89
    • /
    • 1995
  • 북한의 현실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통일후에도 서로를 더 잘 알고 모두가 융화하는데 그 고통이 훨씬 덜 하리라 여겨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북한의 농업과 농업과학에 대한 조사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북한의 농업과학전문 학술지들을 중심으로 용어들을 비교 분석해본다.

  • PDF

Study on Virtuality and Subjectivity of Augmented Reality in Media Remediation (미디어 재매개적 관점에 의한 증강현실 가상성과 주체성에 대한 연구)

  • Kim, Jin-Ko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2 no.4
    • /
    • pp.519-530
    • /
    • 2011
  • This study purposed to interpret subjectivity, which centers on the concept of virtuality embedded in the process of virtualizing contextual awareness and mix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ies and virtual realities for renewing the feeling of time and space represented by augmented realities in daily spaces, from the viewpoint of traditional media. By explaining how the reflection of reality is exposed focusing on immediacy and hypermediacy from the viewpoint of media remediation, we found that, different from conventional media, augmented reality enables the screen to function as a part of subject and play a role and, by doing so, converts it to the complete subject of digital media comprehending observers and operators.

Phenomenological Case Study of the Process of Becoming Alcohol Dependence Among Women. (여성의 알코올 의존에 이르게 되는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 Song, Jin-Ah;Kang, Kyonghwa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4 no.3
    • /
    • pp.113-145
    • /
    • 2013
  • This research is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to find about the process of becoming alcohol dependence among women, with a lifetime contextual point of view. The first phenomenon which participants experience within their lifetime was 'incomplete relationship'. This was a trigger to become alcohol dependence. The researchers whom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first alcohol intake. The first drink has been given a unique meaning as 'characteristic symbol system'. While the participants were choosing alcohol, dailiness, a continuum of daily life emerged. With dailiness aspect, alcohol dependence goes through a process of 'invasion or penetration'. Through these processes alcohol dependent experience among women became 'meaninglessness and mirage'. According to these results undertone to approach women alcohol dependence was able to be deducted.

The Long Term Memory Effects of Virtual Reality Edutainment with HMD (가상현실교육게임의 장기기억효과)

  • Lee, Daeyoung;Lee, Seungje;Jeong, Eui J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8 no.2
    • /
    • pp.69-76
    • /
    • 2018
  • HMD makes big issues about virtual reality in these days.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 may cause different effects with experience of real world, so this is the reason why comparison studies are needed. There are many works about usefulness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but most of studies were considered as special training. This study was started for the long term memory effect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game. Difference study of memory between real world education game and virtual reality education game shows virtual reality system has smaller diminution of memory than real world. And environment existence was defined as a main effect of long term memory through the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