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향균성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영상처리를 이용한 향균성 시험방법 신뢰성 개선 (Enhancing Reliability of Antibacterial Test Methods using Image Processing)

  • 엄원용;박재우;김지훈;강진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97-60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군에서 사용하는 텍스타일 재료에 대한 항균성 시험방법의 신뢰성 확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항균성은 일반적으로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유해한 균을 제거하는 것을 말하며, 항균성을 측정하는 시험방법은 텍스타일 재료의 특성과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있다. 항균성 시험방법인 KS K 0693 '텍스타일 재료의 향균성 시험방법'에 따르면, 콜로니 수를 측정할 때 시험자가 육안으로 세어 측정한다. 이때 시험자의 숙달수준에 따른 측정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자동화되지 않아 비교적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영상처리 기술을 적용하여 향균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시험자료는 '방탄헬멧 부유대조립체 완충패드'의 외피소재를 대상으로 하고, 공인시험기관에서 발급된 시험 성적서에 첨부된 배양배지 영상을 사용하였다. 배양배지 영상을 전처리 한 후 분할 및 이진화 처리 후 영상 내 입자의 수를 세어 콜로니수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한 항균도 측정결과와 기존 시험방법의 측정결과를 비교한 결과,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시험방법을 통한 항균성 측정결과 대비 0.9%p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측정자의 오차를 제거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측정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상백피 추출물로부터 향균성 물질의 분리정제 (Purific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or the Extract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 박욱연;김신희;김지회;김용관;장동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25.1-230
    • /
    • 1995
  • The ethanol extract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on the growth of almost all the tested microorganisms which were food-borne pathogens and food-related microorganisms. 1) In order to isolate and purify of antimicrobial substance extracted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the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the ethanol extract which exhibited a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was purified by solvent fractiona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LC and HPLC. Among the fractions fractionated by 4 kind of solvents from the ethanol extrac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ha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 subtilis. Unknown compound were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LC and HPLC and the compounds showed strong absorbance at 207, 217 and 285 nm, therefore, it was supposed to be a kinds of aromatic compound.

  • PDF

쑥 추출물을 이용한 향균 및 김서림 방지에 관한 연구 (Study on Antibacterial and Anti-Fogging using mugwort extract)

  • 배상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599-604
    • /
    • 2020
  • 코로나 19 이후 향균에 대한 인식이 많아 달라졌다. 외출 후의 손세정은 필수사항이 되었다. 또한 마스크 착용에 따라 안경에 김서림이 많이 발생한다. 이 문제점은 지금까지의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함을 야기하고, 향균과 김서림 방지에 대한 우리들의 인식을 바꾸게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쑥 추출물을 이용하여 향균 및 김서림 방지에 효과가 있는지 연구를 하였다. 쑥 추출물을 얻기 위해 쑥의 건조과정, 알코올 추출과정, 동결건조과정을 거쳤다. 쑥 추출물과 3:7로 혼합된 징크옥사이드, 천연제올라이트 혼합물을 사용하여 향균성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쑥 추출물과 기타 혼합물을 사용하여 김서림 방지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향균성 테스트에서 시험균주로 사용된 E. coli와 K. pneumoniae의 경우 갯쑥추출물 1% 첨가배지부터 세균이 배양되지 않아 대표적인 그람음성균에 대한 항균력이 확인되었다. 김서림 방지 테스트에서 쑥 추출물 10wt% 혼합물이 고온부와 저온부 모두 매우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우리는 쑥 추출물이 향균과 김서림 방지에 효과가 있어 코로나 19를 극복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Shake Flask Method와 개량 Shake Flask Method에 의한 키토산의 MRSA 향균성 평가 (A Study 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Chitosan on the MRSA by the Shake Flask Method and Modified Shake Flask Method)

  • 최정임;전동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4-70
    • /
    • 2003
  • Water-insoluble chitosan with molecular weight of 2,000,000, 580,000, 80,000, and 40,000 and more than 90% of degree of deacetylation were prepared to test antibacterial activity of chitosan against a pathogenic bacteri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s experimental method, the Shake Flask Method (SFM) and Modified Shake Flask Method (MSFM) were applic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tosan/acetic acid aqueous solution is consistent irrespective of Mw of chitosan. MIC value of SFM measurement was 0.2 ppm, and MIC value of modified SFM measurement was 25 ppm. But MIC value of chitosan/acetic add solution and chitosan treated cotton filter paper was equally 5 ppm.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hitosan were different in different test measurements employe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hitosan/acetic acid solution and chitosan treated cotton filter paper were also different. Therefore, it needs to be pointed out that the test measurements of anti-microbial activity have some problems.

돌산갓 전처리 중의 산도, 향균성 및 색도 변화 (Changes of Acidity, Antimicrobial Activity and Colors during Pretreatment of Leaf Mustard Dolsan(Brassica juncea))

  • 박석규;서권일;이상원;조영수;손미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7-63
    • /
    • 1997
  • In order to use leaf mustard Dolsan food preservative ingradient acidity, antimicrobial activity and colors were investigated during pretreatment of leaf mustard Dolsan. pH was remarkably decreased after 8 hours to pretreatment(extracted on shaking) of leaf mustard Dolsan, and no changes were observed after that time. pH of leaf part was higher than stalk after 8 hours storage. Titratable acidity was opposite tendency to the pH. pH was gradually decreased than initial stage during pretreatment of leaf mustard Dolsan at 30, 40 and 5$0^{\circ}C$. After 16 hours pretreatment, the higher pretreatment temperature was, the higher pH was, but after pretreatment for 48 hours, pH of sample pretreated at 5$0^{\circ}C$ was lower than that of sample pretreated at 40 $^{\circ}C$. Antimicrobial activity of leaf mustard Dolsan extract pretreated at 3$0^{\circ}C$ was the strongest of the samples pretreated at 30, 40 and 5$0^{\circ}C$, and that of stalk part was stronger than that of leaf part. L and time. L and b value was higher in the order of samples pretreated at 40, 50 and 3$0^{\circ}C$, and the lower pretreatment temperature was, the higher a value was. L value of stalk part was higher than that of leaf part, but a and b value of leaf part was higher than that of stalk part.

  • PDF

피톤치드를 활용한 모르타르의 향균성 연구 (An Study of the Antimicrobial Mortar using Phytoncide)

  • 박선영;박효석;오재훈;이주환;송민규;문종욱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448-451
    • /
    • 2012
  • 현대의 사회는 화재 등과 같은 많은 위험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중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에 의해 인체에 미치는 피해 또한 무시할 수 없다. 곰팡이는 우리의 주변에서 흔히 관찰 할 수 있는데 건물 실내의 벽면에서 주로 확인 할 수 있으며 곰팡이 균의 독소를 조사하여 보면 크게 세 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곰팡이 독소는 곰팡이 속들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서 아플라 톡신이 대표적인 예이며, 그 외에도 오크라톡신, 파튤린 등이 있고 곰팡이 독소는 곰팡이가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로 발암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인체에 큰 위험 요소라 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벽면에 발생하는 곰팡이 균을 편백수(피톤치드)를 활용한 방재 기술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잔디 Brown patch와 Large patch병 방제를 위한 향균성 약용식물 탐색 (Screening for Antifungal Medicinal Plants against Brown Patch and Large Patch Diseases of Turfgrass)

  • 백수봉;심성철;구한모;여운각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3-194
    • /
    • 1998
  • 21과 30종의 약용식물의 Rhizoctonia solani AG1-1(brown patch)와 R. solani AG2-2(large patch)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계피, 목단피, 백선피가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R. solani AG1-1에 있어 계피와 목단피는 100% methanol로 추출한 것이 활성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백선피는 80% methanol로 추출한 것이 높게 나왔다. 반면에 R. solani AG2-2에 있어서는 모두 100% methanol에서 활성이 가장 높게 나왔다. 농도별 활성은 이들 조추출물의 500배 희석액에서 60%이상 공시균주의 균사생장이 억제되었다. 항균specturum은 목단피가 가장 넓었다. 계피조추출물은 250배이상 희석액에서 목단피의 조추출물은 100배이상 희석액에서 약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백선피의 조추출물은 전혀 약해를 나타내지 않았다. 처리 30일후 방제가는 목단피 처리구 75.0%, 백선피 처리구 79.1%로였다.

  • PDF