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혁신클러스터 정책

Search Result 13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Problems of a Geographical Cluster and its Performance (지리적 클러스터의 문제점과 성과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구미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 Rhee, Jae-Hoon;Kim, Ki-Keu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6 no.1
    • /
    • pp.165-19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roblems of Geographical Cluster and to analyze relationships between problems of a Geographical Cluster and its performance. The problems of geographical cluster include those of technical fusion, increase of incidental expenses, conditions of settlement, and absence of industrial infrastructures, and performance factors are satisfaction with the cluster policy and within cluster firm's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e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75 firms located in the Gumi electronic industry cluster complex, first, problems of technical fusion, and absence of industrial infrastructures had a negativ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cluster policy. Second, absence of industrial infrastructures had also a negative(-) effect on within cluster firm's performance. In the conclusion, further discussion,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 were suggested.

  • PDF

Factors of Successful Policy Implementation in National Projects for Technology Innovation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National Project의 성공적 정책집행의 요인)

  • Cho, Gug-Hyeo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2 no.3
    • /
    • pp.73-96
    • /
    • 2004
  • This research began by recognizing the development of telecommunication skill in a short period of time as one achievement of launching th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ject for the diversification of telephone service and for the solution of telephone holdup rate. Under this concern, this research is focusing on searching the influential elements on successful outcome by analyzing the case of Time Division Exchange R&D Project carried out by Korea. Those variables for analyzing the case is limited to 7 definite variables, which are "willingness of policy making organization", "participation of manufacturers and buyers", "support from research and development group", "economy of operating methods and selection of machinery", "rate of technology transfer", "support from Fixer", and "quality management". Summarizing the result of analysis, in order to bring about technological innovation, knowledge creation activity leading to upward efficiency throug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making a harmony should be done in one mechanism. I.e., launching an innovative policy should be done in an arena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where stability of implementing system is achieved, the entity of "Fixer" is an adequate operator, and competition and cooperation is efficiently managed, among where agreement on purpose and professional opinions are reflected.

  • PDF

중국의 해양플랜트산업 육성정책과 시사점

  • Park, Mu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274-276
    • /
    • 2012
  • 세계적으로 해양플랜트시장 선점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해양플랜트 대국달성을 목표로 산업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2010년 국가 전략적 신산업의 하나(첨단 제조업에 포함)로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2020 산업혁신 전략', '2020 산업중장기 발전계획'을 마련하여 적극 추진하고 있다. 즉 2020년 국제시장 점유율 35% 이상, 기자재국산화율 50% 이상이라는 세부 목표를 세우고 이를 위한 재정 금융 세제 지원 강화, 기술개발 확대, 산업클러스터 구축 등을 본격화하고 있어 우리나라와의 경쟁심화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본 원고에서는 이러한 중국의 해양플랜트산업 육성정책과 산업동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지역산업진흥과 지역기술지도와의 연계

  • Lee, Gyeong-Mi
    •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 /
    • 2005.06a
    • /
    • pp.33-45
    • /
    • 2005
  • 현재 지역산업진흥계획이 수립되기까지 수도권 억제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법령들이 수립${\sim}$제정되어 왔으나, 그 성과는 미흡하였고, 첨단산업과 지역의 발전을 함께 추구한 과학기술 집적지 조성정책도 연구기관과 산업체간의 기술개발에 대한 수급의 불일치, 지역별 특성화와 차별화 미흡, 사업간 연계성 부족 등으로 성과는 미약하였다. 중앙 부처에서 다양한 지역산업 관련 기술개발 지원사업도 전개해 왔으나, 부처별로 독자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정책 상호간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투자 효율성이 저조하여, 산업자원부에서 산업발전법에 근거하여 2002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은 지역별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한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지역의 내생적 성장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투입요소 증대에서 지역 산업경쟁력 강화로의 전환,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공동 계획입안 등에서 기존의 정책들과 차이를 보인다. 지역산업정책의 최종목표는 '지역균형발전'이며, 중간목표는 '지역산업의 활성화'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전략으로 '3개 권역별 전략산업 집중 육성'과 '제도적 기반 구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전략은 매우 포괄적이어서 정책수단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전략 하에 추진하고자하는 사업들을 검토하고 평가의 목적에 맞게 유형화함으로써 동지역균형발전과 지역경쟁력의 강화이며, 그 기본전략으로는 지자체의 역할제고를 바탕으로 한 전략산업 중심의 지역혁신체제(Regional Innovation System : RIS)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지역 내에서는 각 조직 간의 역할분담이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인력과 재원 및 특정분야에 대한 중복투자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며 각각 소규모여서 규모의 경제효과를 꾀할 수 없고 경제적 효과가 가시화되는 데에는 오랜 시일이 걸리고 있고, 지역의 산업발전을 체계적으로 기획하고 지역내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총괄 추진기구가 없어 효율적인 지역산업육성에 한계가 있었다. 지방정부의 과학기술예산 및 전담조직, 산업경제예산 및 전담 조직의 부족과 미 정착으로 독자적인 지역과학기술정책이나 지역산업정책은 물론이고 지역혁신정책을 수행하기 어려웠으나, 지역의 특성과 잠재력에 맞는 사업을 발굴하여 중앙정부에 건의하고 지역 내 각 프로젝트를 총괄 조정하는 중개자 역할을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역혁신체제의 중심기관으로 중개기관과 협력 프로그램에 의한 플랫폼 구축 및 지역산업발전의 기획${\sim}$조정기구로서, 선진국의 지역발전기구(Regional Development Agency : RDA)인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2002년도부터 산업자원부와 9개 시도에 의해 설립되어 지역네트워크의 활성화와 클러스터의 형성 촉진을 하게 되었고 2004년도에는 13개시도로 확대${\sim}$운영되고 있고, 지역특화사업(H/W)과 지역산업기술개발과제(S/W)와 함께 패케지 형태로 지원되며, 주요역할은 크게 지역산업의 정책기획 분야와 평가관리, 지역혁신역량 조사 및 DB구축 등으로 구분된다. 그중에서도 권역별, 지역별, 지역산업진흥사업 육성과 중장기 산업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역량을 바탕으로 한 지역 Technology Road Map(TRM)작성사업은 전국공통의 1단계 사업으로 실시 ?榮쨉?, 2005년 3월 기준으로 9개 지역(강원, 대전, 충남, 충북, 경북, 울산, 전남, 전북, 제주) 26개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23개가 완료된 상황이다. 이를 근거로 한 지역정책과 R&D 과제 및 필요 인프라의 도출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역량이 강화될 것이다.

  • PD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of the California Wine Cluster: the Case of Napa and Sonoma (미국 캘리포니아의 와인생산 클러스터에 관한 연구: 나파.소노마 지역을 사례로)

  • Shin, Dong-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1
    • /
    • pp.130-147
    • /
    • 2008
  • Spanish missionaries started to grow vine grapes and make wines in California 230 years ago. Earlier pioneers of the land started to do the same works for commercial purposes 130 years ago. Now California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wine making places of the world. The quality of California wines in fact have been acknowledged as the best in the world by being ranked on the top in international wine tasting competition, such as Paris Tasting. A large wine cluster, consisted of grape growing, wine making, wine tours, and research and education, has been created in the area centered by Napa and Sonoma, California.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formulating the cluster, factors contributing the success, articulates core actors, and draws policy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It concludes that innovative actors, such as winery founders, local universities, and business organizations, have played key roles in establishing the California wine cluster.

  • PDF

지역연계 창업교육 방향 연구

  • Lee, Won-Cheol;Choe, Jong-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31-40
    • /
    • 2017
  • 시대의 흐름에 따라 창업자본주의(entrepreneurial capitalism)의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도전정신을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을 도모하는 소규모 기업 또는 개인 창업자의 역동적인 창업활동은 창업생태계(Entrepreneurial Ecosystem)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로 이어진다. 이러한 창업에 대하여 대학에서 창출된 기업들은 다른 기업들보다 훨씬 높은 성공률을 보이며, 좋은 일자리를 만들고 경제활동을 촉진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대학 창업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으로 "대학창업교육 5개년 계획(2013-2017)"과 "2015년도 정부 창업지원 효율화 방안", 그리고 "산학협력 활성화 5개년 기본계획(2016-2020)" 등을 발표하였고, 대학과 연구소 등에서도 대학 창업 활성화에 대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여전히 현실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 창업교육의 체계화를 목적으로 변화하는 대학의 역할과 클러스터(cluster), 그리고 창업교육에 대한 이론을 고찰한다. 또한, 미국 혁신대학의 대표적 사례를 중심으로 창의적인 대학문화의 요인을 살펴보고, '창업 성공'과는 다른 '성공적인 창업'을 목적으로 클러스터 관점의 창업교육에 대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 기술기반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창업교육 플랫폼 구축의 기조(基調)가 되는 클러스터 관점의 창업교육에 대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는 관련 이론과 사례를 바탕으로 창의적 문화 구축과 효과적인 혁신 창출에 필요한 인재, 기술, 관용이라는 세 가지 요소의 역할이 중심이 되어 창업교육에 수반되어야 할 지역의 창업자원, 창업정책, 그리고 리더십의 클러스터링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통합적 창업교육 플랫폼 차원에서 창업보육센터, 기술지주회사, 기술사업화센터, 창업지원단 등과 같은 대학 내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창업활동 주체(조직) 간 효과적인 협력체계 구축과 함께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실행 가능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PDF

A Case Study using a Strategic Grid for Effective Cluster Development : Chungbuk Software industry Case (효과적인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전략격자모형 설계 및 사례연구 : 충북SW산업을 중심으로)

  • Hwang, Yoon-Jeong;Kim, Jong-Tae;Kwon, Seong-Taek;Yeon, Se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6.06a
    • /
    • pp.185-207
    • /
    • 2006
  • 산업단지는 지난 30년간 한국 산업의 성장을 이끌어 온 발전모형으로서 존재하여 왔으나, 최근 지식에 기초한 혁신창출형 경제체제가 국가 및 지역사회의 경쟁력을 위한 핵심요소로 부각되면서 '효율성' 측면에서 그 의미가 크게 퇴색되었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서 '클러스터'가 대두되어 다양한 분석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이를 바탕으로 각자의 특색에 맞는 클러스터 조성 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클러스터의 종류 및 발전단계에 관한 프레임워크 제시 등의 이론적 수준에 국한되어 있거나, 지역사례 연구를 통한 성공요인분석(CFS) 및 단순한 정책방향 제시 수준에 머물러 있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클러스터'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해 보고, 클러스터의 중요한 판단기준이 되는 군집도와 네트워크 연계 정도를 기준으로 한 '$2{\times}2$ 클러스터 전략격자모형'을 효과적인 클러스터 구축전략 수립을 위한 이론적 틀로서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틀에 실질적인 사례로서 '충북지역의 SW산업'을 전략격자모형에 대응시켜 분석함으로써 전략격자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지역의 SW 공급업체와 수요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한 후 그 결과를 전략격자모형에 대응시켰다. 그 결과, 충북지역의 SW산업은 아직 산업단지 수준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충북의 SW산업의 충북 내의 수요만으로는 더 큰 성장이 어려운 것으로 분석, 지역 내에서의 수요창출을 목표로 하는 '단일 클러스터' 구축보다는 지역적 제약을 벗어난 '매가 클러스터'의 구축으로 지역 내외에서의 수요창출이 가능한 클러스터의 구축을 그 대안으로 제시하였다.${\alpha}$에 E. coli Jm109의 plasmid pBX19, pBR322를 전이시켰다. 6. L. lactis ssp. lactis 균주에 lysozyme 처리시 30${\sim}$80%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L. acidophilus 균주의 경우 약 70%의 생존율을 보였다. L. casei 102S의 경우는 45분간 처리 시에도 100%의 생존율을 보였다. 8. L. lactis ssp. lactis 균주에 pLZ12를 6.0kV에서 전이시킨 결과 12.5kV에서보다 형질전환 효율이 훨씬 높았으며 lysozyme 처리에 의해 형질전환 효율이 증가되었다. 9. L. acidophilus 균주에 pLZ12를 전이시 6.0kV에서는 전이가 모두 이루어졌으나, 12.5kV에서는 L. acidophilus WIESBY와 NCFM에서 전이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lysozyme 처리 후 pLZ12를 전이시켰을 때 12kV보다 6.0kV에서 형질전환 효율이 증가되었다. 10. Gene Pulser와 Progenitor II를 사용하여 pLZ12를 L. lactis ssp. lactis 균주에 전이하였을 때 Gene Pulser에 비해 Progenitor II의 형질전환 효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L. acidophilus HY7008과 HY7001은 두 기기 모두 형질전환이 이루어졌으나, L. acidophilus WEISBY와 NCFM은 Progeni-tor II에서 전이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Gene Pulser에서 전이균주를 얻어 두 electroporator간에 형질전환 효율의 차이를 보였다. 11. L. casei 102S에 pLZ12

  • PDF

Main Elements for the Global-Local Connectivity of Regional Industrial Clusters (지역산업 클러스터의 세계적-지방적 연결성을 위한 주요 요소들)

  • Park, Yong-Gyu;Jung, Sung-Ho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4
    • /
    • pp.642-659
    • /
    • 2012
  • The main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oretical issues on the 'global-local connectivity' of regional industrial cluster and regional innovation system which have been presented since the 2000s in terms of three different aspects. Firstly, the concept of 'geographical proximity' is discussed within the context of its importance for the regional industrial development by considering relationships of cluster, local buzz and global pipeline. Secondly, concepts on knowledge gatekeeper and temporary cluster are explored with respect to their role of a mediator in forming or transforming global-local connectivity. Finally, policy implications of the global-local connection are presented. Authors arguments are as follows; firstly, in order to improve regional industrial cluster on the basis of geographical proximity, relational proximity which is beyond different spatial scales has to be secured. It means that geographical 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are required simultaneously for regional industrial development. Secondly, A base of the global-local connectivity is socal capital and embeddedness. Therefore, it needs to understand that relational proximity is embedded into different culture and habit at different spatial scales. Finally, within the context of the global-local connectivity, in order to overcome spatial hierarchy by the division of labor of firms, it needs to consider the complex system which is composed of vertical and horizontal hierarchy by the spatial division of labor by firms, openness and closeness of clusters, and the scope of policies' inclusion and exclusion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 PDF

A Critical Review of the EU Smart Specialization and US Manufacturing Renaissance Policies and New Directions for Regional Industrial Policy in Korea (EU의 스마트 전문화 및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한국 지역산업정책 방향)

  • Jeong, Jun 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4
    • /
    • pp.782-798
    • /
    • 2016
  • This paper discusses the European Union's smart specialization strategy and US manufacturing renaissance policy and then proposes new directions for regional industrial policy in Korea. The smart specialization strategy is summarized as the entrepreneurial self-discovery and strategic coordination; the manufacturing renaissance policy as the construction of industrial commons based on ecosystem; and Korea's regional industrial policy as the build-up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based upon industrial clusters. The policy cases of the EU and the United States demonstrate the fact that regional industrial policy should be geographically embedded. Also, they show the relevance of policy mix by linking industrial policy with innovation policy for cross-fertilization between different industry and technology. In addition, the state plays a role as a coordinator and mediator by embedding the democratic discipline into industrial ecosystems. Considering these points, regional industrial policy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platform system that can facilitate linkage between industry and technology.

Marine Finance and Port Logistics Industry's Development Schemes as a Creative-type Service Industry (해양금융과 항만물류산업의 발전방안 연구 -창조형 서비스산업을 근간으로-)

  • Gim, Jin-goo;Oh, Hak-Gyun;Lee, Ji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183-18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aims at contributing to th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global competitiveness enhancement by marine finance's hub and marine logistics cluster by finance specialization and finance support as a creative-type service industry in global shipping port logistics. This study adopted the integrated approach and applied it to policy implementation to achieve the effectiveness. Creative-type marine finance development stages as a tool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the guide line for the time of policy implementation are followed by Stage 1(Construction & Growth Policy) for 2013~2016, Stage 2(Forstering & Activation Policy) for 2017~2019) and Stage 3(Continuous Development Policy) after 2020 until its completion. Korea has the inferiority over the competitiveness in global marine finance and needs a strategic approach to secure the liquidity of marine finance; interim, Islamic finance has been come to the force as a new alternative in financial transaction being accompanied by a spot transaction since the crisis of global finance. In order to create a potential slack of Korea in marine finance practic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 consortium with the circle of Islamic finance as a clue of an easier policy implementation at the beginning st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