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실성조건

Search Result 45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Marine ecosystem risk assessment using a land-based marine closed mesocosm: Proposal of objective impact assessment tool (육상 기반 해양 폐쇄형 인공생태계를 활용한 해양생태계 위해성 평가: 객관적인 영향 평가 tool 제시)

  • Yoon, Sung-Ji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9 no.1
    • /
    • pp.88-99
    • /
    • 2021
  • In this study, a land-based marine closed mesocosm (LMCM) experiment was performed to objectively assess the initial stability of an artificial ecosystem experiment against biological and non-biological factors when evaluating ecosystem risk assessment. Changes in the CV (coefficient of value) amplitude were used as data to analyze the stability of the experimental system. The CV of the experimental variables in the LMCM groups (200, 400, 600, and 1,000 L) was maintained within the range of 20-30% for the abiotic variables in this study. However, the difference in CV amplitude in biological factors such as chlorophyll-a,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was high in the 600 L and 1,000 L LMCM groups. This result was interpreted as occurring due to the lack of control over biological variables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OVA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iological contents such as COD (chemical oxygen demand), chlorophyll-a, phosphate, and zooplankton in the CV values between the LMCM groups(p<0.05). In this study, the stabilization of biological variables was necessary to to control and maintain the rate of changes in initial biological variables except for controllable water quality and nutrients. However, given the complexity of the eco-physiological activities of large-scale LMCMs and organisms in the experimental group, it was difficult to do. In conclusion, artificial ecosystem experiments as a scientific tool can distinguish biological and non-biological factors and compare and analyze clear endpoints.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establish research objectives, select content that can maintain stability, and introduce standardized analysis techniques that can objectively interpret the experimental results.

Gaming Space into a Cultural Place: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digital gaming space into a place focused on the framework of Mechanics-Dynamics-Aesthetics (MDA프레임워크를 통한 디지털게임 공간의 장소성 발생 구조에 관한 연구)

  • Yi, Young-A;Kwon, Doo-Hee;Choi, Hye-Lim;Jeong, Eui J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2
    • /
    • pp.738-747
    • /
    • 2021
  • Space and place have distinctively different meanings from each other. As virtual reality has become a routine of daily life, placeness concepts have been introduced on discussion tables. Yet, place has not been widely discussed in conceptual approaches Thus, using the concepts of space and place this study attempts to figure out the structure and the processes of how users recognize digital space and give placeness. For the study purpose, it identifies core elements of placeness attribution in digital game places, and then explains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space into place through characteristics of MDA(Mechanics-Dynamics-Aesthetics)framework. Based on present theoretical concepts and their application process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the transformation process through which physical space becomes a place in the similar context with a necessary condition in order for a space to be a place. This study confirms that digital games can be transformed into a space that creates placeness in the process. Considering that players' affinity and nostalgia are generated through the placeness acquiring process in digital game space, the processes eventually imply an extension of largely meaningful and influencing contents as digital games induce players' immersion.

Determination of Target Clean-up Level and Risk-Based Remediation Strategy (위해성에 근거한 정화목표 산정 및 복원전략 수립)

  • Ryu, Hye-Rim;Han, Joon-Kyoung;Nam, Kyoung-Phile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2 no.1
    • /
    • pp.73-86
    • /
    • 2007
  • Risk-based remediation strategy (RBRS) is a consistent decision-making process for the assessment and response to chemical release based on protecting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The decision-making process described integrates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practices with site assessment activities and remedial action selection to ensure that the chosen actions are protective of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The general sequences of events in Tier 1 is as follows: initial site assessment, development of conceptual site model with all exposure pathways, data collection on pollutants and receptors, and identification of risk-based screening level (RBSL). If site conditions do not meet RBSL, it needs further site-specific tier evaluation, Tier 2. In most cases, only limited number of exposure pathways, exposure scenarios, and chemicals of concern are considered the Tier 2 evaluation since many are eliminated from consideration during the Tier 1 evaluation. In spite of uncertainties due to the conservatism applied to risk calculations, limitation in site-specific data collections, and variables affecting the selection of target risk levels and exposure factors, RBRS provides us time- and cost-effectiveness of the remedial action. To ensure reliance of the results, the development team should consider land and resource use, cumulative risks, and additive effec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ropriate site assessment guideline and reliable toxicity assessment method, and to study on site-specific parameters and exposure parameters in Korea.

Effect of Hydraulic Parameters on Water Quality Predictions (수리매개변수가 수질예측에 미치는 영향분석)

  • Kim, Sang-Dan;Kang, Doo-Kee;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41-1645
    • /
    • 2006
  • 수문순환과 수질오염과정의 제반 기작들이 완벽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황에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 조건에 따른 수질의 평가는 수질모형으로서 추정하는 것이 유일한 대안이며, 다양한 관리대안에 따른 수질환경변화를 예측함으로서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도출하는데 유용한 수단이 되고 있다. 현재 시행 중인 수질오염총량관리제에서 또한 수질모형은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위유역의 목표수질을 결정하는 것에서부터 기본계획 또는 시행계획에 따른 오염부하량 등 환경요인의 변화와 이에 따른 목표수질 설정지점의 수질 변화 등을 모의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형에 사용되는 입력 매개변수의 불확실성과 이에 관련된 수질 모형 자체의 불확실성은 수질오염총량관리제와 같이 많은 이해당사자가 관여된 정책의 결정 시에는 공학적으로 많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실제로 미국의 오염총량관리제의 경우를 살펴보면 모형의 불확실성 분석이 전체 과정의 진행에서 가장 핵심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연구들이 수질모형에 있어서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수행되어 왔으며, 특히 미국의 오염총량관리계획의 수립 시에는 이러한 불확실성 분석을 토대로 하여 안전율을 산정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수질모형의 매개변수 중 수질기작에 관련된 매개변수들(예를 들어, DO, BOD, N, P 등에 대한 반응계수)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하천의 수질을 적절하게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수질에 직접적으로 관련한 매개변수들 이외에 하천의 수리특성에 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그와 관련된 수리학적 매개변수들에 대한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동안 수행되어온 수질 모델링의 적용 사례를 살펴본 바에 따르면 하천을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현장 특성 자료의 중요성, 특히 하천수리특성에 관련된 기초 자료의 가용성 여부가 모형의 성패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유량, 유속 및 폭과 깊이로 대변되는 하천 지형은 물질 이송에 대한 주요 외력 함수이며, 다른 모든 예측치들은 이들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의 정확한 표현은 올바른 수질 예측에 있어서 필수적일 수밖에 없다. 많은 모형매개변수들이 유속과 깊이에 의존적이나, 이들에 관한 정보는 종종 현장관측에서 조차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질모형의 매개변수 중 특히 수리특성에 관련된 매개변수들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적용된 수질모형은 QualKo를 사용하였으며, 대상 하천은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시점 부근인 회천 합류 전부터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종점 부근인 밀양강 합류 전까지의 경남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정보통신연구개발사업의 우선순위 설정과 적정자원 배분 -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의 적용사례 -

  • 황용수;장진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9.05a
    • /
    • pp.539-563
    • /
    • 1999
  • 이 논문은 정보통신정책 목표와의 연관성 속에서 정보통신연구개발사업의 우선순위를 설정함과 아울러 비용효과성에 바탕을 둔 적정 자원배분 도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복합적인 목표를 가진 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사업부문별 그리고 기술분야별로 객관적이면서도 설득력있는 자원배분지침을 마련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기준의사결정(MCDA: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 방법론에서는 사업의 목표와 우선순위 판단기준 및 사업대안이 계층적으로 연계된 분석구조를 설계하여 사업대안의 우선순위를 먼저 설정하고, 여기에 정수계획법(Integer Programming)을 결합하여 사업의 목표와 연계된 비용-편익 관계(Cost-benefit relationship)를 최적화하는 바탕 위에서 사업대안별 자원배분 시나리오를 제시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로 사업부문별 및 기술분야별로 각각 도출된 8개의 자원배분 시나리오는 자원배분 경향치의 안정성(Stability) 분석과 자금지원의 과부족에 대한 현실적 적합성(Relevance) 분석을 거쳐 최종적으로 하나의 적정 자원배분방안으로 수렴되도록 하였다. 우선순위 설정에 기초가 되는 사업대안의 편익에 대한 자료는 전문가의 정성적 판단을 통해 수집되었는데, 이를 위해 정보통신기술 부문에서 활동 중인 중견 이상의 총 58명의 산학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기초기반ㆍ전략기술개발사업, 연구ㆍ기술인력양성사업, 산업응용기술개발사업, 기술기반조성사업 등 4대 사업부문에 대해서는 (ⅰ) 정보통신 기술능력의 축적, (ⅱ) 정보통신산업의 경쟁력 강화, (ⅲ) 정보통신기반의 기술고도화, (ⅳ) 정보화를 위한 기술역량의 제고 등 주요 사업의 편익을 나타내는 4개 기준으로 우선 순위를 판단하였고, 정보통신망기술, 전파 및 RF 기술, 정보처리기술, 반도체 소자/설계 기술 등 13개 기술분야에 대해서는 (ⅰ) 공공정책적 임무에 대한 기여, (ⅱ) 기술자립기반의 확충, (ⅲ) 기술발전성과 기술적 파급효과, (ⅳ) 기술적 산물의 시장잠재력 등 기술분야 연구개발을 통한 편익을 나타내는 4개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판단하였다. 우선순위는 사업대안에 대한 가중치로 표시되었고, 적정 자원배분방안은 추정된 총예산 규모에 따라 지원수준에 대한 일정한 제약조건 하에서 비용-편익 관계에 따른 자원의 최적 할당량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총예산 규모의 가변성, 사업 및 기술분야 대안의 분류체계에 대한 공감대 부족, 사업목표의 상호연관성과 우선순위 판단기준의 부분적 중첩성 등 여러 제약요인이 있어 도출된 구체적인 수치보다는 방향성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도출된 우선순위와 적정 자원배분방안은 문제해결의 실행타당성을 감안하여 비교적 객관적이고 균형있는 결과로 판단된다.

  • PDF

The Quantification of the Up-zoning Criteria for Seoul's Youth-Housing Sites via the Space Syntax Method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대상지 용도상향 기준 계량화 방안)

  • Kim, Seong-Hun;Song, Min-Ho;Jeon, Seok-Hoon;Choei, Nae-Young;Bak, Min-Ho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8 no.1
    • /
    • pp.215-228
    • /
    • 2018
  • After the housing shortage problem for the youths has invoked substantial social attention recently, Seoul's 2030 Youth Housing Program has been timely improvised and successfully providing the decent rental housing packages for the deprived youths of the City. Its housing supply rate, nevertheless, did not sufficiently catch up with the actual need of the youth group so that the program goal is seen by many to be difficult to readily achieve. In an effort to counteract such adversities, it is seen, in this study, that the clarification of the criteria that judges adjacency condition for up-zoning when a candidate housing site is adjoining to a denser land-use classes could be one effective method to augment its supply rate. This study, in this context, has performed spatial structure analyses via space syntax method against: 1) the conceptual diagram in the City's official manual that renders the acceptable adjacency conditions, and; 2) numerous real-world 2030 Youth Housing cases enlisted in the City's public notices that permit their construction. The consequences are that the axial map is not applicable whereas the convex map is adequate for the purpose at hand, and, among all the cases, those spaces that are adjacent with its Depth of less than 2 are seen to successfully satisfy the official adjacency condition for the up-zoning.

Study on a Potentiality Analysis of Spatial Information in Urban Information System (도시정보체계의 공간정보 관련성 분석 연구)

  • 고광철;민경옥;김은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261-267
    • /
    • 2003
  • 사회의 빠른 변화 속에서 지자체가 처리해야 할 정보의 양과 행정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의사결정과 기획을 위한 정보망과 정보시스템의 활용 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도시정보체계(UIS)의 구축은 의사결정의 효율적인 도구로 각광받아 대다수 지자체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 행정업무의 70~80%가 공간정보와 연계되어 있다는 막연한 기대감에서 출발한 현재의 도시정보체계(UIS) 구축사업은 단지공간정보 관리 중심의 시스템 개발에 치우치게 되었으며, 시설물 관리 분야에 대한 사업을 이미 수행한 지자체에서는 향후 어떠한 사업들을 전개해야 할 지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비전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 아닌가라는 우려를 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정보체계(UIS)의 새로운 비전 수립을 위해서는 막연하게 제시되고 있는 공간정보 관련성 분석을 보다 세분화하여 수행할 수 있는 공간정보 관련성 분석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지자체 도시정보체계(UIS) 구축사업의 현재를 돌아보고 보다 발전적인 새로운 사업추진의 시각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업무영역에 대한 보다 세분화된 공간정보의 관련성 분석을 위해 공간정보를 업무관점, 업무-정보산출물 관점, 데이터구축관점, 정보관점, 서비스관점으로 세분화여 하여 접근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최종적인 공간정보 관련성 분석 모형을 구성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도시정보체계(UIS) 사업의 추진을 위해 시간적 개념의 변화 양상을 제시함으로써 GIS의 발달단계에 따라 어떠한 부분에 비중을 둔 사업의 추진이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시설물 관리 중심의 도시기반정보화에 편중된 도시정보체계의 구축사업의 시각이 행정정보화, 생활정보화, 산업정보화 등 다양한 분야와 결합하여 보다 큰 시너지 효과와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개선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을 기대해 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beta}$-glucan은 고용량일 때 직접적으로 또는 $IFN-{\gamma}$ 존재시에는 저용량에서도 복강 큰 포식세로를 활성화시킬 뿐 아니라, 탐식효율도 높임으로써 면역기능을 증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효과는 crude ${\beta}$-glucan의 추출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eveloped. Design concepts and control methods of a new crane will be introduced in this paper.and momentum balance was applied to the fluid field of bundle. while the movement of′ individual material was taken into account. The constitutive model relating the surface force and the deformation of bundle was introduced by considering a representative prodedure that stands for the bundle movement. Then a fundamental equations system could be simplified considering a steady state of the process. On the basis of the simplified model, the simulation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could be confirmed by the experiments under various conditions.뢰, 결속 등 다차원의 개념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와 최근 제기되고 있는 이론의 확대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결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간의 개념적 분류, 차이의 검증, 영향력 등

  • PDF

Mesocosm as a Scientific Tool for Marine Science: Focused on the Soft-bottom Environment (해양과학에서 mesocosm의 적용 사례 연구: 연성저질환경연구를 위한 도구)

  • Yang, Jae-Sam;Jeong, Y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4 no.2
    • /
    • pp.93-106
    • /
    • 2011
  • This review has dealt with definition, size, history, and status of mesocosm, and also discussed several problems and trouble shootings related to the building of mesocosm, and finally will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of this scientific tool. Due to the restriction of the space, the discussion mainly focused on "the mesocosm building for the soft-bottom ecosystem". The mesocosm is defined as "medium-sized, self-sustaining, and man-controllable ecosystem". This type of studies has already initiated since 1960, but nowadays it expands to the diverse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ies, such as toxicology, limnology, environmental sciences and engineering, and even geochemistry. As a scientific tool, the mesocosm requires following aspects; replicability, repeatability, and ecological realism or accuracy. Several technical problems have to be solved for the perfect building of mesocosm. They are known as scaling, composition of seawater/sediment, light intensity, turbulence, hydraulic residence time, and top predator. These trouble shootings are provided at the discussion in detail. In the context, I expect two promising directions in the future; 1. Objectivity based on the diverse statistical methodologies, 2. "Living ecosystem modelling" coordinated with the mathematical modelling. With these, the mesocosm will be more powerful tool for the scientists and engineers to investigate the chemical and the ecological responses to the toxic materials and global climate changes.

Location Suitability Assessment on Marine Afforestation Using Habitat Evaluation Procedure(HEP) and 3D kriging: A Case Study on Jeju, Korea (서식지 평가법(HEP)과 3D 공간보간법(Kriging)을 이용한 제주도 바다숲 입지적합성 평가)

  • Lee, Jinhyung;Kim, Young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4
    • /
    • pp.771-785
    • /
    • 2014
  • As marine desertification and chlorosis in Korean coast have been intensified over time, Korean government is promoting marine afforestation projects. However, marine afforestation location is mainly decided by administrative convenience. Also, there is limited literature on location suitability about the marine afforestation. This study aims to assess location suitability of marine afforestation considering 3 significant criteria: ecological, submarine topographical, and human-social environment. Jeju, the study area of this study, first observed chlorosis in Korean coast at the small fishery town in Seogwipo. Jeju is currently suffering from chlorosis all around the island. Habitat Evaluation Procedure (HEP), 3D krig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s applied as analysis methods. Especially, 3D kriging is utilized for modeling 3D ocean space reflecting ocean environment appropriately. The result shows that Jocheon coast has better location suitability than Seogwipo Pyoseon coast. Jocheon coast has the maximum 61% suitability as the habitat of Ecklonia cava Kjellman, and is highly evaluated in other criteri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find optimal marine afforestation location, and to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the Jeju coastal ecosystem and the revitalization of Jeju fishing village societies.

  • PDF

Current Status and Utilization Technology of End-of-Life Photovoltaic Modules (태양광 폐 모듈의 처리현황 및 실용화 기술)

  • Cho, Jai Young;Park, Areum;Yun, Hyun Mok;Jun, Yun-Su;Kim, Joon Soo
    • Resources Recycling
    • /
    • v.29 no.4
    • /
    • pp.15-30
    • /
    • 2020
  • Recently, it is increasing a amount of installed solar-cell rapidly, and end-of-life photovoltaic(ELP) modules are generated in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cell efficiency largely. Recycling of ELP modules are begun at an advanced nation already, but there are bring about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resource recovery problems owing to not treated ELP modules because of economic cost completely. First of all, there were researched basic study for treatment conditions of used solar cell inspection, dismantling of aluminum frame, crushing / grinding & separation of tempered glass, removal of back sheet & EVA film, leaching & precipitation recovery of valuable metals and treatment of waste water. Therefore, we establish optimum conditions through carried out of designed apparatus, installation of equipment, test operation & trouble shooting in scale of 1ton/day pilot plant test. Following to economic review, it does have the economic efficiency until to the case of tempered glass recovery, but does not have the economic value in case of total processes until to recover the valuable metals. However, there are guaranteed economic value if we are gained a large amount of the expenses through EPR supported system. It was confirmed the commercialized possibility of ELP modules recycling if there were established on the collecting ELP modules, reusing criteria, economical technology, enactment of directives and enforcement of EPR supported system effici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