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무암질 유리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Supergene Alteration of Basaltic Ash in Udo Tuff Cone, Jeju Island (제주도 우도 현무암질 화산재의 표성 변질작용)

  • Jeong, Gi-Young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2
    • /
    • pp.141-150
    • /
    • 2010
  • Basaltic ash of Udo tuff cone, Jeju Island, was almost fresh across strata, but significantly altered toward surface by supergene process. The supergene alteration of the Udo tuff was examined by using X-ray diffraction,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electron microprobe analysis for elucidating the alteration process of basaltic ash in terrestrial environments. Fresh ash particles were composed of glass matrix, plagioclase, olivine, and pyroxene. The glass matrix was selectively replaced inward by colloform alteration rinds of Fe-Ti-rich amorphous silicate nanogranules and smectite, often leaving glass core at the center of larger ash particles. Some of the dissolved species released from the altered ash particle precipitated as fine honycomb aggregates of smectite on the pore walls, contributing to the cementation and lithification of volcanic ash.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Tachylite occurring in Basic Dike, Basaltic Agglomerate Formation, Ulleung Island and Its Implications of Volcanic Activity (울릉도의 하부층 현무암질 집괴암 층내 염기성 암맥에서 산출되는 타킬라이트의 광물학적 특성과 화산학적 의미)

  • Bae, Su-Gyeong;Choo, Chang-Oh;Jang, Yun-Deuk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2
    • /
    • pp.63-76
    • /
    • 2012
  • Tachylite, black basaltic glass formed by the rapid cooling of molten basalt, locally occurs at the Basaltic Agglomerate Formation (BAF), the lowest formation of Ulleung Islan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haracterize the occurrence and mineralogy of tachylite and to elucidate its formation condition, with emphasis on its fracture pattern, which can serve as implications for the early volcanic activity of Ulleung Island.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he occurrence pattern of tachylite in the field and carried out mineralogical analyses using optical microscope, XRD, EPMA, and SEM. Tachylite occurs at the chilled margin of basic dikes which are distributed in Naesujeon, Dodong and Jeodong seasides, Turtle Rock, and Yaerimwon, whose widths vary from several cm to 10 cm. It is evident that the outer surface of tachylite is dense and smooth, whereas the inner surface, if fractured, is characterized by conchoidal fracture. The matrix of tachylite consists of amorphous, glass and some fine-grained phenocrysts present in tachylite include biotite, anorthoclase, sanidine, plagioclase, hornblende, and Fe-Ti oxides. The fracture patterns characteristic of tachylite are subrounded, oval, or less commonly polygonal, bounded by joints to form globule or lump. Taking into account texture and mineralogy, tachylite is interpreted to have undergone little subsequent alteration at low temperature via hydration or hydrolysis that could form clay minerals after it was formed. Because tachylite with peculiar fractures occurs as dikes in a close association with BAF, its presence is considered as reliable evidence that when tachylite formed, the most part of BAF was still under subaqueous conditions, or at least saturated with seawater.

Geochemistry and Mineral Paragenesis of Bentonite from the Tertiary Formation in Yangnam Area (양남 지역 제 3 기층에 부존하는 벤토나이트의 지구 화학 및 광물 생성 단계)

  • 노진환;오성진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7 no.2
    • /
    • pp.111-127
    • /
    • 1994
  • 양남 지역의 제 3 기층인 하서리 응회암층의 중.상부에 부존되는 벤토나이트들은 원암의 암상과 화학조성에 의존되는 광호 양상과 광물상을 나타낸다. 벤톤나이트들은 대부분 안산암질 원암의 기원을 시사하는 희유 및 희토류 원소들의 함유 양상을 보이고, 현무암질 원암의 벤토나이트는 최상부의 일부 층준에만 그 산출이 국한된다. 이 지역의 벤토나이트는 주로 유리질 내지 라필리 응회암이 속성 변질된 것으로 이 과정에서 SiO2와 알칼리 (Na, K) 성분들이 고갈되는 화학 성분상의 유동 양상이 인지된다. 벤토나이트는 주된 광물 성분인 스멕타이트 이외에 흔히 단백석 및 석영같은 규산 광물과 휼란다이트, 모데나이트 및 클리높틸로라이트간은 불석광물들을 수반한다. 스멕타이트는 대부분 몰노릴로나이트 유형이지만 최상부 층준의 현무암질원 벤토나이트와 비교하여 논트로나이트의 광물 화학, X-선회절 양상, 층간 화학 및 염화학적 특성 등이 논의되었다. 이 지역 벤토나이트의 형성과정은 (1) 화산쇄설물의 급속한 퇴적, (2) 비이상적으로 높은 매몰 온도(<8$0^{\circ}C$) 조건, (3) 규산 광물의침전에 의한 공극수 내외 H4SiO4의 제거, (4) 원암의 낮은 Si/al 함유비와 높은 Fe 함유도 등에 의해서 조장된 것으로 해석된다.

  • PDF

Miocene Volcanic Rocks Over the Area of Chenonja-bong and Siru-bong, Jinhae (1): Petrography and Petrochemical Characteristics (진해 천자봉-시루봉 일원에 분포하는 마이오세 화산암 (1): 암석기재와 암석화학적 특징)

  • Ryoo, Sam-Hyung;Jeong, Yun-Gi;Lee, Sang-Won;Sung, Jong-Gyu;Ryoo, Chung-Ryul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2
    • /
    • pp.108-131
    • /
    • 2008
  • The Miocene andesite and basalt intruded into and/or extruded on the Cretaceous volcanic and granitic rocks over the area of Chenjabong and Sirubong in the vicinity of Jinhae, southern part of Kyongsang basin. The K-Ar ages of the younger volcanic rocks are from 16 Ma (Sirubong andesite) to 10 Ma (Cheonjabong basalt), which indicate the Miocene volcanism in the outer part of the Tertiary basin in the Korean peninsula. The volcanics are divided into Chenjabong andesite, Cheonjabong basaltic andesite, Sirubong andesite and Cheonjabong basalt. The Cheonjabong andesite is composed of phenocrysts of clinopyroxene and plagioclase ($An_{60{\sim}64}$) and groundmass with lath-like plagioclase ($An_{76{\sim}84}$) and glass. The Cheonjabong basaltic andesite is composed of plagioclase phenocryst ($An_{60{\sim}64}$) with plagioclase lath ($An_{65}$) and glass in groundmass. The Sirubong andesite is only consisted of plagiocalse lath ($An_{64{\sim}68}$) and glass with absence of phonocryst. The Cheonjabong basalt shows typical porphyritic texture with phenocrysts of olivine ($Fo_{69-84}$) and clinopyroxene. The groundmass of the Cheonjabong basalt is composed of microphenocrysts of olivine, clinopyroxene and plagioclase ($An_{66{\sim}71}$) and plagioclase laths ($An_{57{\sim}65}$) showing pillotaxitic and intergranular texture. The Cheonjabong andesite, Cheonjabong basaltic andesite, Sirubong andesite are belong to calc-alkialine but the Cheonjabong basalt is alkaline basalt. By tectonic discrimination diagrams the parental magmas of the volcanic rocks have occurred boundary.

Chemical Weathering of Glacial Debris of the Barton Peninsula of King George Island, South Shetland Islands, Antarctica: Microtextural Evidences (남극 사우스셰틀란드 킹죠지섬 바톤반도 빙하쇄설물의 화학적 풍화작용: 미조직학적 증거)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2
    • /
    • pp.181-189
    • /
    • 2003
  • Diverse microtextures and secondary minerals formed by chemical weathering were observed in the glacial debris of King George Island. Weathering rind was observed in the block of basaltic andesite tuff due to dissolution of calcite producing voids. Eolian volcanic glass altered to mixtrure of allophane-like materials and iron oxyhydroxides at grain edges with relative concentration of Al. Fe, and Ti. Biotite in granodiorite area was transfarmed to vermiculite and interstratified biotite-vermiculite or very rarely to kaolinite and gibbsite. Pyrite in the hydrothermal alteration zone was repalced by iron oxides, resulting in sulfuric acid which locally accelerated alteration of chlorite to expandable clay minerals. Weathering of plagiociase and K-feldspar was negligible. Although glacial debris of the Barton Peninsula has undergone weak chemical weathering with formation of some secondary minerals, massive formation of smectite, abundant in nearby marine sediments, didn't occur.

경주시 양남 제4기 역질 해안단구 퇴적층 풍화단면내 앨로패인(allophane) 교결층의 기원

  • 정기영;배진한;정창식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6a
    • /
    • pp.115-115
    • /
    • 2001
  • 경주시 양남면의 4기 단층으로 추정되는 수렴단층에 의해 절단되는 해안단구 퇴적층 풍화단면에서 저결정질 광물인 앨로패인 교결층을 기재하였다. 이들은 자갈퇴적층 내에 협재하는 수조의 모래층에 한정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3-17 cm 두께로 연장성이 매우 좋다. 편광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모래층에는 사장석편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앨로패인은 광학적 등방성의 치밀한 점토집합체들로서 사장석 입자를 선택적으로 교대하거나 자갈과 모래입자들을 피복하고 있다. 앨로패인은 광학적 이방성인 상하위층의 고령토질 점토피복물과 명확히 구분된다. 앨로패인의 전자현미분석에 의하면, Al/Si 원자비가 1.3-1.7 범위이고 평균값은 1.5이다. X선회절분석 결과 3.49$\AA$과 2.26$\AA$에서 두 개의 넓은 회절대가 관찰된다.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관찰에 의하면 앨로패인을 특정한 입자형태 없이 치밀한 겔상태를 이루고 있다. 열분석에 의하면 96$^{\circ}C$에서 큰 흡열피크와 992$^{\circ}C$에서 발열피크가 관찰되며, 총 45% 정도의 중량감소를 보인다. 사장석의 평균조성은 An$_{87}$이며, 사장석내 유리포유물의 전자현미분석결과는 화산암 화학분류도에서 현무암 영역에 도시된다. 이 지역의 기반암은 현무암질 라필리응회암이나 사장석편을 제외하고 벤토나이트화되어 있다. 따라서 해빈환경에서 사장석이 벤토나이트에서 분리되어 퇴적한 것으로 보인다. 앨로패인 교결층은 해수면 강하로 단구퇴적층이 지표로 노출된 후, Al의 함량이 높고 비교적 풍화에 약한 사장석이 선택적으로 풍화되어 생성되었다. 앨로패인으로 피복된 모래층 내의 자갈은 풍화반응이 지체되어 상하위층의 자갈과 비교하여 풍화도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파이프 중심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전기석의 함량은 줄어들고 있고 장석들이 알바이트ㆍ칼스베드 쌍정을 보이며, 흑운모가 각섬석보다는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기석은 주상 결정, 자형 내지 반자형의 입자로 다색성을 보이며, 결정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파란색과 황갈색의 광학적 누대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일광광산에서 산출되는 전기석에 대한 현미경 관찰은 열수기원임을 지시하고 있다. 야외조사와 현미경 관찰의 예비조사에 의하면 일광광산의 전기석이 형성된 환경은 다른2가지 화학적인 저장소의 혼합 효과의 결과로 생성되어진 것으로 예상된다. 일광의 화강암류를 만든 마그마는 전기석을 형성할 만큼의 Fe-Mg성분이 충분하지 않았을 것이다. 화강암 내에 흑운모와 각섬석의 결정작용에 의해 마그마의 Fe-Mg성분이 고갈되어지고 이로 인해 그 함량이 감소하며 상대적으로 마그마 내에 남은 붕소(B$_2$O$_3$)는 열수로 용리되고 흑운모, 각섬석과 평형을 유지하며 열수에 남아있게 된다. 잔류용융체에 남은 붕소의 함량은 전기석을 만들기에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Fe-Mg 함량이 부족하여 마그마 기원의 전기석 결정을 만들 수가 없다가 광맥이 형성된 시기에 또 다른 열수가 공급되면서 이전의 평형이 깨지고 기존의 흑운모와 같은 염기성 광물이 붕소(B)를 함유한 새로운 열수와 반응하여 전기석을 형성한 것으로 예상한다. 앞으로 전암과 광물에 대해 지화학적 연구를 통해 화강암류와 전기석과의 지화학적 연관성, 주성분 원소와 열수의 특성과의 상관관계, 전기석의 기원(마그마 기원인지 열수기원인지)이 보다 정확하게 파악될 것이다. 마그마 진화에 따른 전기석의 성분변화와 기원을 이용하여 일광광산의 동광화대를 형성한 마그마 계에서 열수계로 이어지는 지질학적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암석 성인론적 지시자로서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