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상학적 분석

Search Result 1,71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Fundamental Study for the Phenomenology of Communication (커뮤니케이션 현상학에 관한 기초 연구)

  • Lee, Bum-Soo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71
    • /
    • pp.250-273
    • /
    • 2015
  • The phenomenology of communication represents a starting point in the union of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analogue and digit, expression and perception, person and lived-world, rhetoric and ethic, constitute human communication. A phenomenological definition of communication requires that analysis proceed through a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reduction, interpretation. This analysis thus far has taken up the general issue of fact versus value, consisting in a subdivision into intention and punctuation on the factual side, and convention and legitimation on the value side. It has treated of the relationships among intention and metaphysics, punctuation and epistemology, convention and logic, and legitimation and axiology.

  • PDF

A Study on the Landscape Analysis and Evaluation Method : A Phenomenological Approach (경관분석 및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현상학적 접근 -)

  • 임승빈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6 no.1
    • /
    • pp.43-51
    • /
    • 1988
  • Phenomenological approach suggests a new dimension in landscape evaluation, which is a contrast to the existing scientific evaluation metho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qualitative, holistic, open, and experiential, whereas that of the scientific approach is quantitative, reductive, closed, and experimental. In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average response of a group is not considered as meaningful in landscape evaluation. Instead, the individual response, experience, and feeling are considered as important. In phenomenological approach, people try to see the real world as it is, while scientists tend to simplify the real world in order to handle the complex Phenomena easily. Due to its holistic and qualitative nature,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has limitations to be a practical landscape evaluation technique. However, recent research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phenomenological landscape evaluation technique which is able to satisfy the criteria scientific methods should meet.

  • PDF

The Understanding of 'Transference Phenomenon'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전이 현상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

  • Sang Ick Lee
    • Sim-seong Yeon-gu
    • /
    • v.29 no.2
    • /
    • pp.101-126
    • /
    • 2014
  • 'Transference phenomenon' is considered as a essential feature in psychotherapy as well as psychoanalysis. But there is much difference in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for 'transference phenomenon' among various psychoanalytical schools. In general, the depth psychological studies for 'transference phenomenon' are mainly from the psychoanalytical view of point but relatively sparse from the analytical psychological view of point which has more holistic and deeper understanding for human psyche. So this article was intended for a comprehensive review of 'transference phenomenon'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tried to make an understanding for its meaning. To begin with, the concept of 'transference phenomenon' was investigated from the view before Jung and after Jung, with Jung's view in the center. Then it was made clear that 'transference phenomenon'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could be understood by several characteristic aspects. It was suggested that a careful study on the symbolic meaning of the woodcuts' pictures in Rosarium Philosophorum including a proper interpretation of its posterior part to which Jung didn't refer in "The Psychology of The Transference" be devoted to the genuine understanding of 'transference phenomenon'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afterwards.

The Limits and Problems of 'Pedagogical Phenomenology' for Qualitative Research (질적 연구를 위한 '교육학적 현상학'의 한계와 문제)

  • Bae, Sang-sik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29
    • /
    • pp.83-109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mits and problems of researchers that appear in the papers of applied qualitative research by phenomenological methods.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in the field of Pedagogy, pedagogical phenomenology is not to approach pedagogical issu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through scientism or positivism, but to explain them in things themselves. The problem, however, is that cases misunderstood and distorted in the essential meaning of phenomenology are happening as domestic researchers are applying pure phenomenology(the philosophical phenomenology) to the field of phenomenology of practice(the pedagogical phenomenology). Especially, these researchers show some errors caused by lack of basic understanding about research logic and research techniques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us if a researcher carry out a qualitative study by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she or he needs insights in analysing and interpreting the essence of the various phenomena appearing from the participants by comparing in with her or his own lives.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tructure and Essence of Deviant Peer Experiences of the Teenagers (청소년의 비행또래에 대한 구조와 본질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Chang, Jung-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4
    • /
    • pp.211-22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eal the essential meaning of deviant peer through Phenomenological approach method on experiences of the teenagers.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world of the teenagers, researcher sought the essential meaning structure about the four Life-world Existentials of constructing human's live-world. Data had been collected through the researcher, the participants' observation, field note, content analysis, as well as in-depth interview "With them. Based on an analytical process of hermeneutical phenomenology of van Manen, researcher analysed essential meanings of the data in light of the four Existential categories through separating thematic statement, decision of essential theme and rewriting. The structure of the deviant peer experienced by the teenagers has been analyzed by the hermeneutical phenomenology so as to extract 28 composition meanings, 30 phenomenon and 18 structure of experience. The results examined by each theme are as follow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essential meaning structure of the study participants in the world is the experience of boundary, alert'.

The Improvement of the Tidal Boundary Condition in the Han River Estuary for Hydraulic Analysis (한강하구지역의 수리학적 분석을 위한 하류경계 조건의 개선 방향)

  • Park, Hyo-Seon;Byeon, Seong-Joon;Choi, Gye-Woon;Lee, Y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10-610
    • /
    • 2012
  • 한강하구는 국가하천인 한강, 한강의 1지류인 임진강과 북한 황해도의 예성강이 만나 한강하류 수역을 형성하여 서해 중부해역과 합류하여 매우 복잡한 수리학적 특성을 지닌다. 또한 한강하구의 경우 교량, 수중보 등의 하천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수리학은 크게 수위와 관계되는 현상, 하상변화와 관계되는 현상, 외부 환경과 관계되는 현상으로 살펴 볼 수 있다(최계운, 2005). 하천구조물이 설치됨에 따라 구조물 주변에서 국부적으로 수위가 상승되거나 유속이 변화, 세굴현상 등의 하상 변화, 구조물 설치에 따른 생태계의 단절 현상 등 수리학적 현상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강하구는 이러한 복잡한 흐름현상에 더해 군사적으로 민감한 지역의 특성으로 현장의 접근성에 한계가 있어 이 지역의 연구조사는 더욱 어렵다. 그간 한강하구의 흐름 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수치모의를 통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수리학적 흐름 현상을 계산하기 위한 필수 조건인 하류경계조건 설정에도 어려움이 수반된다. 이 때문에 한강의 수리학적 수치모의 실험에 관한 연구들은 한강하구의 얕은 수심과 해석의 공간적 범위를 소홀히 하고, 공릉천 합류부를 기준으로 하류지점에 대해서는 인천 조위관측소의 조위자료를 사용하거나 하천정비기본계획상의 기점수위를 일괄적으로 적용하여 지점에 따른 수위의 차이를 적용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북접경지역 접근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한강하구 흐름해석의 불확실성을 명확히 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강하구지역에 해당 군부대와 군사정전위원회의 출입허가 승인을 얻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하여 성동교, 대산교, 공릉천, 화도돈대, 철곶돈대 전방 수변, 애기봉전망대 전방 수변을 조사 지점으로 선정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한강하구의 공릉천 합류부 지점을 하류경계조건으로 채택하고 있으나, 현장조사를 통하여 얻을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공릉천 합류부 지점의 수위는 강우발생에 대한 하천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하류경계조건으로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공릉천보다 하류지역에 위치한 지역에 대하여 하류경계조건으로 적정한 지역을 찾을 수 있었다. 수치해석 시에는 공간적 범위와 연구의 목적을 고려하여 각 지점의 실제 관측 자료를 활용한 경계조건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며 보다 많은 현장조사와 특성분석을 통한 정확한 경계조건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omatization in the Perspective of Daseinsanalysis (신체화의 현존재분석적 이해)

  • Lee, Zuk-Nae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10 no.2
    • /
    • pp.69-77
    • /
    • 2002
  • The Daseinsanalytic understanding of somatization as a phenomenon begins with a question about the real nature of human body. The human body is primarily not an object of scientific study, which is based on the dichotomy of mind and body, but it is an existential body(Leiblichkeit) disclosing the meaning of Beingness of human being. Since the meaning always discloses itself in man's relations with his world, his body in existential nature expresses his relations with the world. Such a somatic expression of world relations is the phenomenon of somatization whose meanings are illuminated by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is unlike the method adopted by natural science investigating the cause and effect.

  • PDF

동맥의 생체공학적 특성

  • 황민철
    • 전기의세계
    • /
    • v.45 no.8
    • /
    • pp.25-29
    • /
    • 1996
  • 동맥에 대한 기계 역학적인 연구역사는 30년에 이르고 있다. 그 연구 성과로 말미암아 동맥의 물성 파악, 동맥의 인조화, 동맥의 의학적인 시술에 대한 공학적인 평가 분석 및 제안, 동맥의 생리학적인 현상에 대한 이해 보강, 병리 현상의 공학적인 분석 및 예고, 공학적인 현상과 조직학적인 현상에 대한 연관성 파악 및 응용등, 많은 공헌을 하고 있다. 동맥에 대한 공학적인 연구학문을 동맥역학(Arterial Mechanics)이라 한다. 동맥역학의 궁극적 분석겨로가는 동맥에 대한 물성과 혈압으로 인한 변형율과 응력에 관한 것이다. 동맥의 물성 파악은 혈류와 Mass Transport의 효과로 인한 동맥의 질병양태에 대한 해석을 돕고 있다. 또한 동맥의 병리현상과 생리현상을 이해하는 데에 변형율과 응력 분포도가 중요한 요소로 역할을 하고 있다. 동맥의 연구 방법론적 고찰의 내용은 실험이나 데이터 분석방법이 비슷하기 때문에 동맥 외의 인체의 soft tissue(피부, 심장, 근육, 눈등)에 대한 연구고찰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현재까지 진행된 주요한 연구를 고찰하고 동맥 역학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고취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 PDF

공간 통계 분석을 이용한 DEM 오차 패턴 연구

  • 안은자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207-210
    • /
    • 2003
  • 지리학적 정보는 지구의 표면이나 가까이에 나타나는 현상과 사상에 대한 정보로서 정의된다(Goodchild et al., 1999). 지리학에서, 이러한 지리학적 정보는 특정한 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공간자료로 이용되는데, 이는 공간적 패턴을 통해 유형화된다. 이러한 공간자료는 현지답사를 통해 수집ㆍ분석되며, 관찰자의 주관적 판단, 기술적인 오류로 인해, 오차의 필연적 발생 가능성을 안고 있다(Maffini, 1989; Bolstad, 1990; Dunn, 1990; Keeler, 1991). (중략)

  • PDF

Analysis of drought propagation using hydrometeorological data (수문기상 정보를 이용한 가뭄의 전이 분석)

  • Yu, Myungsu;Kim, Tae-Woong;Cho, Younghyun;Chae, Hyo-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57-357
    • /
    • 2017
  • 가뭄은 다른 재해와 다르게 즉각적이며 객관적인 판단이 쉽지 않은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가뭄지수를 활용하여 가뭄을 판단한다. 그러나 적용되는 가뭄지수에 따라 동일한 종류의 가뭄이더라도 판단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가뭄은 발생과정과 피해영향에 따라 기상학적, 농업적, 수문학적, 사회경제적 가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강수의 부족은 기상학적 가뭄을 발생시키며, 기상학적 가뭄이 지속되면 토양수분 부족으로 농작물의 피해를 가져오는 농업적 가뭄이 나타난다. 이어서, 강수량 부족으로 인한 유역의 토양수분 감소는 하천유량 및 댐 저수량 등의 결핍으로 수자원 부족이 발생하여 수문학적 가뭄을 초례한다. 각각의 가뭄은 다른 종류의 가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가뭄의 종류가 기상학적 가뭄에서 농업적 가뭄 혹은 기상학적 가뭄에서 수문학적 가뭄으로 변화되는 현상을 가뭄 전이(drought propagation)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 기상학적 가뭄에서 농업적 가뭄으로의 전이관계를 가뭄지수와 수문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상학적 가뭄에서 농업적 가뭄으로 발전되는 가뭄의 크기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가뭄 전이 현상을 바탕으로 기상학적 가뭄 상황에 따른 미래의 농업적 가뭄을 예측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